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플란트 길이, 직경 및 식립 위치에 따른 임플란트 안정성에 관한 후향적 연구
Retrospective study of implant stability according to the implant length, diameter and position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1 no.4, 2013년, pp.269 - 275  

김지혜 (조선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보철학교실) ,  전진용 (조선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보철학교실) ,  허유리 (조선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보철학교실) ,  손미경 (조선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보철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임플란트 직경, 길이 및 식립 부위가 임플란트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후향적 평가를 통해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72명의 환자에게 식립된 총 90개의 임플란트(US II plus$^{TM}$, Osstem co, Busan, Korea)를 대상으로 임플란트 식립 직후와 인상 채득 당시에 공진주파수분석법(RFA)으로 임플란트 안정성 지수(ISQ)가 측정되었다. 상 하악에 식립된 직경은 4 mm와 5 mm이고 길이는 10 mm, 11.5 mm, 13 mm인 임플란트가 실험대상으로 선택되었다. 측정된 ISQ 값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우선적으로 성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Independent t-test를 시행하였다. 임플란트 직경, 길이, 식립부위에 따른 ISQ 값의 실험군간 차이는 One-way ANOVA를 이용해 분석하였고, 사후검정을 위해 Tukey HSD test가 사용되었다. 임플란트 식립시와 인상채득시의 차이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인상채득시가 임플란트 식립 직후보다 임플란트 안정성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임플란트 길이가 증가할수록 ISQ 값은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직경 5 mm 임플란트는 4 mm 임플란트 보다 유의성 있게 높은 ISQ 값을 보였다(P<.05). 하악에 식립된 임플란트가 상악보다 더 높은 ISQ값을 보였다(P<.05). 결론:본연구결과, 임플란트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경이 큰 임플란트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악보다는 하악에서 더 높은 임플란트 안정성이 확인되었다. 임플란트 식립 직후의 일차 안정성보다 골유착 후 이차 안정성이 더 높게 나타남으로서 RFA를 이용한 방법이 골유착을 통한 임플란트 안정성의 변화를 평가함에 있어 임상적으로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임플란트 안정성 평가와 이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에 대한 고려는 임플란트 하중 시기를 결정하고 임플란트 성공률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implant diameter, length and placement to implant stability. Materials and methods: Total 90 implants (US II plus$^{TM}$, Osstem co, Busan, Korea) of 72 patients were determined as experimental samples. The fa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Osstem사의 US II plus 임플란트의 식립 직후와 인상채득 시의 임플란트 안정성을 RFA를 이용하여측정한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함으로서 임플란트의 안정성의 측정에 있어 RFA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고 임플란트 직경, 길이, 식립 위치가 임플란트 안정성에 미치는영향을 분석하고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eredith N. Assessment of implant stability as a prognostic determinant. Int J Prosthodont 1998;11:491-501. 

  2. Cochran DL, Schenk RK, Lussi A, Higginbottom FL, Buser D. Bone response to unloaded and loaded titanium implants with a sandblasted and acid-etched surface: a histometric study in the canine mandible. J. Biomed Master Res 1998;40:1-11. 

  3. Sykaras N, Triplett RG, Nunn ME, Iacopino AM, Opperman LA. Effect of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2 on bone regeneration and osseointegration of dental implants. Clin Oral Implants Res 2001;12:339-49. 

  4. Albreksson T, Jacobsson M. Bone-metal interface in osseointegration. J Prosthet Dent 1987;57:597-607. 

  5. Carlsson L, Rostlund T, Albrektsson B, Albrektsson T. Removal torques for polished and rough titanium impla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88;3:21-4. 

  6. Friberg B, Sennerby L, Linden B, Grondahl K, Lekholm U. Stability measurements of one-stage Branemark implants during healing in mandibles. A clinical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study. Int J Oral and Maxillofac Surg 1999;28:266-72. 

  7. Schulte W, Lukas D. Periotest to monitor osseointegration and to check the occlusion in oral implantology. J Oral Implantol 1993;19:23-32. 

  8. Aparicio C. The use of the Periotest value as the initial success criteria of an implant: 8-year report.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1997;17:150-61. 

  9. Meredith N, Alleyne D, Cawley P.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the stability of the implant - tissue interface using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Clin Oral Implants Res 1996;7: 261-67. 

  10. Meredith N, Book K, Friberg B, Jemt T, Sennerby L. Resonance frequency measurements of implant stability in vivo. A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study of resonance frequency measurements on implants in the edentulous and partially dentate maxilla. Clin Oral Implants Res 1997;8:226-33. 

  11. Oh JH, Chang MT. Comparison of initial implant stability measured by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between different implant systems. J Korean Acad Periodontol 2008;38:529-34. 

  12. Atsumi M, Park SH, Wang HL. Methods used to assess implant stability: current statu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7;22: 743-54. 

  13. Krennmair G, Waldenberger O. Clinical analysis of wide-diameter frialit-2 impla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4;19:710-5. 

  14. Bischof M, Nedir R, Szmukler-Moncler S, Bernard JP, Samson J. Implant stability measurement of delayed and immediately loaded implants during healing. Clin Oral Implants Res 2004;15:529-39. 

  15. Han J, Lulic M, Lang NP. Factors influencing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assessed by Osstell mentor during implant tissue integration: II. Implant surface modifications and implant diameter. Clin Oral Implants Res 2010;21:605-11. 

  16. Ohta K, Takechi M, Minami M, Shigeishi H, Hiraoka M, Nishimura M, Kamata N. Influence of factors related to implant stability detected by wireless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device. J Oral Rehabil 2010;37:131-7. 

  17. Lee JY, Lee WC, Kim JE, Shin SW. The influence of implant diameter, length and design changes on implant stability quotient (ISQ) value in artificial bone. J Korean Acad Prosthodont 2012; 50:292-8. 

  18. Langer B, Langer L, Herrmann I, Jorneus L. The wide fixture: a solution for special bone situations and a rescue for the compromised implant. Part 1.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3;8: 400-8. 

  19. Polizzi G, Rangert B, Lekholm U, Gualini F. Lindstrom H. Branemark System Wide Platform implants for single molar replacement: clinical evaluation of prospective and retrospective materials. Clin Implant Dent Relat Res 2000;2:61-9. 

  20. Kim DH, Pang EK, Kim CS, Choi SH, Cho KS. Non-submerged type implant stability analysis during initial healing period by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J Korean Acad Periodontol 2009;39:339-48. 

  21. Scortecci GM, Misch CE, Benner KU. Implants and Restorative dentistry. CRC Press, 2001, p. 60. 

  22. Ivanoff CJ, Sennerby L, Johansson C, Rangert B, Lekholm U. Influence of implant diameters on the integration of screw implants. An experimental study in rabbits. Int J Oral Maxillofac Surg 1997;26:141-8. 

  23. Chung DM, Oh TJ, Lee J, Misch CE, Wang HL. Factors affecting late implant bone loss: a retrospective analysi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7;22:117-26. 

  24. Kim JM, Kim SJ, Han I, Shin SW, Ryu JJ. A comparison of the implant stability among various implant systems: clinical study. J Adv Prosthodont 2009;1:31-6. 

  25. Barewal RM, Oates TW, Meredith N, Cochran DL. Resonance frequency measurement of implant stability in vivo on implants with a sandblasted and acid-etched surface.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3;18:641-5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