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대적 변화에서 나타난 백남준과 그의 모순
Nam June Paik and His Self-contradiction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7, 2011년, pp.153 - 167  

정소연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  이원형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세기 미술사에 있어서 미술의 새로운 장르로 평가되는 비디오 아트의 창시자 백남준은 미래를 내다보는 혜안을 가진 예언자이며 인류 문화사에 새로운 획을 그은 위대한 예술가이다. 백남준 예술에 관한 연구는 현대 미술의 주요 담론들과 쟁점들에 거의 다 닿아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그 연구 결과물들을 살펴보면 비디오 아트의 창시자라는 영광스러운 타이틀에 가려져 그의 사상적 흐름의 변천이라든가 또 그가 진정으로 고민해왔을 자기모순들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사실 백남준은 아방가르드(avant-garde) 예술가이면서 제도권 예술가이고 포스트 모더니스트이면서 모더니스트일 뿐 아니라 반예술과 체제순응적 예술, 고급 예술과 대중문화 등을 논함에 있어 그 접점에 놓여있는 예술가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반예술로 출발한 플럭서스(Fluxus) 아방가르드 예술가로서 선봉적 역할을 해 오다가 작업의 규모나 형식이 발전함에 따라 체제순응적으로 변해가는 백남준 예술의 변천 과정을 따라가 보고 백남준 예술에 대한 기존 연구들의 한계점을 고찰해 보려고 한다. 하지만 이 연구는 그의 예술에 대한 무조건적인 비판이나 반대 이론을 제기함이 아니라 그의 탁월한 이상과 업적에 가려졌던 백남준 예술철학의 자기 모순적 변천과정에 대한 고찰과 기존의 백남준 연구에 있어서 미흡했던 부분들을 살펴봄으로서 백남준 예술의 업적을 새로운 비판적 시점에서 다시 한 번 되짚어 보는데 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evolution of Nam June Paik's self-contradictory art philosophy. While the existing literature tends to slight it, Paik's works of arts remain fraught with contradictions: Paik has proved prima facie avant-garde an artist; however, as the scale and form of his work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남준은 누구인가? 20세기 미술사에 있어서 미술의 새로운 장르로 평가되는 비디오 아트의 창시자 백남준은 미래를 내다보는 혜안을 가진 예언자이며 인류 문화사에 새로운 획을 그은 위대한 예술가이다. 백남준 예술에 관한 연구는 현대 미술의 주요 담론들과 쟁점들에 거의 다 닿아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백남준은 언제 태어났는가? 백남준은 1932년 7월 20일 서울 종로구 서린동에서 섬유 업계의 대부 백낙승의 막내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부친 백낙승은 종로와 동대문 일대의 포목점의 절반 이상을 소유한 섬유 업계의 거부로서 일제시대 대표적 기업인 중 한 사람이었다[2].
백남준의 부친은 누구인가? 백남준은 1932년 7월 20일 서울 종로구 서린동에서 섬유 업계의 대부 백낙승의 막내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부친 백낙승은 종로와 동대문 일대의 포목점의 절반 이상을 소유한 섬유 업계의 거부로서 일제시대 대표적 기업인 중 한 사람이었다[2]. 백남준과 그의 형제자매들은 집안의 경제적 풍요로움 덕분에 그 시대의 다른 한국인들과는 다르게 동서양을 오가며 다양한 문물과 문화를 접하고 폭넓은 사고와 사상적 영향을 받으며 성장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Theodor W Adorno, Asthetische Theorie, Frankfurt/M 1981, 홍승용 번역, 미학이론, 문학과 지성사, pp.349-353, 2000. 

  2. 구보타 시게코, 남정호. 나의 사랑 백남준, 이순, 2010. 

  3. 이용우, 백남준 그 치열한 삶과 예술, 열음사, 2000. 

  4. 이근용, "플럭서스 활동과 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22, 2002. 

  5. 김용옥, 석도화론(石濤畵論), 통나무, p.226, 1992. 

  6. 이용우, 백남준 그 치열한 삶과 예술, 열음사, p.41, 2000. 

  7. 강태희. "전위의 첨단 예술: 초기 작품에서 비디오까지", 미술세계, p.42. 1988(11). 

  8. 정헌이. "백남준의 선적 시간", 2006. 

  9. 김용옥, 석도화론(石濤畵論), 통나무, p.249, 1992. 

  10. 르네블록, 전경희 옮김, 플럭서스(Fluxus), 열화당, 1990. 

  11. Emmett Williams, AnnNoel. History of Fluxus. Facts & Fictions, Thames & Hudson, 2007. 

  12. 이근용, "플럭서스 활동과 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p.16, 2002. 

  13. 김홍희, 백남준과 그의 예술, 해프닝과 비디오 아트, 디자인 하우스, p.57, 1999. 

  14. 김홍희, 백남준과 그의 예술, 해프닝과 비디오 아트, 디자인 하우스, p.49, 1999. 

  15. Rene Payant, "La Frenesie de L'image vers une Esthetique selon la Video," Video-Video, Paris : Revue d'Esthetique, p.20, 1986. 

  16. 김홍희. 백남준과 그의 예술. 해프닝과 비디오 아트, 디자인 하우스, pp.49-50, 1999. 

  17. M. Horkheimer und Th. Adorno, Dialektik der Aufklarung : 김유동 주경식 이상훈 역, 계몽볍증법, 문예출판사, pp.169-228, 1995. 

  18. 문병호, "아도르노 비판 철학의 발전적 전개 가능성", 연세대학교 신문 특집, 비판 담론의 갱신을 위하여 2, 2001(2). 

  19. 문병호, 아도르노의 사회 이론과 예술 이론, 문학과 지성사, 1993. 

  20. Jean Baudrillard, 이상률 번역, 소비의 사회, 문예출판사, pp.125-126, 1992. 

  21. Jean Baudrillard, Paul Foss, Philip Beitchman, Simulations, Semiotex, 1984. 쟝 보드리야르. 시뮬라시옹, 민음사, 2001 

  22. 르네블록, 전경희 옮김, 플럭서스(Fluxus), 열화당, 1990. 

  23. 김홍희, 페미니즘. 비디오. 미술, 재원, 1998. 

  24. 백남준. Rene Block 편집, "Reflections on Good Morning Mr. Orwell", "Art & Satellite: Good Morning Mr. Orwell", Berlin: Daad Galerie, 1984. 

  25. 김홍희, 페미니즘, 비디오. 미술, 재원,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