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순천만 해안방풍림 조성을 위한 생태학적 식재모델 개발
The Development of Ecological Planting Model for the Make Up of Coastal Windbreak Forest on Suncheon Bay in Suncheon-si, Korea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4 no.1, 2011년, pp.89 - 104  

김도균 (순천대학교 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the development of ecological planting model to make up of coastal windbreak forest on the Suncheon-bay in Sucheon-si, Korea. Make up of coastal windbreak forest in this site was needed for appropriate bioresource, biodiversity and ecological structure, and for conserv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상지의 숲조성 목표는 잠재식생에서 천이 중간단계인 준자연림으로 하였다. 훼손된 생태계는 원생태계의 천이계열 방향에 따라 원래의 생태계 또는 극상단계의 생태계로 복원하는 것은 이상적인 생각이지만, 현실적으로 실현 불가능 하다(오구균ㆍ김도균, 2009).
  • 따라서 본 연구는 순천만 해안방파제의 해안 방풍림 조성을 위한 부지여건 분석을 통하여 숲 조성방향 설정, 모델숲 개발, 숲구조, 수종 선정, 식재 폭, 식재밀도, 식재간격 및 유지관리방법을 제시하고, 식생시리즈를 예측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생태복원녹화, 해안림조성, 환경림조성, 조경식재 등의 계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생육시리즈는 주변 수목의 성장 속도와 식물 천이계열을 고려하여 숲조성 목표년차에 따라 숲의 변화를 예측 하였다. 숲 조성이후 숲이 생태학적으로 안정된 생육이 가능하고, 인위적인 관리를 최소화 하고 자연적으로 유지관리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순천만 해안방파제의 해안 방풍림 조성을 위한 부지여건 분석을 통하여 숲 조성방향 설정, 모델숲 개발, 숲구조, 수종 선정, 식재 폭, 식재밀도, 식재간격 및 유지관리방법을 제시하고, 식생시리즈를 예측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생태복원녹화, 해안림조성, 환경림조성, 조경식재 등의 계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조들은 어떤 목적으로 해안방풍림을 조성하고 관리하여 왔는가? 순천만의 해안제방은 바다 염분, 조풍, 해일, 태풍 등을 차단하여 예측 불가능한 재난으로부터 농경지와 주민의 생명을 보호하고, 생물다양성이 유지될 수 있는(김보미, 2010) 다기능적 완충림이 필요하다. 선조들은 일찍이 해안가의 태풍과 같은 거센 바람을 조절하고, 바닷물 염분의 비산 또는 연무, 해일, 쓰나미 등의 재난으로 부터 재산과 생명을 보호해주는 숲으로 인간의 정주생활에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해안방풍림을 조성하고 관리하여 왔다.
생물서식지에서 식물의 식재가 생태복원에 있어 매우 중요시 되는 이유는? 생물서식지에서 식물의 식재는 생물이 서식하는 기초생태계를 구성하는 기초종2)으로서 생물다양성에 기여하고, 주변경관을 형성하며, 인간생활에 기후의 조절, 산소의 공급, 감상과 휴식 등을 제공하여 주기 때문에 생태복원에 있어서 매우 중요시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순천만의 해안제방에 급증하는 관광객을 위하여 단순히 가로수나 관상수 위주의 식재를 주장하거나 탐방로, 자전거 도로, 소형경전철 등의 인공시설 계획이 급증하고 있다.
훼손된 생태계는 원생태계의 천이계열 방향에 따라 원래의 생태계 또는 극상단계의 생태계로 복원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현실적으로 실현 불가능한 이유는 무엇인가? 훼손된 생태계는 원생태계의 천이계열 방향에 따라 원래의 생태계 또는 극상단계의 생태계로 복원하는 것은 이상적인 생각이지만, 현실적으로 실현 불가능 하다(오구균·김도균, 2009). 훼손된 숲의 복원은 주변의 산림생태계나 생태계 천이계열상 중간단계 또는 잠재자연식생을 목표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오구균·김용식, 1997) 하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권전오?이경재?장상항?피재황. 2000. 인천해안지역의 식물군집구조 분석을 통한 해안림 조성기법.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13 (1):82-85. 

  2. 김도균. 2006. 광양만 임해매립지 느티나무 이식 이후의 연륜생장. 한국조경학회지 33(6):40-50. 

  3. 김도균. 2010. 한국 남해안방풍림 자생수종의 내염성 및 내조성 수종 선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4(1);14-25. 

  4. 김도균?박원규?서정욱. 2002. 광양만 임해매립지의 곰솔 이식 이후의 연륜생장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1):1-9. 

  5. 김종홍?성치남?허재선?안삼영?박기영. 2008. 순천만백서 -조사발표를 통하여 본 순천만의 생태적 가치. 순천시그린순천21추진협의회 보고서. 

  6. 김용식?오구균?김도균?신현탁. 1999. 수목의 가뭄극복을 위한 식재지 관리방안 -광양지역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자원문제연구소 자원문제연구논문집 18(1):8-13. 

  7. 김보미. 2010. 순천만 조류공원 계획기준 도출 및 조성계획.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종원?이율경. 2006.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와 평가방법. 서울:월드사이언스. 

