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RBM과 산부식 임플란트의 3년 생존율을 비교,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총 152개의 RBM 임플란트를 식립하였고, 이 중 1개의 임플란트에서 실패가 발생하였는데, 원인은 식립체의 파절이었다. 또한 총 152개의 산부식 표면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는데, 이 중 7개의 임플란트에서 실패를 하였으며, 원인으로는 과열, 감염, 초기고정 불량 등이었다. RBM 임플란트의 생존율은 99.34%, 산부식 임플란트의 생존율은 95.39%로 두 가지 임플란트 모두 양호한 생존율을 보였으나, RBM 임플란트에서 다소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ompare survival rates of resorbable blast media(RBM) surface and acid-etched surface implants being usually used in clinics. RBM surface implants (USII, Osstem, Busan, Korea) or acid-etched surface implants ($Osseotite^{(R)}$, Biomet $3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회 수술법을 이용하여 식립된 치근형 RBM 표면 임플란트 (이하 RBM 임플란트)와 산부식 표면 임플란트 (이하 산부식 임플란트)의 3년간의 생존율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lbrektson이 제시한 임플란트의 골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상실된 치아를 회복시키기 위해 개발된 치과 임플란트는 '연조직의 개재없이 임플란트 표면과 골조직이 직접 유착한다'는 개념이 여러 학자들에 의해 증명됨으로써 급속히 발전하게 되었다. Albrektson은 임플란트의 골유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소로 임플란트 재료의 생체 적합성, 임플란트 매식체의 디자인, 매식체의 표면 특성, 환자의 골질 상태, 외과적 술식, 하중 등 6가지를 제시하였다1). 이 중 매식체의 표면 특성에 대해 살펴보면, Branemark이 개발한 초기 임플란트는 평활한 표면 (machined surface)이었는데, 이는 가장 오래된 유형의 임플란트로서 우수한 생체 적합성과 조직 안정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오랜 기간 동안의 임상 적용을 통하여 성공적인 골 유착성이 검증되었다1).
임플란트 표면 처리 방법 중 RBM 방식은 무엇인가? 이 중 RBM 방식은 임플란트 표면에 매질(media)을 분사(blasting)시켜 표면을 거칠게 만드는 방법이다. 과거엔 임플란트 표면에 잔존해 있는 매질이 골유착을 방해하여 잘 사용되지 않았으나, 현재에는 수산화인회석(hydroxyapatite)처럼 생체 친화성이 우수한 흡수성 재료를 매질로 사용함으로써 표면 안전성을 확보하였다5).
임플란트의 표면 거칠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표면 처리 기술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또한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임플란트이 표면 거칠기가 증가할수록 골과 임플란트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어 골유착이 더 잘 일어난다는 연구결과가 나옴으로써, 표면 거칠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표면처리 기술들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표면 처리 방법들에는 titanium plasma spray (TPS), resorbable blasting media (RBM), 산부식 처리 (acid-etched), sandblasted with large grit and acid etched (SLA), 산화처리 (oxidation) 방식 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Quirynen M, Bollen CM, PaPaioannou W et al. The influence of titanium abutment surface roughness on plaque accumulation and gingivitis: Short-term observation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6;11: 169-178. 

  2. Alvreksson T, Qarb G, Worthington P et al : The long-term efficacy of currently used dental implants: A review and proposed criteria of succes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86;1:11-25. 

  3. Hutton JE, Heath MR, Chai JY et al : Factors related to success and failure rates at 3-year follow-up in a multicenter study of overdentures supported by Branemark impla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5;10:33-42. 

  4. Martinez H, Davarpanah M, Missika P et al. Optimal implant stabilization in low density bone. Clin Oral Implants Res 2001;12:423-432. 

  5. Piattelli M, Scarano A, Paolantonio M et al. Bone response to machines and resorbable blast material titanium implants: An experimental study in rabbits. J Oral Implantol 2002;28:2-8. 

  6. Trisi P, Lazzara R, Rao W et al. Bone-implant co ntact and bone quality: Evaluation of expected and actual bone contact on machined and osseotite implant surface.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2002;22:533-545. 

  7. Choi JY, Koh SW, Ryu HW. Clinical study on survival rate of osseointegrated implants. J Korean Assoc Maxillofac Plast Reconstr Surg 2009;31: 306-313. 

  8. Jeon HR, Kim MR, Lee DH et al. Four-year survival rate of RBM surface internal connection non- submerged implants and the change of the peri-implant crestal bone. J Korean Assoc Maxillofac Plast Reconstr Surg 2009;31:237-242. 

  9. Lekholm U, Zarb GA. Patient selection and preparation. In: Branemark, PI, Zarb, GA, Albrektsson, T(eds). Tissue-integrated prostheses. Chicago: Quintessance publishing Co; 1985:199-209. 

  10. Albrektsson T, Zarb G, Worthington P et al. The long-term efficacy of currently used dental implants: a review and proposed criteria of succes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86;1:11-25. 

  11. Buchs AU, Hahn J, Vassos DM. Interim clinical study report :a threaded, hydroxyapatite-coated implant- five-year post-restoration safety and efficacy. J Oral implantol 1995;21:266-274. 

  12. Wennerberg A, Albrektsson, Lausmaa J. Torque and histomorphometric and removal torque study of screw- shaped titanium implants and 75um sized particles of Al2O3. J Biomed Mater Res 1996;30: 251-260. 

  13. Buser D, Scjenk RK, Steinemann S et al. Influence of surface characteristics in bone integration titanium implants. A stomor phometic study in miniature pigs. J Biomed Mater Res 1991;25:889-902. 

  14. Maurizio P, Antonio S, Michele P et al. Bone reponse to machined and resorbable blast material titanium implants: An experimental study in rabbits. Oral implantol 2002;28:2-8. 

  15. Piattelli M, Scarano A, Paolantonio M et al. Bone response to machines and resorbable blast material titanium implants: An experimental stydy in rabbits. J Oral Implantol 2002;28:2-8. 

  16. Sanz A, Oyarzum A, Farias D et al. Experimental study of bone response to a new surface treatment of endosseous titanium implants. Implant Dent 2001;10: 126-131. 

  17. Sullivan DY, Sherwood RL, Mai TN. Preliminary results of a multicenter study evaluating a chemically enhanced surface for machined commercially pure titanium implants. J Prosthet Dent 1997;78:379-386. 

  18. Klokkevold PR, Nishimura RD, Adachi M et al. Osseointegration enhanced by chemical etching of the titanium surface. A torque removal study in the rabbit. Clin Oral Implants Res 1997;8:442-447. 

  19. Wong M, Eulenberger J, Schenk R et al. Effect of surface topology on the osseointegration of implant materials in trabecular bone. J Biomed Mater Res 1995;29:1567-1575. 

  20. Nishimura K, Itoh T, Takaki K et al. Periodontal parameters of osseointegrated dental implants. A 4-year controlled follow-up study. Clin Oral Implants Res 1997;8:272-278. 

  21. Testori T, Wiseman L, Woolfe S et al. A prospective multicenter clinical study of the Osseotite implant: four-year interim report.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1;16:193-2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