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한강 수계에서 하천차수에 따른 생태건강도 평가 및 지점별 물리적 서식지 평가
Ecological Health Assessments on Stream Order in Southern Han River Watershed and Physical Habitat Assessments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1 no.4, 2013년, pp.440 - 447  

최지웅 (충남대학교 생명과학과) ,  안광국 (충남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남한강 상류수계의 10개 지점에서 생물보전지수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및 물리적 서식지 평가 지수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를 이용하여 생태건강도 특성을 평가하였다. 생물보전지수 조사는 Karr (1981)가 제시한 12개 항목 중 11개 메트릭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생물보전지수 등급은 "양호상태"였고, 지점별 IBI 값의 범위는 33 (악화상태)~47 (양호상태)로 나타났다. 물리적 서식지측면에서는 Plafkin et al. (1989)에 의해 도입된 서식지 평가 지수(QHEI)의 12항목 중 9개 항목에 대해 평가를 실시했으며, QHEI 값의 범위는 75~109로 나타났으며, 전체 서식지 건강도 평균치는 부분 지지상태(Partially supporting)로 나타났다. 연구지점내의 하천 비교평가에 따르면, Gj 하천의 IBI 모델 값 및 QHEI 모델 값은 타 하천들 (Ig, Dn 하천)에 비해 양호한 상태로 평가되었다. 어류의 영양단계 종 성분분석에 따르면, 식충종, 잡식종 및 육식종은 61.9%, 19.0% 및 9.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류의 내성도 길드분석에 따르면, 민감종 (76.1%)은 내성종 (4.7%)보다 우점하여 생태계가 건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서식지 길드 분석에 따르면, 여울성 저서종(57.1%)은 수층종(28.5%)보다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기간 동안, 외래종 및 질병에 걸리거나 비정상적인 증상을 나타내는 개체는 관측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생태건강도 모델값(IBI) 및 서식지평가지수 모델값의 분석에 따르면 본 상류 하천지역은 생태학적으로 양호한 상태로 잘 유지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cological health, based on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and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 was evaluated in 10 stream sites of Southern Han River. Eleven parameters of 12 parameters (Karr 1981) were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regional Korean circumstance. The ecolo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남한강 상류수계의 10개 지점에서 생물보전지수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및 물리적 서식지 평가 지수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를 이용하여 생태건강도 특성을 평가하였다. 생물 보전지수 조사는 Karr (1981)가 제시한 12개 항목 중 11개 메트릭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우리나라의 많은 하천 및 강의 수환경의 서식지가 변해가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우리나라의 많은 하천 및 강은 다양한 수자원의 이용 및 건설로 인해 수환경의 서식지가 변해가고 있으며, 각종 산업폐수와 생활하수의 증가는 유수생태계의 부영양화를 가속화 시키고 있다 (Shin and Cho 1999). 이러한 상황에서 하천 생태계의 생물 서식지 교란, 물질순환 및 에너지 흐름의 급격한 변화는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수생생물, 특히 어류의 종 조성을 변화시켜 이에 대한 생태계의 종합적 건강도 평가 및 모니터링 평가가 시급한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많은 하천 및 강의 산업폐수와 생활하수의 증가가 미치는 영향은? 최근 우리나라의 많은 하천 및 강은 다양한 수자원의 이용 및 건설로 인해 수환경의 서식지가 변해가고 있으며, 각종 산업폐수와 생활하수의 증가는 유수생태계의 부영양화를 가속화 시키고 있다 (Shin and Cho 1999). 이러한 상황에서 하천 생태계의 생물 서식지 교란, 물질순환 및 에너지 흐름의 급격한 변화는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수생생물, 특히 어류의 종 조성을 변화시켜 이에 대한 생태계의 종합적 건강도 평가 및 모니터링 평가가 시급한 실정이다.
환경 평가자들은 급속도로 악화되어 가는 수중 생태계 오염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화학적 모니터링 방식을 이용해왔는데 그 한계점은 무엇인가? 환경 평가자들은 급속도로 악화되어 가는 수중 생태계 오염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화학적 모니터링 방식을 가장 빈번하게 이용해 왔다(Karr 1981; US EPA 1991). 그러나 화학적 모니터링은 생태계의 변화에 대한 총체적 특성을 잘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면, 수체의 흐름 변화, 서식지 면적의 감소 및 수체내의 생물 먹이연쇄 등에 대한 특성은 화학적 평가로는 전체를 탐지할 수 없어 종합적인 평가가 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Karr 1981). 우리나라의 경우 수질평가를 위해 어류, 수서곤충 및 조류와 같은 생물종을 이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n KG, DH Yeom and SK Lee. 2001a. Rapid bioassessments of Kap stream using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Korean J. Environ. Biol. 19:261-269. 

  2. An KG, SH Jung and SS Choi. 2001b. An evaluation on health conditions of Pyong-Chang River suing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and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 Korean J. Limnol. 34:153-165. 

  3. Bae KS. 1993. Community structure and ecological dynamic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according to the micro-habitats in Gokneung Stream. Korean J. Limnol. 26:263-280. 

  4. Barbour MT, J Gerritsen, BD Snyder and JB Stribling. 199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wadeable rivers: Periphyt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 EPA 841-B-99-002 (2nd ed.). Office of Water, US EPA, Washington, DC, USA. 

