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설재배지 녹비작물 재배가 고추의 수량과 토양 이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een Manure Crops on Red-pepper Yields and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the Vinyl House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19 no.2, 2011년, pp.215 - 228  

양승구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서윤원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이유석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김현우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마경철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임경호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김홍재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김정근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정우진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공학부 친환경농업연구사업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자원 순환농법으로 환경 친화적인 고추 유기재배 기술을 확립하고자 하계 녹비작물의 재배가 시설 토양의 화학성과 고추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화본과 녹비작물인 하우스솔고와 수수는 건물수량이 많았으며, 뿌리도 깊게 분포하였다. 뿌리혹선충의 밀도는 수수와 네마장황 재배 토양에 하우스솔고와 콩 재배 토양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녹비작물의 무기성분 함량은 네마장황과 콩에서 T-N와 CaO 함량이 높았다. 녹비작물의 무기성분 중 T-N 고정량은 콩과 하우스솔고 그리고 수수가, $K_2O$와 MgO의 고정량은 하우스솔고와 수수에서 많았으며, CaO의 고정량은 콩 녹비작물에서 많았다. 녹비작물 재배 토양의 pH는 증가되었으나, 녹비작물을 환원 고추를 재배한 토양의 pH는 감소되었다. 녹비작물 재배 토양의 염류농도는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나, 녹비작물을 환원 후 고추를 재배한 토양의 염류농도는 증가되었다. 녹비작물 재배 토양의 유기물함량은 하우스솔고 재배 토양을 제외하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고추를 재배한 토양의 유기물함량은 감소되었다. 토양의 T-N함량은 콩을 제외하고 녹비작물 재배에 의하여 감소되었다. 녹비작물 재배 토양의 K농도는 콩 재배 토양에서 증가되었으나, 하우스솔고와 수수 재배 토양은 감소되었다. 녹비작물을 환원 고추를 재배한 토양의 K 농도는 콩과하우스솔고 재배 토양에서 증가되었다. 녹비작물 재배 토양의 Ca과 Mg 농도는 하우스솔고 재배 토양을 제외하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녹비작물을 환원 고추를 재배한 토양에 서 감소되었다. 녹비작물 재배 토양의 양이온치환용량은 네마장황과 하우스솔고 재배토양에서 감소되었으나, 수수와 콩, 무처리 토양은 증가되었으며, 녹비작물을 환원 고추를 재배한 토양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녹비작물을 토양에 투입 환원 후 재배한 고추의 생육과 수량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고추 수량은 녹비작물 재배 토양이 무처리에 비하여 7~23% 정도 증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stablish the organic cultivation of pepper using green manure crops, this work studied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green manure crops, mineral composition of green manure crops, mineral uptake in shoots of green manure crops, chemical composition in soil of green manure crops, and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두과 녹비작물은 질소 고정 능력이 높아(Power와 Zachariassen, 1993), 체내 질소함량 증가로 질소비료를 절감할 수 있으며(Smith 등, 1987; Utomo 등, 1991; 서 등, 2000b), 콩 유기재배 시 녹비작물로 재배하면 토양염류농도가 감소되고(윤과 남, 2009), 호밀과 헤어리베치는 피복효과가 높아 잡초발생을 억제 할 수 있다(서 등, 2005; 이 등, 2005). 따라서 본 시험은 시설 연작 토양에서 하계 녹비작물 재배가 유기재배 고추의 생육과 수량 그리고 토양 및 녹비작물의 무기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자원 순환농법으로 환경 친화적인 고추 유기재배 기술을 확립하고자 하계 녹비작물의 재배가 시설 토양의 화학성과 고추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화본과 녹비작물인 하우스솔고와 수수는 건물수량이 많았으며, 뿌리도 깊게 분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설 채소의 문제점으로 야기되는 것은? 우리나라는 국민소득과 지식수준의 향상으로 식품과 환경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 되어 유기재배 농산물의 생산과 소비가 급증하고 있으며, 유기 채소는 대부분 시설재배에서 생산되고 있다. 시설 채소는 다수확을 목표로 과다한 유기자재 투입에 의한 토양염류, 토양 무기성분의 길항작용, 병해충 확산으로 인한 농작물의 안정성과 수질 및 토양 오염에 의한 생태계 파괴 등 심각한 환경문제가 야기되고 있다(정과 손, 2000; 양 등, 2011a). 고추는 중요한 양념채소로 재배면적이 53천ha에서 연간 117천톤이 생산되고 있는데, 시설 고추는 같은 장소에서 동일한 비료와 퇴비 및 유기자재의 과도한 투입으로 토양의 양분 불균형이 초래되고 있다(박 등, 2009).
녹비작물 재배 토양의 특징은? IFOAM과 Codex의 유기식품 규격은 토양비옥도의 유지와 증진을 위하여 두과작물과 심 근성작물 등 녹비작물 재배를 필수사항으로 규정하고 있다(류, 2008). 시설재배 연작지에 화본과 월동 녹비작물인 보리와 호밀을 재배하면 두과 녹비작물인 헤어리베치와 완두콩에 비하여 식물체량이 많아서 질소와 칼리의 고정량이 많아 토양에 염류제거 효과가 크고, 보리 등 녹비작물을 재배한 토양은 근균근(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MF) 포자 밀도가 높아지며, 근균근 형성율이 증가된다(양 등, 2011b). 그리고 두과 녹비작물은 질소 고정 능력이 높아(Power와 Zachariassen, 1993), 체내 질소함량 증가로 질소비료를 절감할 수 있으며 (Smith 등, 1987; Utomo 등, 1991; 서 등, 2000b), 콩 유기재배 시 녹비작물로 재배하면 토양염류농도가 감소되고(윤과 남, 2009), 호밀과 헤어리베치는 피복효과가 높아 잡초발생을 억제 할 수 있다(서 등, 2005; 이 등, 2005).
유기 채소의 대부분을 생산하는 재배 방식은? 우리나라는 국민소득과 지식수준의 향상으로 식품과 환경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 되어 유기재배 농산물의 생산과 소비가 급증하고 있으며, 유기 채소는 대부분 시설재배에서 생산되고 있다. 시설 채소는 다수확을 목표로 과다한 유기자재 투입에 의한 토양염류, 토양 무기성분의 길항작용, 병해충 확산으로 인한 농작물의 안정성과 수질 및 토양 오염에 의한 생태계 파괴 등 심각한 환경문제가 야기되고 있다(정과 손, 2000; 양 등, 2011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충국.서종호.조현숙.최성호.김시주. 2002. 벼 재배시 헤어리베치 녹비의 이용 효과.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5: 169-174. 

