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금강수계에서 하상재료에 따른 어류의 종다양성 및 서식지 평가
Assessment of Inhabitation and Species Diversity of Fish to Substrate Size in the Geum River Basin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0 no.6, 2011년, pp.845 - 856  

허준욱 (생물모니터링센터) ,  인동수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장민호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강형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강경호 (전남대학교 수산해양대학 해양기술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stablish fundamental data for stream restoration and environmental flow, we investigated inhabitation and species diversity of fish to substrate size in the typical streams of Geum River Basin. Field monitoring including fish sampling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07 to October 2009. Su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각 변수는 최적(200~162), 최적-양호(161~149), 양호(148~104), 양호-보통(103~91), 보통 (90~46), 보통-악화(44~33) 및 악화(<32)상태로구분하였으며, 각 10개의 점수를 합산하여 하천의 물리적 건강성을 평가하였다.
  • 각각의 지표점수를 합산하여 최적(50~47), 최적-양호(46~43), 양호(42~38), 양호-보통 (37~35), 보통(34~29), 보통-악화(28~26), 악화 (25~18), 악화-최악(17~14) 및 최악(<13)으로 분류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금강수계를 대상으로 물리적 서식지 조건인 하상재료의 크기에 따라 18개 지점을 선정하여, 각각의 조건에 대한 출현한 어종의 종다양성과 서식지를 평가하였다.
  • 본류 및 지류에서 하상재료 조사를 기초로 하여, 우효섭(2004)와 Wentworth (1922)의 사립자 크기 등급에 따라 실트(silt, Si, <0.062 mm), 모래(sand, Sa, 0.062~2.0 mm), 가는자갈(fine gravels, Fg, 2.0~16.0 mm), 굵은자갈(coarse gravels, Cg, 16.0~64.0 mm), 호박돌(cobbles, Co, 64.0~256.0 mm) 및 전석(boulders, Bo, >256.0 mm)으로 분류하였다.
  • 투망은 정량적 조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20회씩 동일하게 투척하였으며, 족대는 하천 좌 · 우안 식생주변과 호박돌 주변에서 채집하였다. 소, 여울 및 유수역에서 투망의 투척 횟수는 가급적 횟수를 같게 하였으며, 족대의 채집 시간도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조사는 하류로부터 상류로 올라가면서 하천을 지그재그(zigzag)로 채집하였다.
  • 어류채집은 조사정점 상 · 하류 각각 200 m 구간에서 60분씩 실시하였으며, 소(pool), 여울(riffle) 및 흐름이 있는 곳(run)을 모두 포함하여 조사하였다.
  • 또한 사진촬영으로 구분되지 않는 모래이하의 크기는 상법에 따라 D50으로 분석하였다. 조사된 자료를 기초로 하여 각각의 하상재료에 따른 3개 지점씩 선정한 후 어류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 조사된자료를기초로각지점에서우점종(dominant species) 및 아우점종(subdominant species)을 구분하였고, 군집분석은 어종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우점도(dominance index, Simpson, 1949), 종다양도(diversity index, Pielou, 1975), 균등도(evenness index, Pielou, 1975) 및 풍부도(richness index, Margalef, 1968)를 산출하였다.
  • 조사방법은 50×50 cm 방형구를 사용하여 카메라로 지점 당 30개 이상 촬영한 후, 컴퓨터 화면에서 각각의 하상재료 크기를 측정 및 계수하여 면적비율로 하상분포도를 산출하였다.
  • 투망은 정량적 조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20회씩 동일하게 투척하였으며, 족대는 하천 좌 · 우안 식생주변과 호박돌 주변에서 채집하였다.
  • 하상재료 조사는 봄(2~3월)과 가을(10~11월)에 2회 실시하였다. 조사방법은 50×50 cm 방형구를 사용하여 카메라로 지점 당 30개 이상 촬영한 후, 컴퓨터 화면에서 각각의 하상재료 크기를 측정 및 계수하여 면적비율로 하상분포도를 산출하였다.
  • 환경유량과 하천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립하고자 금강수계에서 2007년 10월~2009년 10월까지 하상재료에 따른 어류의 종다양성 및 서식지 평가를 실시하였다. 하상재료는 6단계로 실트(Si), 모래(Sa), 가는자갈(Fg), 굵은자갈(Cg), 호박돌(Co) 및 전석(Bo)으로 구분하여, 각각 3개 지점에 대하여 어류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모든 지점에서 채집된 어류는 10과 50종 7,649개체였다.
  • 환경유량과 하천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립하고자 금강수계에서 2007년 10월~2009년 10월까지 하상재료에 따른 어류의 종다양성 및 서식지 평가를 실시하였다. 하상재료는 6단계로 실트(Si), 모래(Sa), 가는자갈(Fg), 굵은자갈(Cg), 호박돌(Co) 및 전석(Bo)으로 구분하여, 각각 3개 지점에 대하여 어류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조사는 2007년 10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금강수계의 주요지점을 선정하여 어류 및 하상재료를 조사하였다. 채집지점은 본류, 초강천, 석천, 미호천, 논산천, 보청천, 갑천, 유구천, 지천, 삽교천, 정읍천 및 만경강을 포함한 총 18개 지점이다(Fig.
  • 세 어종에 대하여 서식 환경 조건은 여울이 형성되어 있는 서식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하천 정비 및 각종 수환경 개선 사업시에 이러한 서식환경은 활용되어야 한다고 하였다(허 등, 2009b; 허 등, 2010). 본 조사에서도이 세 어종은 여울이 존재하는 곳에 서식하였으며, 하상재료가 Cg과 Co 지점에서 주로 채집이 되었다. 감돌고기의 경우, 이 등(2004)에 의하면 수심 0.
  • 어류의 채집은 투망(망목크기, 5×5 mm) 및 족대(3×3 mm)를 사용하였다.
  • 소, 여울 및 유수역에서 투망의 투척 횟수는 가급적 횟수를 같게 하였으며, 족대의 채집 시간도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조사는 하류로부터 상류로 올라가면서 하천을 지그재그(zigzag)로 채집하였다. 현장에서 채집된 어류는 동정이 가능한 종은 현장에서 확인한 후 방류하였으며, 동정이 불가능한 종은 10%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하여 연구실에서 김익수와 박종영(2002)의 문헌을 참고하였다.
  • 본 조사는 2007년 10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금강수계의 주요지점을 선정하여 어류 및 하상재료를 조사하였다. 채집지점은 본류, 초강천, 석천, 미호천, 논산천, 보청천, 갑천, 유구천, 지천, 삽교천, 정읍천 및 만경강을 포함한 총 18개 지점이다(Fig. 1). 조사지점의 행정구역명 다음과 같다.
  • 환경부에서 지정한 멸종위기야생동물(endangered species)로 감돌고기(Pseudopungtungia nigra)와 꾸구리(Gobiobotia macrocephala), 돌상어(G. brevibarba)가 출현하였다. 세 어종에 대하여 서식 환경 조건은 여울이 형성되어 있는 서식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하천 정비 및 각종 수환경 개선 사업시에 이러한 서식환경은 활용되어야 한다고 하였다(허 등, 2009b; 허 등, 2010).

