$\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릉시 어촌관광 체험 프로그램의 유형화 - Pine & Gilmore의 체험영역 모델 적용 -
A Typology of Experience Program of Fishing Village Tourism in Gangneung -An Application of Model of the Four Realms of an Experience by Pine & Gilmore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3 no.4 = no.54, 2011년, pp.695 - 708  

이영진 (경희대학교) ,  송영민 (안양대학교) ,  이광표 (강릉원주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owadays, fishing village is in trouble because of the depletion of fishing resources and an aging population. Fishing village tourism can do important roles for improving these situation as alternative resources. This study monitored 6th fishing villages in Gangneung for discovering materials of f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강원도 어촌관광은 동해바다를 배경으로 농촌, 어촌, 산촌을 연계할 수 있는 매우 유리한 여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민들의 대체소득원으로서 강원도 어촌관광 가능성을 확인하고 강원도 어촌의 체험관광 자원 유형화를 통해 향후 체계적인 어촌관광 체험 프로그램의 운영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강릉시 어촌마을의 어촌관광 체험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정성적 연구방법인 현장연구 조사방법을 수행하였다.
  • 이상의 연구배경 하에 본 연구는 강릉시 어촌 지역의 자원 현황을 모니터링하여 어촌관광 체험프로그램을 발굴하고 유형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어촌관광 체험의 유형화는 Pine & Gilmore(1998)의 체험이론에 입각하여 이탈(Escapist), 심미적가치(Esthetic), 교육(Educational), 오락(Entertainment)의 4가지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제안된 Pine & Gilmore(1998)의 체험 영역을 현장연구를 통해 어촌관광 프로그램에 접목하여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즉, 각 마을별로 어떠한 체험 프로그램이 적절한지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Pine & Gilmore(1998)의 체험 유형을 적용하여 체험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이들이 제안한 대로 각 사분면에 속하는 체험 프로그램을 분류하기는 한계가 있었고 대부분 1~2개의 체험영역에 동시에 속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촌관광이란? 어촌과 바다는 생활공간이면서 관광자원이다. 관광분야에서 어촌관광은 어민이 주체인 어촌의 자연, 산업, 문화를 있는 그대로 이용하고 즐기는 활동이다. 특히, 도시와 다른 생활문화를 즐기기 위해 어촌을 찾는 도시민들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김준, 2006), 어촌은 해양관광의 소재로 최근 해양관광에 대한 관심 증가와 더불어 어민들의 대체 생계수단으로 유용한 자원이 될 수 있다.
어촌관광을 어촌주민과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는 이유는? 어촌관광은 바다에 부존하는 어족자원과 그와 관련된 시설 등을 활용하기 때문에 어촌주민과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어촌관광에서 어촌주민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어촌관광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인 분류를 수행한 연구의 의의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제안된 Pine & Gilmore(1998)의 체험 영역을 현장연구를 통해 어촌관광 프로그램에 접목하여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즉, 각 마을별로 어떠한 체험 프로그램이 적절한지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Pine & Gilmore(1998)의 체험 유형을 적용하여 체험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이들이 제안한 대로 각 사분면에 속하는 체험 프로그램을 분류하기는 한계가 있었고 대부분 1~2개의 체험영역에 동시에 속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국토해양부(2001). 해양관광활성화 방안. 

  2. 권영미. 박종희. 양주환(2010). 체험품질이 고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 문화산업연구 10(3), 51-72. 

  3. 김성귀. 홍장원(2004). 어촌 소득 증대 방안에 관한 연구: 어업외 소득을 중심으로, 수산경영론집 35(2), 31-51. 

  4. 김성귀. 홍장원. 박상우(2001). 어촌관광 유형별 개발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5. 김준(2006). 관광 콘텐츠로서 어촌의 문화자원 연구, 도서문화 28, 347-378. 

  6. 뉴시스(2007. 3. 7). 남해군 '제1회 어촌체험마을 혁신경진대회' 최우수상. 

