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생활에서의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성인들의 노출 저감화 행동 분석
Analysis of Adult Behaviors to Decrease Exposure to Endocrine Disruptors in Dietary Life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1 no.3, 2011년, pp.451 - 462  

김미라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장수생활과학연구소) ,  김효정 (인제대학교 생활상담복지학부, 인간환경복지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concern and the level of knowledge of endocrine disruptors, and the level of dietary behaviors to decrease exposure to endocrine disruptors,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knowledge and behaviors, and to assess the causal rel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생활과 관련하여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노출되는 경로는 내분비계 장애물질이 함유된 육류, 어류 등의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내분비계 장애물질로 오염된 식수를 음용하거나 식품 포장재나 용기로부터 내분비계 장애 물질이 음식물로 이행되어 이를 섭취하는 경우 등 다양한 과정을 통해 인체 내로 들어오게 되므로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노출 저감화를 위해서는 소비자들이 내분비계 장애물질과 관련된 식생활에서 어떻게 행동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 스스로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피해를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 자료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인식도, 지식뿐만 아니라, 식생활 관련 내분비계 장애물질 노출 저감화 행동에 대해 살펴보고, 식생활 관련 내분비계 장애물질 노출 저감화를 위한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들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성인 대상의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교육내용의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서울, 인천, 대전, 대구, 부산, 광주 등 대도시에 거주하는 성인 579명을 대상으로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인식도, 지식, 식생활 관련 내분비계 장애물질 노출 저감화 행동에 대해 살펴보고, 식생활 관련 내분비계 장애물질 노출 저감화를 위한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들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1) Each question rated with a 5-point Likert scale: 1=always, 5=never
  • 1) Each question rated with a 5-point Likert scale: 1=never risk, 5=very risk.
  • 1) Each variable was treated as a dummy variable, and Ref. means a reference group.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분비계 장애물질이란 무엇인가? 내분비계 장애물질(endocrine disruptors)이란 내분비계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는 물질로 환경 중 배출될 물질이 체내에 유입되어 마치 호르몬처럼 작용한다고 하여 환경호르몬이라고 불리기도 한다(김미라 2004, 이진화 2010). 내분비계 장애물질로는 각종 산업용 화학물질(원료물질), 살충제 및 제초제 등의 농약류, 유기중금속류, 식물에 존재하는 식물성 에스트로겐 등의 호르몬 유사 물질, DES(diethystilbestrol)와 같이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합성 에스트로겐류 등이 있다.
내분비계 장애물질로 무엇이 있는가? 내분비계 장애물질(endocrine disruptors)이란 내분비계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는 물질로 환경 중 배출될 물질이 체내에 유입되어 마치 호르몬처럼 작용한다고 하여 환경호르몬이라고 불리기도 한다(김미라 2004, 이진화 2010). 내분비계 장애물질로는 각종 산업용 화학물질(원료물질), 살충제 및 제초제 등의 농약류, 유기중금속류, 식물에 존재하는 식물성 에스트로겐 등의 호르몬 유사 물질, DES(diethystilbestrol)와 같이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합성 에스트로겐류 등이 있다. 그리고 대중에게 많이 알려진 것으로는 식품이나 음료수 캔의 코팅 물질 등에 사용되는 비스페놀 A, DDT(dichlorodiphenyl-trichloroethane) 등의 농약이나 변압기 절연유로 사용되었던 PCB(poly chlorinated biphenyl), 소각장에서 주로 발생되는 다이옥신류, 합성 세제 원료인 알킬페놀류, 플라스틱 가소제로 이용되는 프탈레이트류 및 컵라면 용기 등에 사용되는 스티로폼 부산물인 스티렌 다이머, 트리머 등이 있다 (김종호 2002, 이진화 2010).
내분비계 장애물질 노출 저감화 행동을 살펴보고 변수들의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들의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관심도는 중간을 상회하였고, 식생활과 관련된 제품 중 컵라면 용기, 식품포장용 스티로폼 용기, 플라스틱 식기로부터의 내분비계 장애물질 유출에 대한 위험 인식도가 높았다. 둘째,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지식 수준과 식생활 관련 노출 저감화를 위한 행동 수준은 높지 않았으며,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노출을 줄이기 위한 행동 수준은 지식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지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학력,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교육 경험 여부,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관심도이었다. 한편, 성별, 연령,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관심도,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지식이 식생활 관련 내분비계 장애물질 노출 저감화를 위한 행동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식생활 관련 내분비계 장애물질 노출 저감화를 위한 행동에 미치는 변수들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한결과, 학력,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교육 경험 여부는 식생활 관련 내분비계 장애물질 노출 저감화를 위한 행동에 간접 효과만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관심도는 노출 저감화를 위한 행동에 정적인 직접 효과와 매개변수인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지식을 통한 정적인 간접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별과 연령은 식생활 관련 내분비계 장애물질 노출 저감화를 위한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매개변수인 내분비계 장애 물질에 대한 지식 자체는 노출 저감화를 위한 행동에 독립적으로 정적인 직접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김미라(2004) 식품의안전성. 도서출판신정, 서울. pp 237-238. 

