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요인
The Effect Factors of Survival rate in the Patients with Cardiac Arres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2, 2014년, pp.760 - 766  

조병준 (강원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김선예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비교분석하여, 심정지환자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2010년 일개 도에서 119 구급대가 이송한 18세 이상 심정지 환자 4,092명으로 하였고, 구급일지와 심폐정지환자 응급처치 세부상황표, 인명소생 추천서를 유스타인 형식 조사지에 기록하였다. 연구결과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산소공급, 기도유지, 정맥로 확보, 병원도착 소요시간, 현장처치시간, 발생장소, 일반인에 의한 심폐소생술, 동승 구급대원의 자격, 자발순환 회복장소 등이었다. 결론적으로 심정지 환자에 대한 119 구급대의 응급처치는 생존율을 유의하게 높였다. 조기 제세동, 산소공급, 기도유지, 정맥로 확보 등 병원전 응급처치가 생존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119 구급대 중 1급 응급구조사의 인원증가를 위한 정책을 제정하고, 119 구급대의 응급처치 시행률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개선해야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factors in the survival of cardiac arrest patients. This study involved 4,092 cardiac arrest patients of K province, who were transported by 119 during 2010. The data collection involved using 119 rescue daily reports, cardiopulmonary arrest patien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병원 전 심정지 환자들의 생존율과 관련된 요인들을 알아보고, 특히 응급처치 요인들이 병원전 심정지 환자의 생존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응급의료 제도의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병원 전 심정지 환자의 보고양식인 유스타인 형식(Out -of-Hospital Cardiac arrest: Utstein Style)을 이용하였다[7].
  • 조사는 해당기관의 책임자에게 본 연구의 취지 및 조사내용에 대해 설명을 드리고 자료열람에 대한 동의를 얻은 후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심폐소생술과 관련된 용어의 혼란을 방지하고 결과를 표준화하기 위해서 1991년에 정립된 병원 전 심정지 환자의 보고양식인 유스타인 형식에 기초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12].
  • 이러한 연구결과 우리나라의 병원 전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이 외국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이유가 119 구급대의 응급처치 시행률이 낮은 것과 높은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에 연구자는 병원 전 단계에서의 응급처치가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심혈관계 질환의 유병률은 어떻게 되는가? 심혈관계 질환은 이미 선진국은 물론 많은 개발도상국가에서 중요한 사망원인이며, 사망 이외에도 질병으로 인한 장애, 생산력 감소, 의료비 등의 질병부담이 큰 보건문제로 인식되고 있다[1]. 우리나라의 심혈관계 질환의 유병률은 만 30세 이상 국민 중 1998년 0.8%에서 2008년 2%로 급증하고 있으며,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또한 1999년 인구 십만 명 당 38.9명에서 2009년 45명으로 크게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심혈관계 질환 중 특히 허혈성 심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급증한 것은 심정지가 발생되는 환자수의 증가와 맞물려 있다[2].
심혈관계 질환 중 특히 허혈성 심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급증한 것은 무엇과 맞물려 있기 때문인가? 9명에서 2009년 45명으로 크게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심혈관계 질환 중 특히 허혈성 심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급증한 것은 심정지가 발생되는 환자수의 증가와 맞물려 있다[2].
병원 전 심정지 환자의 보고양식인 유스타인 형식에는 어떤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는가? 심정지환자의 객관적 평가도구로써 유스타인 형식(Utstein Style)을 사용하는데, 이는 심정지 환자의 정의와 용어를 통일하기 위해서 세계의 심장협회에서 발표한 형식이다. 병원 전 심정지 환자의 보고양식인 유스타인형식(Out-of-Hospital Cardiac arrest: Utstein Style)에는 심정지 발생장소, 목격된 심정지인지 여부, 심정지 전 환자 상태, 119 구급대 도착 전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여부, 초기 심전도 리듬, 응급처치 내용을 각각 기록하고, 자발 순환회복여부와 생존퇴원여부, 1년 후 생존을 결과보고에 포함하고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RC Brownson, PL Remington. Chronic disease epidemiology and control. 2nd. ed. Washington, DC. 1998.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 

  3. Colin OK, Jon N, Janette T, Steve Gl. Role of ambulance response times in the survival of patients with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 Emerg Med J 10, 1136-39, 2010 

  4. Vukmir RB and the sodium Bicarbonate Study Group. Witnessed arrest, but not delayed 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mprovers prehospital cardiac arrest survival. Emerg Med J 21, 370-373, 2004 DOI: http://dx.doi.org/10.1136/emj.2003.008383 

