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언론의 소셜 미디어 담론의 주체 분석
An Analysis of Social Media Discourse on the Agent in the Pres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6, 2011년, pp.242 - 251  

김형곤 (동명대학교 언론영상광고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언론에서 소셜 미디어는 미래 지향적이면서 선구자적인 이미지로 묘사될 때가 많다. 소셜 미디어의 확산에는 이러한 언론 보도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언론의 소셜 미디어 담론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그것이 어떠한 사회적 함의를 가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 결과 언론에서 소셜 미디어는 사회의 발전과 민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필연적인 당위성을 가진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또한 거부할 수 없는 사회적 변화의 흐름인 것으로 묘사되고 있었다. 기업, 정부, 정치인, 일반인들까지 소셜 미디어 이용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는 것으로 보도되었다. 프라이버시 침해와 같은 소셜 미디어의 부정적인 면은 거의 보도되지 않았다. 이러한 언론의 보도태도는 새로운 미래를 향한 진보의 시간에 필요한 규율적 훈련을 사람들이 받아들이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cial media in the press is often described as a future oriented and pioneering image. These press report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proliferation of social media. This paper investigates social implications of social media discours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ss's reports. As a re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들 뉴스에서는 정부, 기업, 일반대중과 같은 불특정한 다수를 대표하는 주체와 소셜 미디어, 페이스북, 트위터 같은 무생물 주체가 뉴스의 현저성을 높이기 위한 인간화된 행위의 주체가 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방법으로 정부, 기업, 일반대중, 소셜 미디어,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주체가 신문기사 내에서 어떻게 묘사되고, 어떤 의미를 지니게 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럼으로써 언론의 소셜 미디어 담론이 소셜 미디어에 대한 어떤 특정한 현실을 구성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 그런데 언론은 현실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언론의 담론 자체가 구성되어진 현실이며, 소셜 미디어 담론도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반영한 것이 아니다. 그래서 이 연구에서는 언론이 소셜 미디어에 대한 담론을 어떻게 구성해나가며, 그렇게 구성된 담론의 현실이 주는 사회적 함의는 무엇인가를 살펴보려 하였다.
  •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방법으로 정부, 기업, 일반대중, 소셜 미디어,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주체가 신문기사 내에서 어떻게 묘사되고, 어떤 의미를 지니게 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럼으로써 언론의 소셜 미디어 담론이 소셜 미디어에 대한 어떤 특정한 현실을 구성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주체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언론의 소셜 미디어 표상의 종합을 통해 소셜 미디어 담론이 가지는 사회적 함의를 도출해 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오늘날과 같은 소셜 미디어의 급속한 확산 과정에서 신문이 소셜 미디어를 하나의 사회적 현상으로 어떻게 재현하고 있으며, 그로부터 생산되는 사회적 담론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 논문에서는 언론의 소셜 미디어 담론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그것이 어떠한 사회적 함의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 그럼으로써 언론의 소셜 미디어 담론이 소셜 미디어에 대한 어떤 특정한 현실을 구성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주체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언론의 소셜 미디어 표상의 종합을 통해 소셜 미디어 담론이 가지는 사회적 함의를 도출해 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10년 1년 동안 신문이 소셜 미디어를 어떻게 재현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어떠한 담론을 생산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소셜 미디어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대체로 소셜 미디어 개념의 확산[21],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의 이용패턴[8], 이용동기[22] 등에 대해 논의하고 있으며, 소셜 미디어 이용으로 인한 디지털 격차에 대해 논의하는 연구[23]도 있었다.
  • 따라서 신문과 같은 기존 언론이 생산하는 소셜 미디어 관련 담론에 대한 연구는 소셜 미디어의 급속한 확산을 설명하는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오늘날과 같은 소셜 미디어의 급속한 확산 과정에서 신문이 소셜 미디어를 하나의 사회적 현상으로 어떻게 재현하고 있으며, 그로부터 생산되는 사회적 담론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 논문에서는 언론의 소셜 미디어 담론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그것이 어떠한 사회적 함의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 소셜 미디어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대체로 소셜 미디어 개념의 확산[21],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의 이용패턴[8], 이용동기[22] 등에 대해 논의하고 있으며, 소셜 미디어 이용으로 인한 디지털 격차에 대해 논의하는 연구[23]도 있었다. 이들 연구가 소셜 미디어 확산에 따른 이용자들의 이용 행위에 대해 논의하고 있는 데 비해,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가 확산되는 추세가 언론의 편향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했고, 소셜 미디어 담론의 주체 분석을 통해 그런 점을 밝혀낼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오늘날 대부분의 사회구성원들이 다수의 미디어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페이스북을 이용하는 사람의 수는? 2010년 12월 타임지가 선정한 올해의 인물은 페이스북을 만든 26살의 마크 주커버그였다. 현재 전 세계 6억여명의 사람들이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다고 한다. 타임은 페이스북이 사람들이 서로 관계 맺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고 평가했다.
2010년 12월 타임지가 선정한 올해의 인물은 누구인가? 2010년 12월 타임지가 선정한 올해의 인물은 페이스북을 만든 26살의 마크 주커버그였다. 현재 전 세계 6억여명의 사람들이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다고 한다.
소셜 미디어의 사용, 확산이 시대의 대세라는 기사 중 조선일보에서 2010년 7월 23일에 작성한 기사는? 페이스북이 6년만에 사용자 5억명을 돌파했다... 지난 6개월 사이에 1억명이 가입했다. 이런 기세라면 10억명 돌파도 머지 않아 보인다... 전문가들은 페이스북을 애플, 구글과 함께 뉴미디어 전쟁을 이끌 주역으로 꼽는 것을 주저하지 않는다.(조선일보.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주재원, 나보라, "올드미디어는 뉴미디어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 텔레비전과 인터넷 관련 신문보도를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제17권, 제2호, pp.2-48, 2009. 

