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약동학적 파라미터를 이용한 시간경로 마이크로어레이 자료의 군집분석
Clustering of Time-Course Microarray Data Using Pharmacokinetic Parameter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24 no.4, 2011년, pp.623 - 631  

이효정 (고려대학교 통계학과) ,  김별아 (식품의약품안전청 신약연구팀) ,  박미라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간경로 마이크로어레이 자료 분석의 주요 목적 중의 하나는 유전자들의 시간에 따른 발현수준의 변화를 고려함으로써 발현패턴에 기초한 유전자들의 그룹을 찾기 위한 것으로, 군집분석을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들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 시간경로 마이크로어레이 자료에 대한 군집분석을 위해 두 약물제제 간 생물학적 동등성을 평가하기 위한 약동학 시험에서 사용되는 약동학적 파라미터 값에 기초한 군집분석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실제 데이터 및 모의실험 자료에 적용하여 유용성을 검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major goal of time-course microarray data analysis is the detection of groups of genes that manifest similar expression patterns over time. The corresponding numerous cluster algorithms for clustering time-course microarray data have been developed. In this study, we proposed a clustering method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시간경로 마이크로어레이 자료에 대한 군집분석을 위해 두 약물제제 간 생물학적 동등성을 평가하기 위한 약동학 시험에서 사용되는 분석방법을 벤치마킹하였다. 약동학 시험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약동학적 파라미터 Cmax, Tmax, AUC에 대응되는 값인 마이크로어레이 자료의 peak 높이, peak가 발생한 시점, 발현패턴에 따른 면적을 PI로 정의하고, PI를 군집분석에 적용하여 이에 대한 유용성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시간경로 마이크로어레이 자료에서 각 약동학적 파라미터 Cmax, Tmax, AUC에 대응되는 값인 마이크로어레이 자료의 peak 높이(height of peak), peak가 발생한 시점(time at peak), 발현 패턴에 따른 면적(area under expression profile; AUE)을 계산한 후, 이들 3가지 요약통계량을 패턴지수(Pattern Indices; PI)로 정의하고, 이렇게 구성된 PI 자료에 군집분석을 적용하고자 한다.
  • 마이크로어레이 연구에서는 실험에 따라 약간의 시차를 두고 반응할 수 있으므로 전반적인 발현패턴의 유사성이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고전적인 군집분석으로는 이러한 점을 반영하지 못하게 된다. 여기서는 특정한 확률적 모델을 가정하지 않으면서, 시간에 따른 패턴을 고려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약동학적 파라미터를 이용한 방법과 유용성 평가 방법을 소개하고, 제안된 방법을 실제 데이터 및 모의실험 자료에 적용하여 방법의 타당성과 유용성을 살펴볼 것이다.

