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진쑥 TMR 사료 급여가 한우 우둔 부위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Mugwort (Artemisia capillaris) TMR Fodder o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Hanwoo Rump Meat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1 no.3, 2011년, pp.345 - 352  

문윤희 (경성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양종범 (동남보건대학 식품생명과학과) ,  정인철 (대구공업대학 호텔외식조리계열)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인진쑥을 일정량 첨가한 TMR 사료를 개발하여, 이를 한우에게 급여한 경우, 인진쑥의 급여가 한우 우둔부위의 이화학적 및 관능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고급화된 기능성 한우의 생산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대조군(T0)은 인진쑥을 혼합하지 않은 비육우 사료를 급여하였고, 급여군(T1)은 비육우 사료에 인진쑥을 혼합한 TMR 사료를 급여하였다. Hunter's $L^*$, $a^*$$b^*$ 값은 T1이 T0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VBN 함랑은 T0가 T1보다 유의하게 높고, 전자공여능은 T1이 T0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pH, TBARS 및 총균수는 T0 및 T1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보수력은 T1이 T0보다 유의하게 높았지만, 동결감량, 해동 감량 및 가열 감량은 T0 및 T1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탄성은 T1이 T0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경도, 응집성, 뭉침성, 저작성 및 전단력은 T0 및 T1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산가, 과산화물가 및 요오드가는 T0 및 T1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융점은 T0가 T1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생육의 냄새는 T1 이 T0보다 유의하게 우수하였다(p<0.05). 열탕 가열육의 맛과 전체적인 기호성, 팬 가열육의 다즙성은 T1이 T0보다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인진쑥의 급여는 한우 우둔부위의 색깔 개선, VBN 생성 억제, 항산화력 증가, 관능 특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어서 기능성 사료의 소재로서의 이용이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MR feed was developed by adding mugwort (Artemisia capillaris), and was fed to Hanwoo cattl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eding mugwort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ump meat, and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producing Hanwoo beef with high quality and functionali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인진쑥을 급여하여 고품질의 한우육을 생산하기 위한 연구는 일부 이루어지고 있지만 기초 자료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진쑥의 쓴맛으로 인한 선택적 사료 섭취를 방지하기 위하여 인진쑥으로 TMR(total mixed ration) 사료를 제조하고, 한우에 급여하여 한우 우둔 부위의 이화학적 및 관능 특성에 인진쑥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고급화된 기능성 한우 생산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인진쑥을 일정량 첨가한 TMR 사료를 개발하여, 이를 한우에게 급여한 경우, 인진쑥의 급여가 한우 우둔 부위의 이화학적 및 관능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고급화된 기능성 한우의 생산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대조군(T0)은 인진쑥을 혼합하지 않은 비육우 사료를 급여하였고, 급여군(T1)은 비육우 사료에 인진쑥을 혼합한 TMR 사료를 급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진쑥은 어디에 분포하고 있는가?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Thunb)은 국화과에 속하는 번식력이 강한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높이가 40~100 cm이고, 우리나라 전역을 포함하여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유럽 등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생약 명칭으로는 인진호, 인진, 추호 등으로 불린다(Lee et al 2002). 인진쑥에는 다양한 종류의 정유 성분, coumarin류, chromone류, flavone류, carboxy- lic acid류, flavonoid류 등의 생리 활성 물질(Sheu et al 2001, Wang et al 2000, Wu et al 2001)을 함유하고 있다.
인진쑥의 효능은? 인진쑥에는 다양한 종류의 정유 성분, coumarin류, chromone류, flavone류, carboxy- lic acid류, flavonoid류 등의 생리 활성 물질(Sheu et al 2001, Wang et al 2000, Wu et al 2001)을 함유하고 있다. 인진쑥의 효능은 항산화, 항균 및 항염증 작용, 간기능 및 당대사 개선, 지질 과산화 및 melanin 생성 억제 이외에도 혈압 조절, 이뇨, 지혈, 해열, 진통, 변비 예방, 소화 불량 해소 등의 약리 효과가 있다(Chun et al 2001, Guo et al 2004, Jin et al 2008, Jung et al 2008, Kim et al 2009b, Sheu et al 2001, Wu et al 2001). 특히 인진쑥은 식품가공에서 주원료로서의 이용이 가능하고 독성이 없어서(Park et al 2003) 그 자체만으로도 기능성 식품의 원료로 사용이 가능하며, 한우의 사료에 첨가하는 연구도 시도되고 있다(Kim et al 2009a, Kim & Jung 2007).
인진쑥의 급여가 한우 우둔 부위의 이화학적 및 관능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본 연구는 인진쑥을 일정량 첨가한 TMR 사료를 개발하여, 이를 한우에게 급여한 경우, 인진쑥의 급여가 한우 우둔 부위의 이화학적 및 관능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고급화된 기능성 한우의 생산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대조군(T0)은 인진쑥을 혼합하지 않은 비육우 사료를 급여하였고, 급여군(T1)은 비육우 사료에 인진쑥을 혼합한 TMR 사료를 급여하였다. Hunter's L* , a* 및 b*값은 T1이 T0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VBN 함량은 T0가 T1보다 유의하게 높고, 전자공여능은 T1이 T0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pH, TBARS 및 총균수는 T0 및 T1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보수력은 T1이 T0보다 유의하게 높았지만, 동결감량, 해동 감량 및 가열 감량은 T0 및 T1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탄성은 T1이 T0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경도, 응집성, 뭉침성, 저작성 및 전단력은 T0 및 T1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산가, 과산화물가 및 요오드가는 T0 및 T1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융점은 T0가 T1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생육의 냄새는 T1이 T0보다 유의하게 우수하였다(p<0.05). 열탕 가열육의 맛과 전체적인 기호성, 팬 가열육의 다즙성은 T1이 T0보다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인진쑥의 급여는 한우 우둔부위의 색깔 개선, VBN 생성 억제, 항산화력 증가, 관능 특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어서 기능성 사료의 소재로서의 이용이 기대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2. Buege AJ, Aust SD (1978)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In Methods in enzymology, Gleischer S. and Parker L. (ed.), Academic Press Inc., New York, pp 302-310. 