이론/모형

  • 생물보전지수(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는 생태지표 4개, 먹이습성지표 3개 및 풍부도및 건강성지표 3개로 구성된 총 8~10개의 지표를 사용하였으며, 각 지표에 대한 점수분류(1~5점) 및 기준 선정(하천차수 및 어류 습성 등)은 Karr (1981)와 안광국 등(2001)이 제시한 방법을 이용하였다. 각각의 지표점수를 합산하여 최적(50~47), 최적-양호(46~43), 양호(42~38), 양호-보통 (37~35), 보통(34~29), 보통-악화(28~26), 악화 (25~18), 악화-최악(17~14) 및 최악(<13)으로 분류 하였다.
  • 현장에서 채집된 어류는 동정이 가능한 종은 현장에서 확인한 후 방류하였으며, 동정이 불가능한 종은 10%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하여 연구실에서 김익수와 박종영(2002)의 문헌을 참고하였다. 어류의 검색 및 분류체계는 Nelson (1994)의 방법에 따라 정리하였다.
  • 정량적서식지평가지수(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는 Plafkin et al. (1989)의 방법에 10개의 항목을 선택하여 적용하였다. 각 변수는 최적(200~162), 최적-양호(161~149), 양호(148~104), 양호-보통(103~91), 보통 (90~46), 보통-악화(44~33) 및 악화(<32)상태로구분하였으며, 각 10개의 점수를 합산하여 하천의 물리적 건강성을 평가하였다.
  • 조사는 하류로부터 상류로 올라가면서 하천을 지그재그(zigzag)로 채집하였다. 현장에서 채집된 어류는 동정이 가능한 종은 현장에서 확인한 후 방류하였으며, 동정이 불가능한 종은 10%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하여 연구실에서 김익수와 박종영(2002)의 문헌을 참고하였다. 어류의 검색 및 분류체계는 Nelson (1994)의 방법에 따라 정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천에서 어류의 서식은 무엇의 영향을 받는가? 하천에서 어류의 서식(inhabitation)은 주변 환경 조건이 산간 및 평야지대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특히 평야지대에 서식하는 어종일수록 환경요인에 대한 내성이 강한 것으로 보고하였다(Hubbs and Hettler, 1964; Matthews and Hill, 1980). 수계 시스템은 발원지로부터 하구까지 지속적으로 물리적 변동에 따라 흐름이 변화하고, 각각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다양성(species diversity)도 변화 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산간계곡 하천의 구조적 특징은? 수계 시스템은 발원지로부터 하구까지 지속적으로 물리적 변동에 따라 흐름이 변화하고, 각각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다양성(species diversity)도 변화 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산간계곡 하천은 폭이 좁고 유속이 빠르며, 하상재료(substrate size)는 전석 (boulders)과 호박돌(cobbles)로 대부분 이루어져 있다. 하류로 내려갈수록 폭과 수심은 증가하며, 유속이 느려지고 하상재료의 사립자 크기는 작아지는게 일반적이다.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들의 최적의 서식장소는 무엇에 따라 달라지는가?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들도 물리적인 조건에 따라서식하는 종들이 다르며, 각각의 조건에 적응하며 살아간다. 한편,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는 종특이성 (species specificity)이 있어 먹이습성, 서식지 형태 및 하상재료의 구성 등에 따라 최적의 서식장소가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산간계곡 하천보다는 하류로 갈수록 출현어종 수와 양이 많아지는데, 이는 하폭이 넓어지고 유량이 증가하여 어류가 서식할 수 있는 미소서식지가 다양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이광열 등, 2006; 허준욱 등, 2009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김익수, 박종영, 2002,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466 pp. 

