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천성 근성 사경 환아의 흉쇄유돌근 초음파 소견과 사경종합평가 사이의 상관관계
Correlations Between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Sternocleidomastoid Muscle and Torticollis Overall Assessment of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in Infa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5, 2011년, pp.233 - 241  

김용욱 (전주대학교 대체의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김문환 (연세대학교 원주기독병원 재활의학과) ,  김경모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재활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사경의 진단 및 평가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초음파 검사와 이학적 검사 도구인 사경종합평가의 상관성 검증을 통해 사경종합평가의 유용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선천성 근성 사경으로 진단 받은 환아 78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사경 환아를 초음파 소견을 통한 흉쇄유돌근(목빗근) 섬유화 정도에 따라 네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사경종합평가를 통한 장애 정도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초음파 영상 소견을 통해 분류된 환아 중 제1유형이 42명(53.8%); 제2유형이 21명(26.9%); 제3유형이 7명(9.0%); 제4유형이 8명(10.3%)이었다. 발현 연령은 초음파 제1유형에서 2.3${\pm}$0.8개월로 다른 유형에 비해 유의하게 빨랐으며(p<0.01), 제4유형에서 20.2${\pm}$12.1개월로 가장 늦었다(p<0.01). 유형별로 분류된 초음파 검사와 사경종합평가의 상관관계에서 파이상관계수는 ${\phi}$=0.89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본 연구의 결과, 간단하며 객관적 검사 도구인 사경종합평가는 사경을 치료하는 물리치료사가 쉽게 적용할 수 있어 임상에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ultrasonographic findings used to diagnose and assess of torticollis and a overall special assessment of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in infants. Seventy-eight subjects with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participated in this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선천성 근성 사경은 신생아의 근골격계 질환에서 세번째로 많이 발생하며 아동 물리치료 분야에서 비중있게 치료하는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치료계획의 설정과 치료 결과의 검증을 위한 종합적, 객관적, 정량적 이학적 평가 방법은 드물고 아직까지 국내에 잘 알려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사경의 진단 및 치료 효과 검증에 널리 사용하는 초음파 검사를 통해 사경의 종합적인 이학적 검사(physical examination)도구인 사경종합평가 사이의 상관성을 검증하여 사경종합평가 도구가 임상에서 사경의 이학적 평가 검사도구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선천성 근성 사경으로 진단 받은 78명의 환아들을 대상으로 초음파 소견에 따라 세분화한 후 이를 이학적 검사도구인 사경종합평가 점수와 비교하여 두 검사도구 사이의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초음파 검사와 사경종합평가를 통한 각 사경 그룹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 검사 소견과 이학적 검사 상의 사경종합평가 점수를 토대로 선천성 근성 사경의 장애의 정도를 각 유형별로 구분하였고 각 유형에 따라 나타나는 의학적 특성과 두 검사 방법에서 구별된 사경의 범주형 자료에 대한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천성 근성 사경은 어떤 질환인가? 선천성 근성 사경은 일반적으로 한쪽 흉쇄유돌근(목빗근)의 병변으로 인해 목이 비대칭적으로 기울어지는 질환으로 신생아의 약 0.3%에서 1.
선천성 근성 사경으로 진단 받은 78명의 환아들을 대상으로 초음파 소견에 따라 세분화한 후 이를 이학적 검사도구인 사경종합평가 점수와 비교하여 두 검사도구 사이의 상관성은 어떻게 되는가? 1. 초음파 양상에 따라 분류된 사경의 특성에서 제1유형이 42명(53.8%)으로 가장 많았으며, 발현연령은 2.3±0.8개월로 가장 낮았다. 2. 안면비대칭과 경부회전제한과 같은 장애 양상은 초음파 검사의 제4유형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3. 초음파 소견에 따라 네 개 유형으로 분류한 범주형 자료와 사경종합평가로 분류된 세 유형의 범주형 자료 사이의 상관계수는 φ=0.893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사경의 치료를 담당하는 물리치료사가 직접 시행하는 사경종합평가는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이학적 검사도구로서 임상에서 폭넓게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선천성 근성 사경의 원인은? 선천성 근성 사경의 원인은 자궁 내 혈관 장애로 인한 혈종 형성, 자궁 내에서 머리 자세의 한 방향 유지, 근육 내에 혈류 감소로 인한 근육의 섬유화 등이 알려져 있으나 아직까지 그 원인은 명확하지 않다[5][6]. 선천적으로 발생하는 근성 사경이외에도 다른 원인에 의해 사경이 발생하기도 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 Fabian and M. Marshall, "Conservative and surgical treatment of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a literature review," Physiotherapy Canada, Vol.36, pp.146-151, 1984. 

  2. L. T. Staheli, "Muscular torticollis: late results of operative treatment," Surgery, Vol.66, No.3, pp.469-473, 1971. 

  3. B. L. Luther,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Orthop Nurs, Vol.21, No.3, pp.21-28, 2002. 

  4. 김용욱, 김민희, "6개월간의 치료적 마사지와 도수신장 치료에 대한 선천성 근성 사경 환아의 유형별 특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4 호, pp.216-224, 2010. 

