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폐소생술 시행 시 피구조자의 위치, 성별, 체중에 따른 가슴압박과 인공호흡 정확도 비교
A Comparison of Accuracy in Artificial Respiration and Chest Compression Depending on Position, Gender, and Weight of a Victim Giv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5, 2011년, pp.280 - 290  

백홍석 (대전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박상섭 (충청대학 응급구조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심폐소생술 수행 시 피구조자의 위치, 성별, 체중에 따른 가슴압박과 인공호흡 정확도 비교를 통하여 심폐소생술 수행에 정확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G도 소재 대학생 72명(실험군 36명, 대조군 36명)을 편의추출 하여 시행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09년 11월 5일부터 11월 19일까지 시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Versio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 영역에서 우측이 좌측보다 인공호흡과 가슴압박의 효과적으로 나타났음이 증명되었기에 향후 심폐소생술 수행방법과 교육방법에 있어서 우측 편에서 시행하는 심폐소생술 수행방법을 적용해 볼 필요가 있다. 하지만 실제 응급현장에서 심폐소생술 생존율이 우측 편에서 효과적인가에 대해서는 지속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crease accuracy in perform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hrough comparing accuracy between chest compression and artificial respiration depending on position, gender, and weight of a victim given conduc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his study randomly s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심폐소생술 시행 시 피구조자의 위치에 따른 가슴압박과 인공호흡 정확도 비교를 통하여 심폐소생술 시행 시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심폐소생술에 관한 구조자가 피구조자의 위치에 따른 인공호흡과 가슴압박 정확도 차이 비교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 연구이다. 실험군은 피구조자의 오른쪽 위치한 집단이며, 대조군은 피구조자의 왼쪽에 위치한 집단이다.
  • 하지만, 국내・외 선행 논문[1][5-9][11-13][15][19-22][24][40][41][43]들은 심폐소생술 교육 효과, 심폐소생술 수행 정확도, 발판높이에 따른 정확도, 피로도에 따른 정확도, 혈류 변화 등의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졌으나, 피구조자의 위치에 따른 심폐소생술의 정확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기에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이 있으며, BLS-Provider 자격을 취득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피구조자의 위치에 따른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의 정확도 비교를 통하여 심폐소생술 수행 시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향후 심폐소생술 술기수행 방법 프로그램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하며, 구체적 목적은 성별, 체중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인공호흡・가슴압박 정확도 차이를 파악한다.
  • 이처럼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 향상을 위해서는 효율적인 심폐소생술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며, 이에 저자는 심폐소생술 시행 시 피구조자의 위치에 따른 심폐소생술 정확도 비교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하지만, 국내・외 선행 논문[1][5-9][11-13][15][19-22][24][40][41][43]들은 심폐소생술 교육 효과, 심폐소생술 수행 정확도, 발판높이에 따른 정확도, 피로도에 따른 정확도, 혈류 변화 등의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졌으나, 피구조자의 위치에 따른 심폐소생술의 정확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기에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표준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때, 어떻게 권장하는가? 한편, 환자 생존율을 위한 정확한 심폐소생술 시행을 위하여 성인의 경우에는 인공호흡은 1회 호흡량이 500-600ml로 하며[2], 가슴압박의 경우에는 압박 속도는 분당 100회, 압박 깊이는 4-5cm, 가슴압박의 중단 시간은 최소화 시켜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의 비율을 30 : 2로 시행 되어져야 한다고 권장하고 있다[10]. 하지만, 이러한 표준 심폐소생술에 의한 가슴압박 시 혈류량은 정상 심박출량의 15-27%에 그치고 있는데[37], 이는 현재의 심폐소생술 방법이 적은 혈류량을 유발하는 술기 때문일 수도 있고, 승모판 역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대동맥을 통한 전향적 혈류량이 적어서 일거라 하였다[38].
심정지란 무엇인가?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하였거나 심정지(cardiac arrest) 환자를 목격했을 때는 최초 목격자에 의한 심폐소생술(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시행은 환자 예후에 중요하게[1]작용한다. 심정지의 의미는 원인에 관계없이 심장박동이 정지되어 발생하는 상태를 말하며[2], 심폐소생술(CPR)의 의미는 환자의 심장박동과 순환을 회복시키는 치료 술기를 말한다[2][3].
심폐소생술이란 어떤 치료법인가?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하였거나 심정지(cardiac arrest) 환자를 목격했을 때는 최초 목격자에 의한 심폐소생술(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시행은 환자 예후에 중요하게[1]작용한다. 심정지의 의미는 원인에 관계없이 심장박동이 정지되어 발생하는 상태를 말하며[2], 심폐소생술(CPR)의 의미는 환자의 심장박동과 순환을 회복시키는 치료 술기를 말한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김경미, 고등학생의 심폐소생술 관련 지식수준 및 교육 실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 황성오, 임경수. 심폐소생술과 전문심장소생술, 군자출판사, 2006. 