  3. Choi SY, Lin SH, Ha TK, Kim SR, Kang KS, Hwang IK (2005) Evaluation of the estrogenic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edible and medicinal pla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549-556. 

  4. Chu GM, Lee HJ, Park JS, Cho HW, Ahn BH (2003) Effect of garlic stalk silage on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Korean J Anim Sci Technol 45:1007-1018. 

  5. Chun HJ, Ahn BY, Han JH, Woo WH (2001) Inhibitory effects of crude polysaccharide of water extract of Artemisia iwayomogi Kitamura on melanin biosynthesis. J Pharm Soc Korea 45: 701-707. 

  6. Guo FQ, Liang YZ, Xu CJ, Huang LF, Li XN (2004) Comparison of the volatile constituents of Artemisia capillaris from different locations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nd projection method. J Chromatogr A 1054:73-79. 

  7. Hoffman K, Hamm R, Bluchel E (1982) Neues uber die bestimmung der wasserbindung des fleisches mit hilfe der filterpapierpress methode. Fleischwirtschaft 62: 87-93. 

  8. Jin YX, Yoo YS, Han EK, Kang IJ, Chung CK (2008) Artemisia capillaris and Paecilomyces japonica stimulate lipid metabolism and reduce hepatotoxicity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548-554. 

  9. Jung MJ, Yin Y, Heo SI, Wang MH (2008)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xtract from Artemisia capillaries. Korean J Pharmacogn 39: 194-198. 

  10. Kang SM, Kim YS, Liang CY, Song YH, Lee SK (2008) Effect of feeding periods of dietary Rhus verniciflua stoke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Hanwoo beef during refrigerate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8: 401-407. 

  11. Kim BK (2006) Effects of feeding timothy hay roughage on the beef quality of growing period fattening Hanwoo steer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6: 284-289. 

  12. Kim BK, Choi CB, Kim YJ (2009a) Effects of dietary mugwort on the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Hanwoo steer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9: 340-348. 

  13. Kim BK, Jung CJ (2007) Effects of feeding dietary mugwort powder on the fattening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the fattening Hanwoo.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7: 277-283. 

  14. Kim BK, Woo SC, Kim YJ, Park CI (2002) Effect of feeding mugwort level on pork quality.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2: 310-315. 

  15. Kim HT, Ku SK, Kim JW, Jin TW, Lim MK, Kim JE, Do YJ, Yeo SG, Jang KH, Oh TH, Lee KW (2009b) Effects of Artemisia capillaris methanol extract on CD3+, CD4+, CD8+ and TNF- $\alpha$ + splenic cells in tumor cells inoculated mice. J Vet Clin 26: 1-7. 

