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도시재생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국적으로 쇠퇴정도를 파악하고 지구단위별 쇠퇴지역 및 잠재력 등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성과 복합성을 고려한 공간정보 기반의 종합적 진단체계의 구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진단체계 구축의 일환으로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 아키텍처를 설계하였다. 시스템 개발을 위해 일차적으로 시군구단위 쇠퇴진단지표 DB를 구축하고, 쇠퇴진단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시스템의 고도화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DB 구축은 전국 시군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시스템은 Open API 기반으로 확장이 용이하도록 설계하였다. 그리고 RIA 기술 기반의 직관적인 UI를 구현하였다. 시스템의 주요기능은 지표관리, 진단분석(시군구단위 쇠퇴진단), 정보공개 등으로 구성하였다. 고도화 방안에서는 도시재생 DB의 공간적 관계성을 고려한 정보모형을 설계하고, 시멘틱 웹의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지구단위 분석모형의 개선방안으로 지구단위 분석모형, GIS 기반의 공간분석 플랫폼, KOPSS 분석 모듈의 연계 활용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의 활용을 통해 도시쇠퇴의 현황 파악 및 재생대상의 우선적인 수요파악을 통해 정책결정이 용이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In order to achieve an efficient urban regeneration of the nation, it is required to determine the extent of decline nation-wide and the declined areas for each district and also to evaluate the potentials of the concerned areas. For this task to be accomplished, a construction of a comprehensive diagnostic system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considering diversity and complexity is required. In this study, a total information system architecture for urban regeneration is designed as part of the construction of such a diagnostic system. In order to develop the system, a city and district level unit decline diagnostic indicators has been constructed and a decline diagnostic system has been developed. Also, a scheme to promote the advancement of the system is proposed. The DB construction is based on the city and district level nation-wide and metadata for the concerned level is constructed as well. The system is based on the Open API and designed to be flexible for extension. Also, an RIA-based intuitive UI has been implemented. Main features of the system consist of the management of the indicators, diagnostic analysis (city and district level decline diagnosis), related information, etc. As for methods for the advancement, an information model in consideration of the spation relations of the urban regeneration DB has been designed and application methods of semantic webs. Also, for improvement methods for district unit analytical model, district level analysis models, GIS based spatial analysis platforms and linked utiliation of KOPSS analysis modules are suggested. A use of a total information system for urban regeneration is anticipated to facilitate concerned policy making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the status of city declines to identify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demands for regeneratio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을 성공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종합정보시스템에 대한 체계를 정립하고, 도시재생DB에 대한 개념적 구상을 보완한 고도화 방안을 수립하였다. 이에 대한 지원을 위해 도시재생 DB 및 종합정보시스템의 단계별 추진전략 및 방안을 구상하고 고도화 방안에 기반한 종합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해 1단계로 시군구 단위의 도시쇠퇴 내용과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쇠퇴진단지표 DB 구축 및 종합적 진단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 구축의 일환으로 시군구 단위의 쇠퇴진단 시스템을 구축하고, 향후 구축할 시스템의 고도화 방안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종합정보시스템은 도시재생이 요구되는 쇠퇴도시의 지역별 쇠퇴 원인, 쇠퇴현황 등의 특성 및 차이점을 고려하여 지역여건에 맞는 종합적인 도시재생계획의 수립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플랫폼 부분에서는 OGC 웹서비스 표준을 준용한 웹 GIS 엔진을 도입하여 향후 다양한 정보의 서비스 기반 연동 활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웹 맵 서비스(WMS)를 구현했다. 시스템 기능은 시군구 단위 쇠퇴진단 기능과 지표 검색·관리 기능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1단계로 시군구 단위의 도시쇠퇴 내용과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쇠퇴진단지표 DB 구축 및 종합적 진단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도시 | 우리나라 도시들에서 낙후 및 쇠퇴 문제의 원인은 무엇인가? |
빈곤시대의 건축유산, 비계획적인 도 시구조, 기반시설의 노후화, 교외화, 산업구조의 변화, 도시간 경쟁관계 등
우리나라의 도시들은 빈곤시대의 건축유산, 비계획적인 도 시구조, 기반시설의 노후화, 교외화, 산업구조의 변화, 도시간 경쟁관계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도시내 일부 지역 또는 전체적으로 낙후 및 쇠퇴의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도시쇠퇴와 지역간 불균형 등의 실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체계적 기초 자료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
도시재생 | 효율적인 도시재생 정책수립 및 사업추진을 위해 체계화된 도시재생 DB 및 종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현실적으로 도시쇠퇴와 지역간 불균형 등의 실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체계적 기초 자료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도시들은 빈곤시대의 건축유산, 비계획적인 도 시구조, 기반시설의 노후화, 교외화, 산업구조의 변화, 도시간 경쟁관계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도시내 일부 지역 또는 전체적으로 낙후 및 쇠퇴의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도시쇠퇴와 지역간 불균형 등의 실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체계적 기초 자료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효율적인 도시재생 정책수립 및 사업추진을 위해서는 현재 구축되고 있는 다양한 정보 DB와의 연계를 도모하고, 도시의 쇠퇴현황과 재생잠재력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체계화된 도시재생 DB 및 종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
도시재생 | 도시재생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것은? |
전국적으로 쇠퇴정도를 파악하고 지구단위별 쇠퇴지역 및 잠재력 등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도시재생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국적으로 쇠퇴정도를 파악하고 지구단위별 쇠퇴지역 및 잠재력 등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성과 복합성을 고려한 공간정보 기반의 종합적 진단체계의 구축이 요구된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