  3. 대한심폐소생협회(KACPR), www.kacpr.org. 2006 공용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개발 및 배포, 2006. 

  4. 통계청, "2009년 사망원인통계결과", http://www.kostat.go.kr, 2010. 

  5. M. Connolly, P. Toner, D. Connolly and D. R. Mc Cluskey, "The 'ABC for life' programme-Teaching basic life support in schools," J. of Resuscitation. Vol.72, No.2, pp.270-279, 2007. 

  6. G. Ritter, A. Wolfe Robert, S. Goldstein, J. Landis, C. Vasu, A. Acheson, R. Leighton, and S. VanderBrug, "The effect of bystander CPR on survival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victims," American Heart Journal, Vol.110, No.5, pp.932-937, 1985. 

  7. O. T. Hanche and N. E. Waage. "High survival in out-of-hospit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7 year' incidence according to the Utstein template in a small town in Northern Norway," Europ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Vol.9, No.1, pp.19-24, 2002. 

  8. M. Holmberg, S. Holmberg, and J. Herlitz, "Effect of 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in Sweden," J. of Resuscitation, Vol.47, No.1, pp.59-70, 2000. 

  9. 권용선,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 효과비교,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0. American Heart Association(AHA), "200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http://www.americanheart. org, 2005. 

  11. 박상섭, 박대성 "일부대학생 심폐소생술교육에서 노래.동영상자가학습(VSI)과 동영상 자가학습간의 교육효과 비교",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제10권, 제2호, pp.1-13, 2009. 

  12. 이원웅, 조규종, 최석환, 유지영, 유기철, "일반인 심폐소생술 교육 후 목격자 심폐소생술에 대한 자신감 및 태도 변화", 대한응급의학회지, 제20권, 제5호, pp.505-509, 2009. 

  13. 김희정,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기본심폐소생술 교육효과 및 지속성,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4. 이정순, 병원 간호사의 심폐소생술과 제세동기 현황조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5. 최은숙, 조근자, "심폐소생술 제공자의 발판 높이와 자세가 기본심폐소생술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응급구조학회논문지, 제12권, 제3호, pp.27-41, 2008. 

  16. N. A. Paradis, G. B. Martin, E. P. Rivers, M. G. Goetting, T. J. Appleton, N. Feingold, and R. M. Nowak, "Coronary perfusion pressure and the 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 in huma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JAMA, Vol.263, No.24, pp.1106-1113, 1990. 

  17. F. M. Clive, J. Rosamund, and D. Sian, "Predicting survival from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a multivariate analysis," J. of Resuscitation, Vol.34, No.1, pp.27-34, 1997. 

  18. 오덕자, 조경호, "특수학교 교사와 일반학교 교사의 기본심폐소생술 숙련도", 체육과학연구소논문집, 제25권, 제2호, pp.59-66, 2009. 

  19. B. Lynch, E. L. Einspruch, G. Nichol, L. B. Becker, T. P. Aufderheide, and A. Idris, "Effectiveness of a 30-min CPR self-instruction program for lay responders: a controlled randomized study," J. of Resuscitation, Vol.67, No.1, pp.31-43, 2005. 

  20. R. A. De Lorenzo and C. A. Abbott, "Effectiveness of an Adult-learning, Self-directed Model Compared with Traditional Lecture-based Teaching Methods in Out-of-hospital Training," J. of Acad Emerg Med, Vol.11, No.1, pp.33-37, 2004. 

  21. A. M. Batcheller, R. T. Brennan, A. Braslow, A. Urrutia, and W. Kay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erformance of subjects over forty is better following half-hour video self-instruction compared to traditional four-hour classroom training," J. of Resuscitation, Vol.43, pp.101-110, 2000. 

  22. K. H. Todd, A. Braslow, R. T. Brennan, D. W. Lowery, R. J. Cox, L. E. Lipscomb, and A. L. Kellerman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video self-instruction versus traditional CPR training," Ann Emerg Med., Vol.31, No.3, pp.364-369, 1998. 

  23. 진미덕, 시청각 회한(Feedback) 방법이 기본심폐소생술 교육 시 피로도와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4. 양희범, 양영모, 김종완, 성원영, 이호, 이장영, 홍성엽, "일인구조자 심폐소생술의 마네킨 모델에서 흉부 압박환기비의 변화에 따른 구조자 피로에 관한 연구", 대한중환자의학회, .제21권, 제2호, pp.116-125, 2006. 