  16. Kim JH, Kim YM, Lee MD, Shin JH, Ko YD (2005) Effects of feeding Eucommia ulmoides leaves substituted for rice straw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uscle tissues of Hanwoo steers. Korean J Anim Sci Technol 47: 963-974. 

  17. Kim JS, Kim TY, Kim BS (2006) Evaluation of the storage characteristics of Kangjung added with gromwell extracts. J Korean Soc Sci Nutr 35: 791-800. 

  18. Kim SY, Roh HJ, Oh DK (1997) Effect of addition of fractionated milk fats on fat composition and melting behavior of cocoa butter.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482-491. 

  19. Kim YJ (2010)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galic byproducts on total phenol content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icken meat.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0: 860-866. 

  20. Kook K, Kim KH (2002) Changes of pH, meat color, cooking loss, shear force and sensory evaluation on Hanwoo meat fed with supplemental fig fermentation during storage period.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2: 289-293. 

  21. Korean Food Drug Administration (2002) Food code. Munyoungsa, Seoul, pp. 212-251. 

  22. Lanari MC, Schaefer DM, Scheller KK (1995) Dietary vitamin E supplementation and discoloration of pork bone and muscle following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Meat Sci 41: 237-250. 

  23. Lee HJ, Hwang EH, Yu HH, Song IS, Kim CM, Hong JH, Kim DS, Han SB, Kang KJ, Lee EH, Chung HW (2002) The analysis of nutrients in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361-366. 

  24. Lee JH, Lee SR (1994) Analysis of phenolic substances content in Korean plants food. Korean J Food Sci Technol 26:310-316. 

  25. Lee JM, Kim TW, Kim JH, Cho SH, Seong PN, Jung MO, Cho YM, Park BY, Kim DH (2009) Comparison of chemical, physical and sensory traits of longissimus lumborum Hanwoo beef and Australian Wagyu beef.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9: 91-98. 

  26. Oh YK, Jyung CS, Lee SC, Kim KH, Choi CW, Kang SW, Moon YH (2006) Effects of pine silage feeding on nutrient digestibility, feed conversion and carcass traits of Korean native cattle. Korean J Anim Sci Technol 48: 219-226. 

  27. Park SH, Lim HY, Han JH (2003) A study of medicinal herbs for functional foods applications. (I) Nutritional composition and scopoletin analysis of Artemisia capillari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3: 552-560. 

  28. Sheu SJ, Chieh CL, Weng WC (2001) Capillary electrophoretic determination of the constituents of Artemisiae capillaris herba. J Chromatogr A 911: 285-293. 

  29. Shinekhuu J, Ji BJ, Jin GL, Choi SH, Song MK (2009) Effects of dietary replacement of rice straw with fermented spent mushroom (Flammuliua velutipes) compost on availability of feeds in sheep, and growth performance of Hanwoo steers. Korean J Anim Sci Technol 51: 241-248. 

  30. Stone H, Sidel ZL (1985) Sensory evaluation practices. Academic press Inc., New York, USA, p 45. 

  31. Wang H, Zou H, Ni J, Kong L, Gao S, Guo B (2000) Fractionation and analysis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 by affinity chromatography with human serum albumin as stationary phase. J Chromatogr 870: 501-510. 

  32. Wang XJ, Sun H, Liu ZS (1994) Quantitative analysis of 6,7- dimethyllesculetin and capillarisine in Artemisia capillaries Thunb. and prescriptions containing the crude grug. Zhongguo Zhong Yao Za Zhi 19: 667-670. 

  33. Wu TS, Tsang ZJ, Wu PL, Lin FW, Li CY, Teng CM, Lee KH (2001) New constituents and antiplatelet aggregation and anti-HIV principle of Artemisia capillaris. Bioorganic Med Chem 9: 77-83. 

  34. Yang SJ, Jung IC, Moon YH (2007)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ve beef loin fed with citrus byproduct. Korean J Life Sci 17: 540-545. 

  35. Yi YS, Chang YS, Shin ZI (1991) Effects of tempering temperature and time on the slip melting point of f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19-24. 

  36. Zakrys PI, Hogan SA, O'Sullivan MG, Allen P, Kerry JP (2008) Effects of oxygen concentration on the sensory evaluation and quality indicators of beef muscle packed under modified atmosphere. Meat Sci 79: 648-65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