  5. J. C. Cheng, M. W. Wong, S. P. Tang, T. M. Chen, S. L. Shum, and E. M. Wong, "Clinical determinants of the outcome of manual stretching in the treatment of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in infants. A prospective study of eight hundred and twenty-one cases," J Bone Joint Surg Am, Vol.83-A, No.5, pp.679-687, 2001. 

  6. L. Hollier, K. Jeong, B. Grayson, and J. McCarthy,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and this associated craniofacial changes," Plast Reconstr Surg, Vol.105, No.3, pp.827-835, 2000. 

  7. J. C. Cheng, S. P. Tang, T. M. Chen, M. W. Wong, and E. M. Wong, "The clinical presentation and outcome of treatment of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in infants-a study of 1,086 cases," J Pediatr Surg, Vol.35, No.7, pp.1091-1096, 2000. 

  8. B. Tatli,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Evaluation and Classification," Pediatr Neurol, Vol.34, No.1, pp.41-44, 2006. 

  9. 전지은, 류혜경, 심재원, "선천성근성 사경의 임상적 특징", 대한소아과학회지, 제50권, pp.241-247, 2007. 

  10. J. E. Holt, P. S. O'Connor, J. P. Douglas, and B. Byrne, "Extraocular muscle size comparison using standardized A-scan echography and computerized tomography scan measurements," Ophthalmology, Vol.92, No.10, pp.1351-1355, 1985. 

  11. D. S. Ablin, K. R. Jain, L. Howell, and D. C. West, "Ultrasound and MR imaging of fibrous colli," Pediatr Radiol, Vol.28, No.4, pp.230-233, 1998. 

  12. R. J. Entel and F. J. Carolan,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ultrasound diagnosis," J Neuroimaging, Vol.7, No.2, pp.128-130, 1997. 

  13. Y. L. Chan, "Ultrasonography of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Pediatr Radiol, Vol.22, No.5, pp.356-360, 1992. 

  14. R. Klaus, B. K. Han, D. S. Babcock, and A. E. Oestreich, "Sonography of neck mass in children," Am J Roentgenol, Vol.146, No.3, pp.609-613, 1986. 

  15. N. T. Prabhu and A. K. Munshi, "Measurement of masseter and temporalis muscle thickness using ultrasonographic technique," J Clin Pediatr Dent, Vol.19, No.1, pp.41-44, 1994. 

  16. R. A. Youkilis, B. Koch, and C. M. 3rd. Myer, "Ultrasonographic imaging of sternocleidomastoid tumor of infancy," Ann Otol Rhinol Laryngol, Vol.104, No.4, pp.323-325, 1995. 

  17. 박정미, 최재혁, 이영희, "선천성 근성 사경 환아에서의 초음파 측정법", 대한재활의학회지, 제22권, 제4호, pp.955-959, 1998. 

  18. T. C. Hsu, C. L. Wang, M. K. Wong, K. H. Hsu, F. T. Tang, and H. T. Chen, "Correlation of clinical and Ultrasonographic Features in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Arch Phys Med Rehabil, Vol.80, No.6, pp.637-641, 1999. 

  19. 김세주, 박은, 최원기, 서관식, 윤준식, 이은하, "선천선 근성 사경의 흉쇄유양돌기근육 초음파 소견과 치료 결과", 대한재활의학회지, 제25권, 제4호, pp.601-608, 2001. 

  20. B. D Fornage, "Muscular trauma," B. D. Fornage,(ed.), Musculoskeletal ultrasound,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pp.1-10, 1995. 

  21. S. T. Canale, D. W. Griffin, and C. N. Hubbard,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A long-term follow-up," J Bone Joint Surg Am, Vol.64, No.6, pp.810-816, 1982. 

  22. P. Y. Chang, C. K. Tan, Y. F. Huang, J. C. Sheu, N. L. Wang, M. L. Yeh, and C. C. Chen, "Torticollis: a long-term follow-up study," Acta Pead Sin, Vol.37, No.3, pp.173-177, 1996. 

  23. I. H. Chung, B. M. Park, and S. C. Chang,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Analysis of 17 cases," Yonsei Med J, Vol.9, No.2, pp.116-120, 1996. 

  24. E. Ippolito, C. Tudisco, and M. Massobrio, "Long-term results of open sternocleidomastoid tenotomy for idiopathic muscular torticollis," J Bone Joint Surg Am, Vol.67, No.1, pp.30-38, 1985. 

  25. C. Emery, "The determinants of treatment duration for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Phys Ther, Vol.74, No.10, pp.921-929, 1994. 

  26. S. Suzuki, T. Yamamuro, and A. Fujita, "The aeti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congenital torticollis and obstetrical paralysis," Int Orthop, Vol.8, No.3, pp.175-181, 1984. 

  27. J. C. Cheng and A. W. Au, "Infantile torticollis: a review of 624 cases," J Pediatr Orthop, Vol.14, No.6, pp.802-808, 1994. 

  28. S. L. Turek, Orthopedics, Philadelphia, Lippincott, p.869, 198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