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빔냉면 관련 조리법에 관한 문헌적 고찰 - 1800년대~1980년대까지 조리법 자료를 중심으로 -
A Literature Review Regarding a Bibimnaengmyeon (Cold Buckwheat Noodles Mixed with Sauce) -Related Recipes - Focus on recipe data published in Korea from the 1800's to the 1980's -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6 no.4, 2011년, pp.307 - 313  

박채린 (한국학대학원 민속학) ,  정혜정 (우송대학교 글로벌한식조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a literature review regarding bibimnaengmyeon (cold buckwheat noodles mixed with sauce)-related recipes. To conduct this research, we analyzed recipe data published in Korea from the 1800's to the 1980's.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content analysis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비빔국수와 비빔냉면에 관한 문헌 및 역사적 고찰을 수행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국수나 면에 관한 주제의 일부로서 연구가 진행되어 온 것으로 나타났다(Yoon 1991; Lee & Ham 1992; Yoon 200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800~1980년대 문헌을 중심으로 비빔냉면과 관련된 조리법의 변화에 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비빔냉면과 관련된 메뉴를 전문으로 한 외식업체와 식품업체의 레시피 개발과 마케팅 전략 및 학계의 비빔냉면과 관련된 연구에 기본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문헌조사 연구에 활용된 자료의 내용을 체계적이고, 객관적이며, 합리적으로 조사할 수 있는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Holsti 1968; Kassarjian 1977; Krippendorff 1980; Oh 2000; Lee & Cho 2008).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800~1980년대 문헌을 중심으로 비빔냉면과 관련된 조리법의 변화에 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비빔냉면과 관련된 메뉴를 전문으로 한 외식업체와 식품업체의 레시피 개발과 마케팅 전략 및 학계의 비빔냉면과 관련된 연구에 기본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냉면은 어느 문헌에서 처음으로 소개되었나? 비빔냉면을 포함한 냉면에 관한 문헌상 최초의 기록은 조선시대의 세시풍속을 정리한 「동국세시기」에 처음으로 소개된 것으로 보고 있다(한 등 1999). 또한, 한국문화 관련 항목들을 총망라하여 소개하고 있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 비빔냉면 항목을 찾아보면 별도의 항목명으로는 존재하지 않으며 비빔국수라는 항목에 포함하여 설명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근 한국 면류 외식업계에서 비빔국수들이 각각의 독자적 정체성을 가지고 분화하고 있는 예시로 어떤 비빔국수들이 있는가? 그러나 현재 우리가 먹고 있는 비빔냉면은「동국세시기」의 골동면과 상당한 거리를 보이고 있을 뿐만 아니라 비빔국수 또한 비빔냉면에 못지않은 존재감을 가지고 한국의 면류 음식문화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망향잔치비빔국수, 춘천메밀비빔막국수 및 부산 밀면 등 최근 한국 면류 외식업계에서 이러한 비빔국수들이 각각의 독자적 정체성을 가지고 분화하고 있는 경향성이 이를 증명해주는 것이라 사료된다. 따라서 비빔냉면의 최초형태인 비빔국수형 면이 어떻게 비빔냉면과 비빔국수라는 별도의 명칭과 독자적 조리 특징을 가지고 분화되어 왔는지 그 초기의 변화 과정에 대한 해명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비빔냉면 및 비빔국수의 유형 분류에 대한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둘째, 비빔냉면 및 비빔국수의 유형 분류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 문헌에 기록되어 있는 비빔냉면 및 비빔국수의 원료 구성 형태는 ‘면+꾸미와 고명+양념장’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빔형 냉면 및 국수는 냉면보다 국수라고 명명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메밀면에 간장 또는 고춧가루가 들어간 양념장을 넣는 것으로 나타났다. 꾸미의 종류와 양념은 면의 종류에 따라 점차 몇 가지 갈래로 나누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강인희. 1987. 한국의 맛. 대한교과서. 서울. p 160 

  2. 김경진, 염초애, 이효지, 조창숙, 조자호. 1986. 세계의 가정요리 (한국편). 삼성출판사. 서울. p 123 

  3. 김병설. 1978. 요리연구가와 본고장인사가 추천하는 무형문화재 후보- 우리 고유음식을 찾자. 중앙일보사. 여성중앙 제 7월호. 서울. pp 232-233 

  4. 김천호. 1970. 집에서 만드는 여름철의 면음식. 주부생활사. 주부생활 8월호. 서울. p 292-295 

  5. 노진화. 1983. 시원한 냉국수. 중앙일보사. 여성중앙 6월호. 서울. p 200 

  6.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편. 1984. 민속종합조사보고서 제15책.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서울. pp 10-535 

