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TS 염기서열에 의한 한국산 괭이눈속(Chrysosplenium)의 계통학적 연구
Phylogenetic Study of Korean Chrysosplenium Based on nrDNA ITS Sequence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4 no.4, 2011년, pp.358 - 369  

한종원 (세명대학교 자연약재과학과) ,  양선규 (충북대학교 생물학과) ,  김현준 (세명대학교 자연약재과학과) ,  장창기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박정미 (국립생물자원관 고등식물연구과) ,  강신호 (세명대학교 자연약재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괭이눈속 식물에 대한 계통 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핵 rDNA의 internal transcribed spacer(ITS) 지역에 대한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5.8s를 포함한 ITS 염기서열은 647-653 bp로 그중 219개의 염기에서 유전적 다양성을 나타내었다. 정렬된 염기서열은 bootstrap을 포함한 parsimony 방법과 neighbor-joining 방법을 통하여 계통수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C. pseudofauriei(선괭이눈)이 군내군의 가장 기부에 분계조를 형성하였고, Ser. Pilosa and Ser. Oppositifolia와 Ser. Alternifolia and Ser. Flagellifera가 높은 bootstrap 값으로 두 개의 분계조를 각각 형성하였다. Neighbor-joining 분석의 결과도 일치하였다. 본 연구결과 핵 rDNA의 ITS 염기서열 분석은 괭이눈속의 계통학적 연구에 유용한 마커로 확인되었으며, 최종적으로 ITS 염기서열과 종자 형태형질을 바탕으로 C. sphaerospermum Maxim. and C. valdepilosum (Ohwi) S.H. Kang & J.W. Han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를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s of nuclear ribosomal DNA from genus Chrysosplenium were sequenced to address phylogenetic relationship. ITS including 5.8S sequence varied in length from 647 bp to 653 bp. Among them, 219 sites were variable sites with parsimony-informative. The align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phaerospermum과 C. pilosum var. valdepilosum에 대한 분류학적 처리를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괭이눈속은 총 몇 종이 분포하고 있는가? 괭이눈속(Chrysosplenium L.)은 범의귀과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현재는 약 57~65종이(Hara, 1957; Pan, 2001)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속은 남아메리카에 분포하는 2종을 제외하면, 주로 북반구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며, 북동아메리카에 2종, 북서아메리카에 4종, 유럽에 2종, 나머지 분류군이 대부분 동아시아에 분포하고, 그 중 중국에 35종, 일본에 18종이 분포한다(Spongberg, 1972; Pan, 2001; Iwatsuki et al.
한국산 괭이눈을 Chung and Kim(1988)은 어떻게 정리하였는가? 한국산 괭이눈속에 관한 연구는 Forbes and Hemsley(1887)가 최초로 보고한 이후, Palibin(1898), Nakai(1909), Chung(1937, 1965), Park(1949, 1974), Lee(1976), Lee(1996a), Lee(1996b) 등이 식물 목록 및 도감에서 보고한 바 있다. 또한 Chung and Kim(1988)이 한국산 괭이눈을 C. pseudofauriei H.Lév(선괭이눈), C. flaviflorum Ohwi(누른괭이눈), C. pilosum var. fulvum (Terracc.) Hara(큰괭이눈), C. pilosum var. valdepilosum Ohwi(금괭이눈), C. japonicum (Maxim.) Makino(산괭이눈), C. ramosum Maxim.(가지괭이눈), C. flagelliferum F. Shmidt(애기괭이눈), C. alternifolium var. sibiricum Seringe ex DC.(시베리아괭이눈)으로 보고하여, 5종 3변종으로 정리하였으며, 최근 연구에서는 Kim(2007)이 5종 3변종에 대한 분류군의 검색표와 분포를 보고하였다.
괭이눈속의 분포 지역은 어디인가? )은 범의귀과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현재는 약 57~65종이(Hara, 1957; Pan, 2001)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속은 남아메리카에 분포하는 2종을 제외하면, 주로 북반구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며, 북동아메리카에 2종, 북서아메리카에 4종, 유럽에 2종, 나머지 분류군이 대부분 동아시아에 분포하고, 그 중 중국에 35종, 일본에 18종이 분포한다(Spongberg, 1972; Pan, 2001; Iwatsuki et al.,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aldwin, B.G., M.J. Sanderson, J.M. Porter, M.F. Wojciechowski, C.S. Campbell and M.J. Donaghue. 1995. The ITS region of nuclear ribosomal DNA: a valuable source of evidence on angiosperm phylogeny. Ann. Missouri Bot. Gard. 82:247-277. 

  2. Buss, C.C., T.G. Kammers and R.R. Wise. 2001. Seed coat morphology and its systematic implications in Cyanea and other genera of Lobeliodae (Campanulaceae). American J. Bot. 88(7):1301-1308. 

  3. Chung, T.H. 1965.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5. Tracheophyta. Genus Chrysosplenium. Ministry of Education. Seoul, Korea. pp. 497-483. 

  4. Chung, T.H., B.S. To, D.B. Lee and H.J. Lee. 1937. Genus Chrysosplenium In Nomina plantarum Koreanum. Chosen Nat. Hist. Inst., Seoul, Korea. pp. 80-81. 

  5. Chung, Y.H. and Y.D. Kim, 1988. Monographic Study of Endemic Plants in Korea X. Taxonomy and Interspecific Relationship of the Genus Chrysosplenium. Korean J. Environ. Biol. 6(2):33-63. 

  6. Doyle J.J. and J.S. Doyle. 1987. A rapid DNA isolation procedure for small quantities of fresh leaf tissue. Phytochem. Bull. 19:11-15. 

  7. Farris, J., V. Albert., M. Kallersjo, D. Lipscomb and A. Kluge. 1996. Parsimony jackknifing outperforms neighbor-joining. Cladistics 12:99-124. 