  2. 김형곤, "언론의 정보화사회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언론학연구, 창간호, pp.59-80, 1997. 

  3. 이정환, "소셜 미디어로 인한 기업 마케팅 환경의 변화", 월간WEB 10월호 Social 2.0 칼럼, 2010. 

  4. www.Alexa.com 

  5. 오관석, "소셜 미디어 시대에 있어서 모바일 전자정부를 위한 전략적 접근", 사회과학연구, 제34집 2호, pp.135-161, 2010. 

  6. 한국정보화진흥원, CIO REPORT 12, 한국정보화진흥원, 2009. 

  7. 권승경, 장동련, "브랜드 아이텐티티의 소셜미디어 기반 문화경험적 활용방안 사례 비교분석 연구", 디자인학연구, Vol.24 No.1, pp.187-200, 2010. 

  8. 설진아, "소셜 미디어의 진화양상과 사회적 영향", 2009년 한국언론정보학회 가을철정기학술대회 특별세션 'Social Communication Media의 의미와 영향' 발표문, 2009. 

  9. 황수현, "'트위터 열풍' 그것이 궁금하다", 주간한국, 2281호, 2009. 

  10. http://news.bbc.co.uk 

  11. 김상현, "소셜미디어와 프라이버시", 정보과학회지, 제28권, 제3호, pp.41-46, 2010. 

  12. 김성은, "소셜미디어 위치기반서비스의 감시기제와 시선의 권력", 기초조형학연구, Vol.11, No.6, pp.99-107, 2010. 

  13. A. Toffler, The Third Wave, New York: Bantam Books, 1980. 

  14. T. R. Young, "Information, Ideology, and Political Reality," The Ideology of the Information Age, Norwood: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1987. 

  15. D. Burstein and D. Kline, Road Worriors: Dreams and Nightmares Along the Information Highway, 김광전 역, 정보고속도로의 꿈과 악몽, 한국경제신문사, 1996. 

  16. J. L. Salvaggio, "Projecting a Positive Image of the Information Society," in Jennifer D. Slack and Fred Fejes(eds.), The Ideology of the Information Age, Norwood :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pp.146-157, 1987. 

  17. T. A. Van Dijk, News Anslysis, Hillsdal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1988. 

  18. M. McCombs and D. Shaw, "The Agenda-setting Function of Mass Media," Public Opinion Quarterly 36, 1972. 

  19. R. M. Entman,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Vol.43, 1993. 

  20. M. Foucault, Discipline and Punish: The Birth of the Prison, London: Allen Lane, 1977. 

  21. 최민재, "소셜 미디어의 확산과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수용자 인식 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가을철학술대회 발표문, 2009. 

  22. 심홍진, 황유선, "마이크로 블로깅 (micro-blogging) 이용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24-2, pp.192-234, 2010. 

  23. 금희조, 조재호, "스마트폰, 커뮤니케이션 격차, 그리고 정치참여: 소셜 미디어 효과에 대한 스마트폰 이용의 조절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4호, 제5권, pp.348-365,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