  2. 김종호 (2002) 환경호르몬과 다이옥신. 전남대학교 출판부, 광주. pp 131-133. 

  3. 매일경제 (1998) 컵라면 용기서 환경호르몬 검출. 7월 8일자. 

  4. 신동천 (1999) 내분비계 장애물질과 인체 건강 영향. Korean J Occup Health 38: 154-171. 

  5. 이진화 (2010) 환경호르몬과 건강. 지역사회 신춘호: 107-111. 

  6. Caserta D, Maranghi L, Mantovani A, Marci R, Maranghi F, Moscarini M (2008) Impact of endocrine disruptor chemicals in gynaecology. Human Reproduction Update 14: 59-72. 

  7. Choi SY (2006) A study of the cogni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nd science teacher on the endocrine disruptors.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p 56-60. 

  8. Cummings AM, Metcalf JL, Birnbaum L (1996) Promotion of endometriosis by 2,3,7,8-tetrachloroidibenzo-p-dioxin in rats and mice: Time-dose dependence and species comparison. Toxicol Appl Pharmacol 138: 131-139. 

  9. Hotchkiss AK, Rider CV, Blystone CR, Wilson VS, Hartig PC, Ankley GT, Foster PM, Gray CL, Gray LE (2008) Fifteen years after 'Wingspread'-environmental endocrine disrupters and human and wildlife health: Where we are today and where we need to go. Toxicol Sci 105: 235-259. 

  10. Jang MW (2007) Study on effect that environmental hormones gets in health. MS Thesis Kwangwoon University, Seoul. p 17-21. 

  11. Kim HC, Kim MR (2001) Consumers' recognition and information need about food safety - Focused on pesticide residues, foodborne illness, and food additives. Korean J Dietary Culture 16: 296-309. 

  12. Kim HC, Kim MR (2002) Analysis of the consumers' awareness and information need for food safety. Korean J Dietary Culture 17: 153-164. 

  13. Lee JH (2007)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environmentally sustainable consumer behavior of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J Consumer Policy Studies 32: 1-24. 

  14. Lim GA (2009)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realted product proper use plan investigation research. 식품의약품안전청 용역개발보고서. pp 162-163. 

  15.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Union (2008) Regulation (EC) No 1272/2008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6 December 2008 on classification, labelling and packaging of substances and mixtures, amending and repealing. Directives 67/548/EEC and 1999/45/EC, and amending Regulation (EC) No 1907/2006, L 353/540. 

  16. Park JO (2001) The public perception of the effect of endocrine disruptors on human being's health among the citizens in Taegu. MS Thesis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p 27-29. 

  17. Song SB (2008) A study on the cogni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on the endocrine disruptors. M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p 27-33. 

  18. Song VK (2010) Research on EDCs global trends by utilizing global survey network. 식품의약품안전청 용역개발보고서. pp 270-271. 

  19. You HJ (2003) A study of the cognition and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endocrine disruptors: Focusing on Suwon city. M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p 31-36. 

  20.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06/01/2007060100015.html 

  21. http://rndmoa.kfda.go.kr/endocrine/reference/education_fr.html 

  22. http://sports.chosun.com/news/ntype2_o.htm?ut1&name/news/life/200611/20061104/6bd70046.htm 

  23. http://www.hani.co.kr/section-005100031/2003/04/005100031200304151854230.html 

  24. http://www.naeil.com/News/politics/ViewNews.asp?nnum311052&tid5&sidE 

  25. http://www.yonhapnews.co.kr/economy/2008/07/23/0310000000AKR20080723179800002.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