  8. Felsenstain, J. 1985. Confidence limits on phylogenies: an approach using the bootstrap. Evolution 36:789-791. 

  9. Forbes, F.B. and W.B. Hemsley. 1887. An enumeration of all the plants known from China proper, Formosa, Heinan, Corea, the Luchu Archipelago and Island of Hong Kong. J. Linn. Soc. Bot. 23:271. 

  10. Franchet, A.R. 1890. Monographie du genere Chrysosplenium Tournfort. Nouv. Arch. Mus. Hist. Nat. Paris III. 2:87-114. 

  11. Gibson, T., D. Higgings and J. Thompson. 1994. Clustal X program. EMBI., Heidelberg, Germany. 

  12. Han, J.W., S.G. Yang, H.J. Kim, C.G. Jang and S.H. Kang. 2010.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Korean endemic Chrysosplenium flaviflorum Ohwi. Korean J. Plant Res. 23(5):480-485 (in Korea). 

  13. Hara, H. 1957. Synopsis of Genus Chrysosplenium L. J. Fac. Sci. Univ. Tokyo, Bot. 7:1-90. 

  14. Iwatsuki, K., D. Boufford, and H. Ohba. 2001. Chrysosplenium L. In Flora of Japan, Vol. IIb. Kodansha, Tokyo, Japan. pp. 58-70. 

  15. Kato, K. and T. Shimizu. 1989. Microstructure of seed surfaces and classification of the Genus Chrysospelnium from Japan, Annual report of Botanic Garden, Faculty of Science, Kanazawa University. 12:1-50. 

  16. Kim, K.J. and R.K. Jasen. 1994. Comparisons of phylogenetic hypotheses among different data sets in dwarf dandelions (Krigia, Asteraceae): Additional information from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s of nuclear ribosomal DNA. Plant Syst. Evol. 190:157-185. 

  17. Kim, Y.D. 2007. Saxifragaceae. In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eds.).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18. Kimura, M. 1980. A simple method for estimating evolutionary rays of base substitution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nucleotide sequence. J. Mol. Evol. 16:111-120. 

  19. Lee, T.B. 1976.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s in Korea. Bull. Kawnak Arb. 1:1-137. 

  20. Lee, W.T. 1996a. Standard Illustration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Seoul, Korea. 

  21. Lee, Y.N. 1996b. Flora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Seoul, Korea. 

  22. Linne, C. 1753. Species Plantarum. p. 398. 

  23. Maximowicz, C.J. 1877 Diagnosis plantarum novarum asiaticarum scripsit. Bull. Acad. Sci. St. Petersb. 23:340-350. 

  24. Nakai, T. 1909. Flora Koreana I. J. Coll. Sci. Univ. Tokyo. 26:220. 

  25. Orndruff, R. 1978. Reproductive characters and taxonomy. Systematic Botany 3(4):420-427. 

  26. Palibin, J. 1898. Conspectus florae Koreae. Pars Prima. Acta. Horti. Petropol. p. 90. 

  27. Pan, J. 2001. Chrysosplenium L. In Wu, Z.Y. & P.H. Raven (eds.). Flora of China, Vol. 8. Science Press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Beijing and St. Louis. pp. 346-358. 

  28. Park, M.K. 1949. Genus Chrysosplenium. In An enumeration of Korean plants. Ministry of Education. Seoul, Korea. pp. 83-85. 

  29. Park, M.K. 1974. Genus Chrysosplenium. In Keys to the Herbaceous plants in Korea (Dicotyledoneae). Chungeumsa. Seoul, Korea. pp. 208-210. 

  30. Rejdali, M. 1990. Seed morphology and taxonomy of the North African species of Sideritis L. (Lamiaceae). J. Linn. Soc. Bot. 103:317-324. 

  31. Sa, R., D. Su, and Z. Debreczy, 2010. Taxonomic notes on the Hedysarum gmelinii complex (Fabaceae). Ann. Bot. Fennici. 47:51-58. 

  32. Saitou, N. and M. Nei. 1987.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 Molec. Bio. Evol. 4:406-425. 

  33. Sang, T., D.J. Crawford, T.F. Stuessy and O.M. Silva. 1995. ITS sequences and the phylogeny of the genus Robinsonia (Asteraceae). Syst. Bot. 20:55-64. 

  34. Sharma, S.K., C.R. Babu, B.M. Johri and A. Hepworth. 1997. SEM studies on seed coat patterns in Phaseolus mungo-radiatus-sublobatus complex. Phytomorphology 27: 106-111. 

  35. Soltis, D.E., M. Tago-Nakazawa, Q.-Y. Xiang, S. Kawano, J. Murata, M. Wakabayashi and C. Hibsch-Jetter. 2001.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evolution in Chrysosplenium (Saxifragaceae) based on matK sequence data. Am. J. Bot. 88:883-893. 

  36. Sponberg, G.L. 1972. The genera of Saxifragaceae 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 Arnold Arb. 53:409-494. 

  37. Suh, Y., L.B. Thien, H.E. Reeve and E.A. Zimmer. 1993. Molecular evolution and phylogenetic implications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s of ribosomal DNA in Winteraceae. Am. J. Bot. 80:1042-1055. 

  38. Swofford, D.L. 1988. PAUP: Phylogenetic Analysis Using Parsimony and Other Methods. Version 4.02b Sinauer Asso. Inc., Massachusetts, USA. 

  39. Wen, J. and E.A. Zimmer. 1996. Phylogeny and biogeography of panax L. (the Ginseng genus, Araliaceae): inferences from ITS sequences of nuclear ribosomal DNA. Mol. Phylogenet. Evol. 6:166-1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