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역사교과서와 한국전쟁 사진의 변화
History Textbooks and Changes of Korean War Photograph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6, 2011년, pp.176 - 184  

김형곤 (동명대학교 언론영상광고학부)

초록

한국전쟁이 발발한 지 60년의 세월이 흘렀다. 현재 젊은 세대의 한국전쟁에 대한 인식은 그 이전 세대와 다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인식 차이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 고등학교 역사교과서에 실린 한국전쟁 관련 사진들이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사진에 대한 분석 결과, 7차 교육과정 이전에 발간된 역사교과서에 실린 한국전쟁 사진들은 정전론(正戰論)의 입장에 서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북한군의 기습 남침으로 시작된 전쟁에서 불굴의 의지로 공산주의 세력의 침입을 막은 한국군의 전쟁 행위는 평화를 지키기 위해 정당화될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한국 근현대사"의 한국전쟁 사진들이 보여주는 전쟁에 대한 기억은 반전론(反戰論)의 입장과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전쟁으로 인해 남과 북 모두 많은 인명 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입었고, 이러한 전쟁은 남북을 막론하고 정당화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차이가 세대별로 달라지는 한국전쟁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만들어낸 원인 중 하나가 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Korean War photographs in Korean history textbooks. This paper deals with the ways of describing Korean War in history textbooks. The Korean War photographs adopted in this study, us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The photographs analyzed for th...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역사교과서의 사진은 명확한 역사적 개념 정립에 도움을 주고, 문자 텍스트가 전달해 주지 못하는 의미를 한눈에 전달해 주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사진이 본문 이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2]. 물론 역사교과서의 본문이 역사인식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내용을 담고 있지만, 연구의 대상을 좀 더 세분해서 살펴보자는 취지에서 사진에 집중하고자 한다.
  •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역사교과서의 한국전쟁 사진들이 재현하고 있는 의미와 그 의미를 구체화하는 방식과 함께 그것이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내용은 지금 우리 사회 젊은 세대의 한국전쟁에 대한 인식이 이전 세대와 달라진 것을 이해하는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이러한 비판과 함께 한국 근현대사에 관한 역사 교과서의 내용을 둘러싸고 논쟁이 벌어졌고, 아직도 이러한 논쟁은 합의점을 찾지 못한 채 진행 중이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금성출판사 발간의 『한국 근현대사』가 이전의 역사교과서와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 여기에서 연구의 대상이 되는 것은 고등학교 역사교과서의 한국전쟁 부분에 실려 있는 사진들이다. 사진이 담고 있는 상징적 의미와 그것이 시대의 변화에 따라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특히 현재의 20대가 공부한 역사교과서인 『한국근현대사』의 한국전쟁 사진이 이전 교과서와 어떤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사진이 담고 있는 상징적 의미와 그것이 시대의 변화에 따라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특히 현재의 20대가 공부한 역사교과서인 『한국근현대사』의 한국전쟁 사진이 이전 교과서와 어떤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고등학교 역사교과서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몇 차례 변화를 겪었다.
  • 예를 들어 중앙청 앞에서 국기를 게양하는 국군의 모습을 보여주는 ‘9 · 28 서울수복’ 사진은 『고등학교 국사 하』(1998)와 『한국 근현대사』(2009)에 실려 있다. 그렇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개별 사진의 시각화 방식의 차이보다는 사진이 교과서 내에서 제시되는 방식의 차이를 살피는 데 주력하였다. 연구 대상이 된 역사교과서의 경우 『한국 근현대사』 이전의 교과서에는 1-3장의 한국전쟁 관련 사진이 실려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역사교과서에서 사진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그런데 역사교과서에는 본문 내용과 함께 몇 장의 사진이 실려 있다. 역사교과서에서 사진은 역사를 설명하는 보조자료이지만, 직관적으로 교과서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텍스트 내용을 능가하는 중요성을 갖고 있다. 역사교과서의 사진은 명확한 역사적 개념 정립에 도움을 주고, 문자 텍스트가 전달해 주지 못하는 의미를 한눈에 전달해 주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사진이 본문 이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2]. 물론 역사교과서의 본문이 역사인식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내용을 담고 있지만, 연구의 대상을 좀 더 세분해서 살펴보자는 취지에서 사진에 집중하고자 한다.
후지와라 기이치가 일반화한 전쟁에 관한 논의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후지와라 기이치(藤原歸一)는 전쟁에 관한 시대별, 국가별 논의들을 살펴보면서, 그 논의들을 크게 정전론(正戰論)과 반전론(反戰論)으로 나누어 일반화할 수 있다고 한다[14]. 전쟁을 시작하는 국가가 있기 때문에 전쟁이 일어난다고 생각하면, 그 국가를 위협하고 억제해야 평화가 성립된다는 결론이 나온다. 이것이 전쟁을 정당화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정전론의 견해다. 다른 한편으로 전쟁을 수행하는 수단이 있는 한 평화가 올 수 없다고 생각하면, 무기를 없애고 궁극적으로 전쟁이 없어야 평화가 실현될 것이다. 이것이 모든 전쟁이 정당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반전론의 견해이다.
유명한 전쟁사진들은 주로 어떤 방식으로 설명을 하는가? 사람들은 특정한 상황과 역사적 사건에 대한 기록으로 묘사된 전쟁사진 속에 있는 그림의 특수성과 세부사항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죽음, 희생, 애국심 등과 같은 상징적 순간의 드라마틱한 요소, 감정적인 끌림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이다. 그래서 유명한 전쟁사진들은 묘사(description) 보다는 신화의 수준에서 작동하는 상징과 이미지를 담고 있다고 설명한다. 그리핀과 젤리저의 논의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지속적으로 우리가 보는 전쟁사진들은 집단기억의 표시로서 구성된 기념물들, 전시물들과 유사하게 역사적 사실을 보여주는 것보다는 그것 자체가 역사적 사건을 해석하는 상징으로서 역할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조선일보, 기억의 정치: "김일성에 전쟁 책임" 60대 이상 70%, 20대는 42%, 2010. 6. 25. 