  25. 홍기훈, 민석기, 정구영, "목격자 심폐소생술 후에 발생한 위 파열 1례", 대한응급의학회지 .제21권, 제4호, pp.504-506, 2010. 

  26. 오범진, 황성오, 김성환, 강구현, 문중범, 이강현, 김준명, "부정확한 심폐소생술로 발생한 mallory-weiss 증후군 1례", 대한응급의학회지, 제10권, 제1호, pp.122-127, 1999. 

  27. 이정은, 고봉연, "양호교사를 대상으로 한 최초 반응자 기본심폐소생술 교육 평가", 동남보건대학논문지, 제19권, 제2호, pp.269-27, 2001. 

  28. I. Lund and A. Skulber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by lay people," Lancet, Vol.308, No.7988, pp.702-704, 1976. 

  29. E. J. Gallagher, G. Lombardi, and P. Gennis, "Effectiveness of 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survival following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JAMA, Vol.274, No.24, pp.1922-1925, 1995. 

  30. T. B. Brown, J. A. Diasa, D. Sainia, R. C. Shaha, S. S. Cofielda, T. E. Terndrupa, R. A. Kaslowa, and J. W. Waterbora,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guidelines and performance", J. of Resuscitation, Vol.69, No.2, pp.253-261, 2006. 

  31. P. Eisenburger and P. Safar, "Life supporting first aid training of the public-review and recommendations," J. of Resuscitation, Vol.41, No.1, pp.3-18, 1999. 

  32. 김호중, 심정지 환자에서 흉부압박의 위치변화에 따른 혈역학적 효과의 비교,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33. 김윤권, 심실세동을 유발한 개에서 자동 이중혈류유발 심폐소생술과 표준 심폐소생술의 혈역학적 효과 비교.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34. P. Tom, G. Ronald, Demetris Yannopoulos, John P, Chris von, W. Christopher, A. Kimberly, J. Craig, J. David, A. Terry, and G. Keith, "Incomplete chest wall decompression: a clinical evaluation of CPR performance by EMS personnel and assessment of alternative manual chest compression-decompression techniques," J. of Resuscitation Vol.64, No.3, pp.353-362, 2005. 

  35.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http://www.mw.go.kr, 2009 국민건강통계-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3차년도, 2010. 

  36. L. A. Geddes, M. K. Boland, P. R. Taleyarkhan, and J. Vitter, "Chest Compression Force of Trained and Untrained CPR Rescuers," J. of Cardiovasc Eng, Vol.7, No.2, pp.47-50, 2007 

  37. W. D. Voorhees, C. F. Babbs, and W. A. Tacker, "Regional blood flow during cardiopulmanary resuscitation in dogs," Crit Care Med, Vol.8, No.3, pp.134-136. 1980. 

  38. 황성오, 이서영, 김현, 이강현, 장용수, 최한주, 유병수, 이승환, 윤정한, 최경훈, 조준휘, "심정지 환자에서 심폐소생술 중 좌심실 조영 심초음파로 관찰된 승모판 역류의 의의", 대한응급의학회지, 제14권, 제2호, pp.178-184, 2003. 

  39. 황성오, 김선만, 조준휘, 오범진, 김성환, 강구현, 이강현, "심폐소생술 중 심장펌프 이론의 증거로서 대동맥 크기의 변화", 대한응급의학회지, 제10권, 제1호, pp.60-69, 1999. 

  40. S. O. Hwang, K. H. Lee, J. H. Cho. J. H. Yoon, and K. H. Choi, "Changes of aortic dimensions as evidence of cardiac pump mechanism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humans," Resuscitation, Vol.50, No.1, pp.87-93, 2001. 

  41. S. Rich, H. L. Wix, and E. P. Shapiro, "Clinical assessment of heart chamber size and valve motion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by two dimensional echocardiography," Am Heart J, Vol.102, No.3, pp.368-373, 1981. 

  42. 황성오, 김영식, 임경수, 이부수, 이강현, 안무업, 윤정한, 박금수, 최경훈, "심폐소생술 중 심실기능 및 판막운동의 평가", 대한응급의학회지. 제5권, 제2호, pp.135-146. 1994. 

  43. S. T. Higano, J. K. Oh, G. A. Ewy, and J. B. Seward, "The mechanism of blood flow during closed chest cardiac massage in humans: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ic observation," Mayo Clin Proc, Vol.65, No.11, pp.1432-1440, 1990. 

  44. J. A. Werner, H. L. Greene, C. L. Janko, and L. A. Cobb, "Visualization of cardiac valve motion in man during external chest compression using two-dimensional echocardiography. Implications regarding the mechanism of blood flow," Circulation, Vol.63, No.6, pp.1417-1421, 198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