  7. 방신영. 1930. (일일활용) 조선요리제법. 한성도서. 서울. p 301 

  8. 방신영. 1960. 우리나라 음식 만드는 법. 장충도서출판사. 서울. pp 223 

  9. 삼성출판사편집국. 1984. 생활요리. 삼성출판사. 서울. pp 166-169 

  10. 안승춘 등. 1985. love cooking 6권. 삼성출판사. 서울. pp 98-100 

  11. 왕준련. 1983. 한국요리백과. 범한출판사. 서울. pp 85-223 

  12. 유계완. 1976. 계절과 식탁(春). 삼화출판사. 서울. p 42 

  13. 이성우 편.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IV), 시의전서(저자 미상. 1800년대 말). 수학사. 서울. pp 1446-1522 

  14. 이성우 편.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V), 간편조선요리제법(이석만. 1934). 수학사. 서울. pp 1931-1974 

  15. 이성우 편.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V), 신영양요리법(이석만. 1935). 수학사. 서울. pp 2009-2076 

  16. 이성우 편.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VII), 우리음식(손정규. 1948). 수학사. 서울. p 2463 

  17. 이성우 편.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 (만가필비) 조선요리제법 (방신영. 1917). 수학사. 서울. pp 1546-1626 

  18. 이효지 등 편역. 2004. 시의전서(저자 미상. 1800년대 말). 신광출판사. 서울. pp 187-269 

  19. 이효지 등 편역. 2010. 부인필지(빙허각이씨 원저. 1915). (주)교문사. 파주. pp 1-235 

  20. 장지현. 2004. 한국전래면류음식사연구. 수학사. 서울. pp 251-267 

  21. 저자 미상. 1971. 7월 땀을 식히는 냉국수. 중앙일보사. 여성중앙 7월호. 서울. p 380 

  22. 조자호. 1943. 조선요리법. 京城家政女塾. 京城. p 93 

  23. 최대림 편역. 1993. 동국세시기(홍석모 원저. 1849). 홍신문화사. 서울. 121-123 

  24. 하숙정. 1979. 한국요리. 혜선문화사. 서울. p 97 

  25. 하숙정. 1983. 하숙정 요리전집. 수도출판문화사. 서울. p 41 

  26. 한복진, 한복려, 황혜성. 1999.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음식 백가지. 현암사. 서울. pp 1-1119 

  27. 한희순, 황혜성, 이혜경. 1957. 이조궁정요리통고. 학총사. 서울. p 160 

  28. 황혜성 등. 1983. 주부생활 카드요리. 주부생활사. 서울. pp 8-14 

  29. 황혜성 집필. 회냉면 항목.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1982. 한국민속대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출판사. 서울 (http://www.krpia.co.kr/pContent/?svcidKR&proid11&arid105&ContentNumber981&pageNumber1255 2011.3.20 검색) 

  30. 황혜성 집필. 비빔국수 항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api.grandculture.net/Encykorea/ViewEKItem.aspx?IDJ09389 2011.3.20 검색) 

  31. 황혜성. 1971. 궁중음식(여성동아 12월호 부록). 동아일보사. 서울. pp 1-250 

  32. 황혜성. 1976. 한국요리백과사전. 삼중당. 서울. pp 189-442 

  33. 황혜성. 1984. 세계의 가정요리. 大學堂. 서울. p 38 

  34. Holsti OR. 1968. Content Analysis, in: Lindzey, G. & Aronson, E. eds., The hand book of Social Psychology, Vol. 2, Reading, MA. Addison-Wesley. 3rd ed., NY: Free Press 

  35. Joo YH. 2010. A Study on Evolution and Discourse of BIBIMBAB. J. Korean Social History, 87:24-25 

  36. Kassarjian HH. 1977. Content analysis in consumer research. J. Consumer Res., 4(2):8-18 

  37. Krippendorff K. 1980.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38. Lee KJ, Cho MS. 2008. Content analysis of the New York Times on Korean restaurants from 1980 to 2005. J. Foodservice Management, 11(1):281-306 

  39. Lee SY, Ham SS. 1992. A Comparative Study on Dietary Culture between Korean Mak-Kuksoo and Japanese Soba-Myon - Significance of Dietary Culture for Buckwheat and Buckwheat Noodle -. J. Agri. Sci., 4:99-129 

  40. Oh IK. 2000. Content analysis: Applications to tourism research. J. Tourism Sci., 24(1):317-322 

  41. Park CL, Kwon YS, Chung HJ. 2011. A Historical Study on the Changes in the Recipe of Naengmyeon (Korean Cold Noodles) Base on Water - Focus on the Recipe Data Published in Korea from 1800's to 1980's -. Korean J. Food Culture, 26(2):128-141 

  42. Yoo, JY, Cho, MS. 2009. A Literature review of Mixed Noodles in Cooking Books Written Since the late 1800s.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with the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Abstract of union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with the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43. Yoon DI. 2006. Culture of noodles in East Asian.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Proceedings of conference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pp 1-36 

  44. Yoon SS. 1991. The history of noodles in Korea. Korean J. Food Culture, 6(1):85-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