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포관(緇布冠) 연구
A Study on Chipogwan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1 no.5, 2011년, pp.123 - 138  

박길수 (단국대학교 전통의상학과) ,  최규순 (단국대학교 전통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how Chipogwan[緇布冠] with such a long history has been changed in China and Korea. With regard to the name, material, use and form of Chipogwa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Chipogwan was mentioned continuously in ancient books of ceremonies and literature f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시대에 사람이 거치는 의례에는 무엇이 있는가? 사람은 태어나서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살다가 죽음에 이르기까지 크고 작은 수많은 의례를 거치게 된다. 전통시대에 이러한 의례는 크게 관례(冠禮), 혼례(婚禮), 상례(喪禮), 제례(祭禮)의 사례(四禮)로 나누어졌다. 그 중 관례는 태어나면서부터 줄곧 ‘아직 완성되지 않은 존재[未成年者]’로 살았던 한 인간이 마침내 ‘완성된 존재[成年]’가 되는, 그래서 드디어 하나의 완성된 인격체로 대접받는 계기를 마련해 주는 중요한 의례였다.
관례란 무엇인가? 전통시대에 이러한 의례는 크게 관례(冠禮), 혼례(婚禮), 상례(喪禮), 제례(祭禮)의 사례(四禮)로 나누어졌다. 그 중 관례는 태어나면서부터 줄곧 ‘아직 완성되지 않은 존재[未成年者]’로 살았던 한 인간이 마침내 ‘완성된 존재[成年]’가 되는, 그래서 드디어 하나의 완성된 인격체로 대접받는 계기를 마련해 주는 중요한 의례였다. 관례는 미성년에게 세 번에 걸쳐 관(冠)을 씌우고 그 관에 합당한 옷을 입혀 주는 의례[三加禮]로 진행된다.
관례의 절차 중 삼가례의 초가에 착용하는 관의 이름은 무엇인가? 이어 관을 씌운 후 옷을 입히는 초가(初加), 재가(再加), 삼가(三加)의 절차를 거치게 되고, 각 절차에서 점점 더 높은 등급의 관과 옷으로 바꾸어 착용함으로써 미성년자에서 점차 성인(成人)으로 변해가는 모습을 형상화한다. 이 삼가례중 초가에 착용하는 관이 치포관(緇布冠)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禮記 郊特牲 

  2. 임명미 (1990), 中國歷代王朝別冠禮服飾制度에 관한考察(II)-三代(夏?商?周)以後先秦代까지 士冠禮時冠者의 服飾制度를 中心으로-, 同大論叢, 20(1), pp. 358-360. 

  3. 이정옥 (1990), 冠禮服飾硏究, 경산:영남대학교출판부, pp. 142-146. 

  4. 문영표 (2003), 四禮便覽과 居家雜服攷의 복식 연구-관례와 혼례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90-91. 

  5. 김혜주(2009), 중국 皮弁의 형태변천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4-40. 

  6. 彭林(2002), 經史說略-十三經說略-, 北京: 北京燕山出版社, pp. 110-114. 

  7. ?崇義. 新定三禮圖. 

  8. 陳祥道. 禮書. 

  9. 張惠言. 儀禮圖. 

  10. 後漢書 禮儀志 上 '冠' 

  11. 杜佑, 通典 卷56 禮16 '天子加元服' 

  12. 後漢書 輿服志 下 '進賢冠' 

  13. 杜佑, 通典 卷57 禮17 '君臣冠冕巾?等制度?緇布冠 進賢冠 

  14. 晉書 輿服志 

  15. 隋書 卷9 禮儀志 4 

  16. 杜佑, 通典 卷128 禮 88 '開元禮纂類'23 '皇太子受朝集 使參辭' 

  17. 朱熹, 朱子家禮通禮'深衣制度?緇冠'와 家禮圖'深衣冠 履之圖' 

  18. 吾妻重二(2010), 東アジアにおける文化情報の發信と受容, 東京: 雄松堂出版, p. 177. 

  19. 朱熹. 朱子家禮. 

  20. 丘濬, 家禮儀節 卷1 通禮 '深衣制度' 

  21. 丘濬, 家禮儀節 卷1 通禮 '深衣制度-緇冠' 

  22. 金長生, 家禮輯覽 卷1 通禮 '深衣制度.緇冠' 

  23. 明史 卷54 禮志 8 嘉禮2 '品官冠禮' 

  24. 明會典 卷63 禮部 23 '冠禮.品官冠禮'. 

  25. 權近, 禮記淺見錄 卷10 郊特牲 陳澔 注 

  26. 장동우 (2009), 조선후기 家禮談論의 등장 배경과 지역적 특색- ?朱子家禮?에 대한 註釋書를 중심으로-, 조선의 주자학과 실학, 朱子思想硏究會編, 서울: 혜안, p. 265. 

  27. 曺好益, 家禮考證 卷4 冠禮 '冠' 

  28. 金長生, 家禮輯覽 卷2 冠禮 '加冠巾納履' 

  29. 李縡, 四禮便覽 卷1 冠禮 '諸具' 

  30. 丁若鏞, 與猶堂全書 3集 23卷 嘉禮酌儀 '冠禮' 

  31. 이정옥 (1990), 冠禮服飾硏究, 경산:영남대학교출판부, p. 147. 

  32. 정혜경 (1998), 심의, 마산: 경남대학교출판부, pp. 37-50. 

  33. 金長生. 家禮輯覽. 

  34. 曺好益, 家禮考證 卷2 深衣制度 '緇冠' 

  35. 李縡, 四禮便覽 卷1 冠禮 '緇冠' 

  36. 鄭來源, ?窩遺稿 卷1 雜著 '緇布冠制度增損說' 

  37. 柳徽文, 好古窩先生別集 卷1 冠服考證 '宋緇布冠' 

  38. 許傳, 士儀 卷4 成人篇1 '冠冠服之具.緇布冠' 

  39. 許傳, 士儀 卷18 法服篇2 '緇布冠說' 

  40. 影堂紀蹟 堂中遺物件記 

  41. 文化財管理局(1970), 重要民俗資料 調査報告書, p. 643. 

  42. 자료제공일 2010. 11, 안동청년유도회에서 제공받은 자료. 

  43. 자료제공일 2010. 12, 학성강당에서 제공받은 자료 

  44. 이준규 (1996. 3. 1), 상투틀고 '건강서당'현대판 훈장, 경향신문, p. 25. 

  45. 저자촬영날짜 2010. 9, 성균관.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