  9. 김창길?이상민?정학균?장정경. 2009.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부문 영향분석과 대응전략.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보고서. 

  10. 국립기상연구소. 2006. 한반도 기후 100년 변화와 미래. 국립기상연구소 보고서. 

  11. 박문수. 2005. 한려해상국립공원 오동도의 식생과 관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9(2):1-10. 

  12. 박종철?양금철?장동호. 2010. 기후변화에 따른 난온대 상록활엽수림대의 이동에 관한 연구. 기후연구 5(1):29-41. 

  13. 순천대학교지역개발연구소. 1999. 순천만 생태계조사용역최종보고서. 순천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보고서. 

  14. 순천시그린순천21추진협의회. 2008. 순천만 백서. 순천시그린순천21추진협의회 보고서. 

  15. 안영희. 2003. 녹지환경학. 서울:태림문화사. 

  16. 오구균. 1986. 자연식생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배식설계 기준에 관한 연구 -창덕궁 후원 자연식생분석을 통하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오구균?김도균. 2009. 생태녹화공학. 서울:광일문화사. 

  18. 오구균?김용식. 1997.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형(IV). 환경생태학회지 11(3):334-351. 

  19. 오구균?지용기. 1995. 불갑산 상록활엽수림의 식물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9(1):30-41. 

  20. 오구균?최송현. 1993.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지역의 식생구조와 천이계열. 한국생태학회지 16(4):456-476. 

  21. 이경재?조우?최송현. 1992. 도시내 개발대상지의 생태적 경관조성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0(1):39-52. 

  22. 임윤희?오구균. 1999. 내장산국립공원 굴거리나무 개체군의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1):17-33. 

  2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8. 순천만 효율적인 보전 및 지속 가능한 이용방안 연구. 순천시 보고서. 

  24. 한봉호?김종엽?조현서. 2004. 함양 상림의 환경생태적 구조 분석 및 생태적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4):324-336. 

  25. 환경부. 2004. 생태자연도 활용에 있어 식생보전등급 적용방안 연구. 환경부 보고서. 

  26. 千葉喬三. 1992. 環境林造成と管理(小橋澄治, 村井 宏, 龜井章 編. 1992. 環境綠化工學). 東京:朝倉書店. 

  27. 宮脇昭. 1972. 橫浜市の植生一都市の環境保全とみどりの環境創造に對する植物社會學的基礎硏究. 橫浜市 報告書. 

  28. 宮脇昭?奧田重俊.鈴木邦雄. 1975. 東京?臨海部の植生. 橫浜大學環境硏究所 報告書. 

  29. 本間啓. 1973. 綠地學 硏究 No4. 東京大學農學部園藝第二(綠地學)硏究室 報告書. 

  30. 小橋澄治?村井 宏?龜井章. 1992. 環境綠化工學. 東京:朝倉書店. 

  31. 靑沼和夫. 1977. 京葉臨海埋立地における 腦林業技術を?用した綠林帶造成-2. 森林地帶 18 (2):30-40. 

  32. Costa, M. L., SANTOS, M.C.R., and CARRAPICO, F. 1996. Contribuicao para o estudo de Azolla no tratamento de aguas residuais domesticas. Actas da 5a Conferencia Nacional sobre Qualidade do Ambiente 2:1945-1954. 

  33. Comer, P., D. Faber-Langendoen, R. Evans, S. Gawler, C. Josse, G. Kittel, S. Menard, M. Pyne, M. Reid, K. Schulz, K. Snow and J. Teague. 2003. Ecological systems of the United States:A working classification of U.S. Terrestrial systems. Nature Serve, Arlington, VA. 

  34. Grossman, D. H., D. Faber-Langendoen, A. S. Weakley, M. Anderson, P. Bourgeron, R. Crawford, K. Goodin, S. Landaal, K. Metzler, K. D. Patterson, M. Payne, M. Reid and L. Sneddon. 1998. The national vegetation classification system:development, status, and applications. In: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ecological communities:terrestrial vegetation of the United States. I. The Nature Conservancy, Arlington, Virginia. 

  35. IPCC. 1995. Climate change 1995. Impact, Adaptation and mitigation of climate change:Scientific-technical analyses. London:Cambridge University Press. 

  36. Miller, G. 2004. Essentials of Ecology (3rd). Thomson, Brooks/Cole. 

  37. Miyawaki, A. 1998. Restoration of urban green environments based on the theories of vege- tation ecology. Ecological Engineering 11:157-165. 

  38. Miyawaki, A. 1999. Creative ecology restoration of native forestry native trees. Plant Biotechnology 16:15-25. 

  39. Miyawaki, A. 2004. Restoration of living environment based on vegetation ecology:Theory and Practice. Ecological Research 19:83-90. 

  40. Smth, M., and R.L. Smith., 2009. Elements of ecology(7th). Pearson Education, Inc. New Jersey. 

  41. Tuxen, R. 1956. Die huetige potentielle naturliche vegetation als gegestand der vegetation skarierung. Angewandte Pflanzensozioligie. Stolzenau:Weser 13:5-42. 

  42. Yim, Y. J., and Kira, T. 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Japanese Journal of Ecology 25:77-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