  5. Pantridge JF, Geddes JS. A mobile intensive care unit in the management of myocardial infarction. Lancet 2, 271-173, 1967 DOI: http://dx.doi.org/10.1016/S0140-6736(67)90110-9 

  6. Eisenberg MS, Horwood B, Cummins R. Cardiac arrest and resuscitation: a tale of 29cities. Ann Emerg Med 419, 179-86, 1990 DOI: http://dx.doi.org/10.1016/S0196-0644(05)81805-0 

  7. Richard WS. Recommended guidelines for uniform reporting of data o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s: the"Utstein style". Can Med Assoc J 145, 15-25, 1991 

  8. Emergency Medical Service Act,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0 

  9. Eun SJ, Kim H, Jung JY, Cho KH, Kim Y. Prospective multicenter evaluation of prehospital care by 119 rescue services. J Korean Soc Emerg Med 18, 177-89, 2007 

  10. BY Go, YS Park.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ehospital care in Pre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by Paramedic's Reports. J Kor Acade Industr Copp Soc 11(4), 1540-1546, 2010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0.11.4.1540 

  11. SJ Kim, SJ Cho, SL Lee, SY Ryu, HY Kim, SJ Kim. The effects of pre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prognoses by emergency medical CPR group. J Korean Soc Emerg Med 16(1), 99-103, 2005 

  12.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9 year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2010 

  13. Mitchell RG, Guly UM, Cook R, Steedman DJ, Robertson CE. Can the full range of paramedic skills improve from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s? J Accid Emerg Med 14, 274-277, 1997 DOI: http://dx.doi.org/10.1136/emj.14.5.274 

  14. Stiell IG, Wells GA, Field B, Spaite DW.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i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N Eng J Med 351, 647-56, 2004 DOI: http://dx.doi.org/10.1056/NEJMoa040325 

  15. Ng AY, Clinton JE, Peter G. Nontraumatic prehospital cardiac arrest ages 1-39 years. Am J Emerg Med 8, 87-91, 1990 DOI: http://dx.doi.org/10.1016/0735-6757(90)90190-B 

  16. Brison R, Davidson J, dreyer J. Cardiac arrest in Ontario: circumstances, community response, role of prehospital defibrillation and predictors of survival. CMAJ 147, 1427-8, 1992 

  17. Fredrinksson M, Herlitz J. Variation in outcome in studies of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 a review of studies conforming to the Utstein guidelines. Am J Emerg Med 21, 276-81, 2003 DOI: http://dx.doi.org/10.1016/S0735-6757(03)00082-2 

  18. Andgelic S. A prediction survival model for out-of-hospit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J Critical Care 6, 235-243, 2010 

  19. Weaver WD, Hill D, Fahrenbruch CE. Use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n the management of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 N Emerg J Med 319, 661-666, 1998 

  20. Weisfeldt ML, Kerber RE, McGoldrick RP, Moss AJ. Public access defibrillarion: a statement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fron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ion. Circulation 92, 2740-2747, 1995 DOI: http://dx.doi.org/10.1161/01.CIR.92.9.2740 

  21. Cobb LA, Fahrenbruch CE, Olsufka M. Changing incidence of out of hospital ventricular fibrillation, 1980-2000. JAMA 288, 3008-13, 2002 DOI: http://dx.doi.org/10.1001/jama.288.23.3008 

  22. Rosenberg M, Wang C, Hoffman-Wilde S. Result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rch Intern Med 8: 87-91,1990 

  23. Richard HK, Gerry E, Pasul G. Issues around conducting prehospital research on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 lessons from the TOPCAT study. Emerg Med J 27, 637-638, 2010 DOI: http://dx.doi.org/10.1136/emj.2009.087395 

  24. Bonnin MJ, Swor RA. Outcomes in unsuccessful field resuscitation attempts. Ann Emerg Med 18, 507-12, 1989 DOI: http://dx.doi.org/10.1016/S0196-0644(89)80834-0 

  25. Michael P, Jonathan NV, James P, Andrew D. Hidden impact of paramedic interventions. J Accid Emerg Med 13, 383-385, 1996 DOI: http://dx.doi.org/10.1136/emj.13.6.383 

  26. Eisenberg MS, Bergner L, Hallstrom A. Paramedic programs and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ful resuscitation. Am J Public Health 69, 30-8, 1979 DOI: http://dx.doi.org/10.2105/AJPH.69.1.30 

  27. SO Hwang, ME Ahn, YS Kim, KS Lim, JH Yun, KH Choe. The Result of CPR in the pre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J Korean Soc Emerg Med 3(1), 27-36, 1992 

  28. Anouk P, Rob HV, Jan GP. Use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by first responders in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 prospective controlled trial. BMJ 327, 1-5,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