  2. 손영목, 송호복, 2006, 금강의 민물고기, 지성사, 239 pp. 

  3. 안광국, 정승현, 최신석, 2001, 생물보전지수(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및 서식지 평가지수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를 이용한 평창강의 수환경 평가, 155-158. 

  4. 우효섭, 2004, 하천수리학, 청문각, 362-363. 

  5. 이광열, 장영수, 최재석, 2006, 평창강의 어류상 및 법적보호종의 서식 실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3): 331-339. 

  6. 이성훈, 한경호, 윤성민, 황동식, 유동재, 이충렬, 김익수, 손영목, 2004, 감돌고기(Pseudopungtungia nigra)의 산란습성 및 초기생활사, 한국어류학회지 16(4): 309-316. 

  7. 전상린, 1980, 한국산 담수어의 분포에 관하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91. 

  8. 최재석, 김재구, 2004, 홍천강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환경생물학회지 18(3): 446-455. 

  9. 허준욱, 강형식, 장민호, 2011, 한강수계 달천의 어류상과 물리적 서식지 조건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33(8): 564-571. 

  10. 허준욱, 김정곤, 2009, 용담댐 하류의 하천 건강성평가 및 어류 서식처를 고려한 최적유량 산정, 한국수자원학회지 42(6): 481-491. 

  11. 허준욱, 박상영, 강신욱, 김정곤, 2009a, 하천차수에 따른 금강수계 피라미(Zacco platypus)의 서식지 평가, 환경생물학회지 27(4): 397-405. 

  12. 허준욱, 박진우, 강신욱, 김정곤, 2010b, 금강유역의 어류상과 서식지 적합도 지수 산정,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6): 516-527. 

  13. 허준욱, 박진우, 김정곤, 2010, 초강천의 어류상과 군집, 한국하천호수학회지 43(2): 271-278. 

  14. 허준욱, 서진원, 2011, 한강의 대표적 하천에 서식하는 참갈겨니(Zacco koreanus)의 물리적 서식 조건에 관한 연구, 환경영향평가, 20(2): 207-215. 

  15. Hubbs, C. and Hettler, W.F., 1964, Observations on the tolerance of high temperatures and low dissolved oxygen in natural waters by Crenichthys baileyi, The Southwestern Naturalist, 9, 245-248. 

  16. Karr, J.R., 1981, Assessment of biotic integrity using fish communites, Fishieries, 6, 21-27. 

  17. Margalef, R., 1968, Perspectives in Ecological Theory, Chicago, 111pp. 

  18. Matthews, W.J. and Hill, L.G., 1980, Habitat partitioning in the fish community of a southwestern river, Southwest, Nature, 25, 51-66. 

  19. Nelson, J.S., 1994, Fishes of the world. John Wiely and Sons, New York, 600pp. 

  20.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Wiley, New York, 165pp. 

  21. Plafkin, J.L., M.T. Barbour, K.D. Porter, S.K. Gross, and R.M. Hughes, 1989, Rapid 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rivers: binthic macroinvertebrats and fish, EPA/444/4-89-001, Office of Water Regulations and Standards, U.S.EPA, Washington, DC, USA. 

  22. Simpson, E.H., 1949, Measuremwnt of diversity, Nature, 163, 688. 

  23. Wentworth, C.K., 1922, A scale of grade and class terms for clastic sediments: The Journal of Geology, 30, 377-3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