  2. 박삼헌, "일본중학교 후소샤 판 역사교과서의 삽화분석: 근대화에 대한 역사인식을 중심으로", 일본역사연구, 제27집, pp.155-177, 2008. 

  3. 이재원, "프랑스 역사교과서와 전쟁의 재구성: 양차 대전과 식민지 전쟁의 기억과 전수", 프랑스사연구, 제16호, pp.99-129, 2004. 

  4. 이용재, "기억의 의무와 역사교육: '알제리전쟁'과 프랑스의 역사교과서", 서양사론, 제77호, pp.73-99, 2002. 

  5. 위클리경향, '역사인식'이란 무엇인가, 2010. 1. 5. 

  6. B. Zelizer, "From the Image of Record to the Image of Memory: Holocaust Photography, then and now," In B. Brennen & H. Hardt(Eds.), Picturing The Past(pp.98-121), Urbana: University of Illinos Press, 1999. 

  7. M. Griffin, "The Great War Photographs: Constructing Myths of History and Photojournalism," In B. Brennen & H. Hardt (Eds.), Picturing The Past(pp.123-157), Urbana: University of Illinos Press, 1999. 

  8. V. Goldberg, The Power of Pphotography: How Photographs Changed our Lives, New York: Abbeville Press, 1991. 

  9. 김영나, "워싱턴 DC 내셔널 몰의 한국전 참전용 사기념물과 전쟁의 기억",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pp.7-31, 2002. 

  10. 이근우, 고교 교과서에 비친 박정희, 매일경제, 2009. 10. 23. 

  11. M. Joly, L'image et les Signes, 1994, 이선영 역, 이미지와 기호, 동문선, 2004. 

  12. 강인철, "전쟁의 기억, 기억의 전쟁", 창작과 비평, 108, pp.340-356, 2000. 

  13. 김영수, 기록자와 해설자: 조선일보와 뉴욕타임스의 사진 비교, 미디어연구소,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