  2. 류종원. 2008. 고랭지에서 파종시기에 따른 헤어리베치와 올리포트베치의 생육특성 및 녹비생산량. 한국유기농학회지 16(4): 409-420. 

  3. 박진면 ? 이인복 ? 강윤임 ? 황기성. 2009. 무기질 및 유기질 비료 시용이 고추 생육과 토양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지 27(1): 24-29. 

  4. 서윤원.양승구.김현우.정종모. 2008. 배추 유기재배지 토양관리 기술체계 확립, 영농활용자료. 전남농업기술원연구보고서. pp. 66-84. 

  5. 서종호.이호진.김시주. 2000a. 헤어리베치의 추파시기에 따른 녹비의 수량 및 질소량 변화. 한국잡초학회지 45: 400-404. 

  6. 서종호. 이호진.허일봉.김시주.김충국.조현숙. 2000b. 동계 녹비작물 초종별 화학성 및 생산성 비교. 한국초지학회지 20(3): 193-198. 

  7. 서종호.이호진.허일봉.김시주.김충국.조현숙. 2000c. 동계 사초호밀 및 녹비 헤어리베치 재배에 따른 토양 질산태질소 및 옥수수 질소 흡수량 비교. 한국초지학회지 20(3):199-206. 

  8. 서종호.박종열.송득영. 2005. 경사지 밭토양 유실억제 및 질소비료 절감에 대한 피복 작물 헤어리베치의 효과.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8(3): 134-141. 

  9. 서종호.이재은.박호기.김석동. 2007. 콩 질소집적에 대한 호밀녹비 효과 및 시비 중질소 회수율. 작물과학연구논총 8: 622-6291. 

  10. 손보균.진서영.김홍림.조주식.이도진. 2008. 인삼재배 예정지의 Arbuscular 근균균(AMF) 번식체 밀도 향상. 한국토양비료학회지 41: 170-176. 

  11. 손상묵. 2000. 한국 토착유기농업의 토양비옥도 증진책의 문제점과 대안. 한국유기농학회지 8: 53-77. 

  12. 송창길.강봉균. 2000. 녹비작물 재배 후 플라스틱 필름 멀칭에 따른 가을감자의 더뎅이병 방제 및 수량 특성 변화. 한국유기농학회지 8: 99-109. 

  13. 양승구.서윤원.김병호.손보균.위치도.최경주.정우진.박노동. 2011a. 시설토양에서 녹비작물 재배가 무경운 유기재배 고추의 Arvusular Mycorrhizal fungi(AMF) 포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학회지 19(3): 게재예정. 

  14. 양승구.서윤원.김용순.임경호.김선국.김홍재.김정근.정우진. 2011b. 녹비작물 재배가 무경운 재배 고추의 생육과 수량 및 시설토양의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학회지 v 19(2): 게재예정 

  15. 윤덕훈 ? 남기웅. 2009. 콩 유기재배시 춘파 호밀 간작의 효과. 한국유기농학회지 17:529-538. 

  16. 유영채 ? 이철원 ? 송범헌 ? 오성환 ? 최낙거. 2007. 과수원에서 헤어리베치(Vicia villosa Roth)를 이용한 잡초방제 효과. 한잡초지 27(2): 140-147. 

  17. 이정태 ? 이계준 ? 박철수 ? 황선웅 ? 용영록. 2005. 고랭지 배추 재배지에서 헤어리베치 초생재배에 의한 토양유실 경감 및 질소비료 공급효과.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8(5): 294- 300. 

  18. 정경란 ? 손상묵. 2000. 두과 ? 녹비작물 재배를 통한 유기농업 토양비옥도의 유지와 증진. 한국유기농학회지 pp. 97-110. 

  19. Curran, W. S. and L. D. Hoffman. 1994. The influence of a hairy vetch (Vicia villosa) cover crop on weed control in corn. Weed Technol. 8: 777-784. 

  20. Fisk, J. W., O. B. Hesterman, A. Shrestha, J. J. Kells, R. R. Harwood, J. M. Squire, and C. C. Sheaffer. 2001. Weed suppression by annual legume cover crop in no-tillage corn. Agron. J. 93: 319-325. 

  21. Power, J. F. and J. A. Zachariassen. 1993. Relative nitrogen utilization by legume cover crop species at three soil temperatures. Agron. J. 85: 134-140 

  2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6. Method of soil chemical analysis. RDA. Suwon, Korea. 

  23. Smith, M. S., W. W. Frye, and J. J. Varco. 1987. Legume Winter cover crops. Advances in soil Sci. 7: 95-139. 

  24. Utomo, M., W. W. Frye, and R. L. Blevins. 1990. Sustaining soil nitrogen for corn using hairy vetch cover Crop. Agron. J. 82: 979-98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