  7. 뉴시스(2010. 3.18). 영덕군, 대진리 어촌체험마을 'Rural-20프로젝트' 최종 선정. 

  8. 문화체육관광부(2008). 2007 관광동향에 관한 연차 보고서. 

  9. 민창기(2001). 해양관광지 방문객의 관광동기 분석: 거제지역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24(3), 249-265. 

  10. 박구원. 이수옥(2002). 해안어촌관광의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26(3), 167-190. 

  11. 박조원. 송요셉(2010). 대학생의 온라인 게임 이용 동기가 체험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4(5), 131-154. 

  12. 법률지식정보시스템(2011). Retrieved from http://likms.assembly.go.kr/law. 

  13. 서동채. 신효중. 이병오(2009). 농어촌관광 비즈니스의 활성화 방안 연구, 농촌관광연구 16(2), 89-106. 

  14. 송학준. 최영준. 이충기(2011). 4Es 이론에 따른 축제 방문객의 충성도 연구, 관광연구 25(6), 179-198. 

  15. 신동주(2010). 이벤트에서의 체험요소가 체험즐거움, 체험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34(9), 251-270. 

  16. 신동주. 손재영(2008). 어촌관광 방문동기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32(3), 255-273. 

  17. 양한나. 정진욱. 김연수(2008). 장애인의 수중운동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 방법의 적용,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6(2), 225-250. 

  18. 이경진. 이창훈(2010). 농산어촌 어메니티자원을 활용한 대표경관 선정 및 등급평가에 관한 연구, 농촌관광연구 17(4), 63-83. 

  19. 이승우(2004). 지속 가능한 어촌관광의 도입과제, 해양수산동향 1160, 1-15. 

  20. 이영진(2010). 해양 레저관광활동 참여과정에서 쾌락성(hedonic)과 유용성(utilitarian)의 조절효과, 관광학연구 34(4), 35-59. 

  21. 이재석. 송학준. 이충기(2011). Pine과 Gilmore의 체험경제이론에 따른 입체영화 체험, 체험가치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영화 '아바타'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23(5), 281-298. 

  22. 이재형(2006). 소규모 어촌.어항 개발을 통한 해양레저스포츠관광 활성화 방안,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0(2), 151-167. 

  23. 장양례. 윤유식. 구본기(2011). 어촌관광객의 선호속성, 어촌체험관광 만족도 및 체험관광 상품개발 지지도, 추천의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관광연구 25(6), 341-363. 

  24. 중부 씨그랜트 강릉대 사업단(2008). 강릉시 어촌관광 활성화를 위한 관광프로그램 개발과 전략. 

  25. 지삼업. 김용재. 이재형(2005). 어촌어항을 활용한 해양스포츠 체험관광 활성화 방안, 수산해양교육연구 17(1), 86-105. 

  26. 최병길. 박성수(2007). 어촌체험관광마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고창 하전 어촌체험마을을 중심으로-, 관광정보연구 25, 27-52. 

  27. 하동현(2009). 대구. 경북 외래 관광객의 체험이 체험의 즐거움. 체험만족 및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24(5), 359-380. 

  28. 한국관광공사(2006). 해양관광실태조사(2005년 상반기). 

  29. 한숙영. 엄서호(2005). Pine과 Gilmore의 체험영역 모델에 관한 검증, 관광학연구 29(2), 131-148. 

  30. 홍성열(2004). 사회과학도를 위한 연구방법론, 서울: 시그마프레스. 

  31. Hall, C. M.(2001). Trends in ocean and costal tourism: the end of the last frontier?, Ocean & Coastal Management, 44(9-10), 604-618. 

  32. Pine, B. J. II. & Gilmore, J. H.(1998). Welcome to the experience economy, Harvard Business Review, 76(4), 97-105. 

  33. Pine, B. J. II.(1999). The Experience Economy:Work in Theatre & Every Business a Stage, Boston: HBS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