가설 설정

  • 2), 각 발현 패턴마다 20개의 유전자를 구성하여 총 100개의 유전자 자료를 생성하였다. Sample들은 0.2, 1, 1.5, 2, 3, 4, 5의 7개 시점에서 반복된 것으로 가정했으며, 각 시점에서의 발현값은 각 발현패턴에 따라 최소 0에서 최대 5의 값을 가정하였으며, 첫 번째 시점에서의 발현값은 0.1의 표준편차, 첫 번째 시점을 제외한 모든 나머지 시점에서는 0.6의 표준편차를 가정하였다.
  • 선택된 113개의 유전자에 대해서 원시자료 및 PI를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군집분석 방법은 k-평균 군집분석을 이용하였고 그룹 수는 8개로 가정하였다. 그림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NA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의 주요 목적은? DNA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의 주요 목적 중 하나는 대량의 유전자 발현상황을 총체적으로 탐색하여 서로 다른 조직이나 조건의 차이에서 다르게 발현되는 유전자들의 발현패턴을 확인하고 유전자들 사이의 상호작용과 기능의 연계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Chu 등, 1998; Spellman 등, 1998). 시간경로 마이크로어레이 자료(time-course microarray data)의 경우에는 유전자들의 시간에 따른 발현수준의 변화를 고려함으로써 발현패턴에 기초한 유전자들의 그룹을 찾기 위한 것이다.
통계적 군집분석 방법의 문제점은? 유사한 유전자 그룹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 계층적 군집분석(hierarchical clustering), k-평균 군집분석(k-means clustering), 자기조직도(self-organizing map; SOM) 등의 통계적 군집분석 방법이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군집 분석 방법들은 각 시점에서 얻어진 자료들이 동일한 개체로부터 발생된 것임을 무시하고 각 시점을 독립적인 변수로 간주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료가 얻어지는 시점의 순서나 시점 간 간격이 무시되는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시점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존의 군집분석 방법보다 더 적절한 유전자 그룹을 찾기 위한 방법들이 연구되었다.
유사한 유전자 그룹을 찾기 위한 방법에는 어떤 것이 사용되고 있나? 시간경로 마이크로어레이 자료(time-course microarray data)의 경우에는 유전자들의 시간에 따른 발현수준의 변화를 고려함으로써 발현패턴에 기초한 유전자들의 그룹을 찾기 위한 것이다. 유사한 유전자 그룹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 계층적 군집분석(hierarchical clustering), k-평균 군집분석(k-means clustering), 자기조직도(self-organizing map; SOM) 등의 통계적 군집분석 방법이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군집 분석 방법들은 각 시점에서 얻어진 자료들이 동일한 개체로부터 발생된 것임을 무시하고 각 시점을 독립적인 변수로 간주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u, S., DeRisi, J., Eisen, M., Mulholland, J., Botstein, D., Brown, P. O. and Herskowitz, I. (1998). The transcriptional program of sporulation in budding yeast, Science, 282, 699-705. 

  2. Hoon, D., Imoto, S. and Miyano, S. (2002). Statistical analysis of a small set of time-ordered gene expression data using linear splines, Bioinformatics, 18, 1477-1485. 

  3. Hubert, L. and Arabie, P. (1985). Comparing partitions, Journal of the Classification, 2, 193-218. 

  4. Lobenhofer, E. K., Bennett, L., Cable, P. L., Li, L., Bushel, P. R. and Afshari, C. A. (2002). Regulation of dna replication fork genes by 17beta-estradiol, Molecular Endocrinology, 16, 1215-1229. 

  5. Luan, Y. and Li, H. (2003). Clustering of time-course gene expression data using a mixed-effects model with B-splines, Bioinformatics, 19, 474-482. 

  6. Peddada, S. D., Lobenhofer, E. K., Li, L., Afshari, C. A., Weinberg, C. R. and Umbach, D. M. (2003). Gene selection and clustering for time-course and dose-response microarray experiments using order-restricted inference, Bioinformatics, 19, 834-841. 

  7. Rand, W. M. (1971). Objective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clustering methods, Journal of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66, 846-850. 

  8. Schliep, A., Schonhuth, A. and Steinhoff, C. (2003). Using hidden Markov models to analyze gene expression time course data, Bioinformatics Supplement, 19, i255-263. 

  9. Song, J. J., Lee, H. J., Morris, J. S. and Kang, S. (2007). Clustering of time-course gene expression data using functional data analysis, Computational Biology and Chemistry, 31, 265-274. 

  10. Spellman, P. T., Sherlock, G., Zhang, M. Q., Iyer, V. R., Anders, K., Eisen, M. B., Brown, P. O., Botstein, D. and Futcher, B. (1998). Comprehensive identification of cell cycle-regulated genes of the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by microarray hybridization,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12, 3273-3297. 

  11. Tibshirani, R. J., Hastie, T. J., Narasimhan, B. and Chu, G. (2002). Diagnosis of multiple cancer types by shrunken centroids of gene express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99, 6567-6572. 

  12. Yeung, K. Y., Fraley, C., Murua, A., Raftery, A. E. and Raftery, W. L. (2001). Model-based clustering and data transformations for gene expression data, Bioinformatics, 17, 977-987. 

  13. Yi, S.-G, Joo, Y.-J. and Park, T. (2009). Rank-based clustering analysis for the time-course microarray data, Journal of Bioinformatics and Computational Biology, 7, 75-9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