  5. Bartholow JM. 1989. Stream temperature investigations: field and analytical methods. Instream flow information pater 13. Biological Report 89 (17). Fish and Wildlife Service,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Washington, DC, USA. 

  6. Byeon HK, JS Choi and JK Choi. 1996. Fish fauna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anadromous type fish in Yangyangnamdae Stream. Korean J. Limnol. 29:159-166. 

  7. Cho KJ, JK Shin, SK Kwak and OH Lee. 1998. Diatom genus Stephanodiscus as eutrophication indicator for water quality assessment. Korean J. Limnol. 31:204-210. 

  8. Choi JK and HK Byeon. 1999. Fish community in the lower course of Han River. Korean J. Limnol. 32:49-57. 

  9. Choi KC, SR Jeon, IS Kim and YM Son. 1990. Coloured illustrations of the freshwater fishes of Korea. Hyang-Moon Publishing Co., Korea. 

  10. Choi SS, HB Song and SO Hwang. 1997. Study on the fish community in the Daechong Reservoir. Korean J. Limnol. 30:155-166. 

  11. Gutierrez MAR. 1994. Utilizacion de la ictiofauna como indicadora de la integridad biotica de los Rios Guachey Guanare, Estado Portuguesa, Venezuela, pp. 1-40. M.Sc. thesis, Universidad Nacional Experimental de los Llanos Occidentales "Ezequiel Zamora", Guanare, Venezuela. 

  12. Harris JH. 1995. The use of fish in ecological assessments. Aust. J. Ecol. 20:65-80. 

  13. Hay CJ, BJ Van Zyl and GJ Steyn. 1995. A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biotic integrity of the Okavango River, Namibia, based on fish. Water SA 22:263-284. 

  14. Hocutt CH, PN Johnson, CJ Hay and BJ Van Zyl. 1994. Biological basis of water quality assessment: the Kavango River, Namibia. Rev. Hydrobiol. Trop. 27:361-384. 

  15. Karr JR. 1981. Assessment of biotic integrity using fish communities. Fishieries 6:21-27. 

  16. Karr JR, KD Fausch, PL Angermeier, PR Yant and IJ Schlosser. 1986. Assessing biological integrity in running waters: A method and its rationale. Illinois Natural History Survey, Special Publication 5, pp 28. 

  17. Kim IS and EJ Kang. 1993. Colored illustrations of the fishes in Korea. Academy Press, Korea. 

  18. Kim JS, SA Ham and CH Ra. 1995. Water quality evaluation by the aquatic insects in Tamjin river system. Korean J. Environ. Biol. 3:225-230. 

  19. Kim JT, ER Park, HS Cho and SM Boo. 1996. The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in the main stream of the Kumgang River, Korea. Korean J. Limnol. 29:187-195. 

  20. Lee JH, YP Hong and KG An. 2007. Multi-metric index assessments of fish model and comparative analysis of community index with the health index in the upstream watershed of Southern Han River. Korean J. Limnol. 40:327-336. 

  21. Oberdorff T and JP Porcher. 1994. An index of biotic integrity to assess biological impacts of salmonid farm effluents on receiving waters. Aquaculture 119:219-235. 

  22. Oberdorff T and RM Hughes. 1992. Modification of an index of biotic integrity based on fish assemblages to characterize rivers of the Seine Basin, France. Hydrobiologia 228:117-130. 

  23. Ohio EPA. 1989. Biological criteria for the protection of aquatic life. Vol. III, standardized biological field assessment of Ohio surface waters. Division of Water Quality Monitoring and Assessment, Surface Water Section, Columbus. OH. 

  24. Plafkin JL, MT Barbour, KD Porter, SK Gross and RM Hughes. 1989. Rapid 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rivers: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 EPA/444/4-89-001, Office of Water, US EPA, Washington, DC, USA. 

  25. Shin JK and KJ Cho. 1999. Diurnal variation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freshwater algae in the Naktong River estuary. Korean J. Limnol. 32:341-348. 

  26. Song HB, OK Kwon, SH Jeon, HJ Kim and KS Cho. 1995. Fish fauna of the upper Sum River in Hoengsong. Korean J. Limnol. 28:225-232. 

  27. US EPA. 1983. Technical support manual: waterbody surveys and assessment for conducting use attainability analyses. Office of Water, US EPA, Washington, DC, USA. 

  28. US EPA. 1991. Technical support document for water qualitybased toxic control. EPA 505-2-90-001. Office of Water, US EPA, Washington, DC, USA. 

  29. US EPA. 1993. Fish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evaluation the biological integrity f surface waters. EPA 600-R-92-111.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s Laboratory-cincinnati office of Modeling, Monitoring systems and quality assurance Office of Research Development, US EPA, Cincinnati, Ohio 45268. 

  30. Van Putten M. 1989. Issues in applying water quality criteria. Water quality standards for the 21st century. Office of Water, US EPA, Washington, DC, USA. pp. 175-177. 

  31. Yang HJ and BS Chae. 1994. The water environment and limnological study of the river system around the megalopolis - The ichthyofauna and structure of fish community in the Kumho River (II) -. Korean J. Limnol. 27:177-188. 

  32. Yeom DH, KG An, YP Hong and SK Lee. 2000. Assessment of an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using fish assemblages in Keum-Ho River, Korea. Korean J. Environ. Biol. 18:215-2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