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식품 기호증진을 위한 초등학생용 미각교육교재 및 지도서 개발
Development of a Sensory Education Textbook and Teaching Guidebook for Preference Improvement toward Traditional Korean Foods in Schoolchildren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4 no.4, 2011년, pp.303 - 311  

우태정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경혜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xtbook and teaching guidebook on sensory education for lower grade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s. The goal of sensory education was to improve preferences for traditional Korean foods. An advisory committee was organized that was composed of 8 profess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단원 소개에서는 단원개발의 배경과 단원별 학습지도의 중심내용을 알 수 있도록 하였으며 단원개관은 차시별 단원 개발의 기초가 된 활동주제, 활동요소들을 밝히고 학습목표와 중점 지도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관련교과 안내는 본 교재의 단원별로 관련 있는 초등학교 저학년 교과목과 교육내용을 제시하여 수업 활동 전 학생의 선행 지식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교수학습과정은 학습 단위별로 제시하였으며 첫머리에서 교수학습과정을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수업준비물은 4인 1모둠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증가하고 있는 아동의 전통음식 기피현상과 편식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영양교육의 한 방법으로써 최근 선진국에서 시도하고 있는 미각교육을 적용하여 전통음식 기호를 증진시키고자 초등학교 저학년용 미각교육교재 및 지도서 개발을 목표로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 적합한 교육매체로써 전통음식의 맛을 즐기면서 먹는 방법을 체험하여 실제 식생활과 연계되어질 수 있도록 교실수업에 적합한 미각교육 교재와 지침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3) 개발되어진 교재를 토대로 교사용 지도서를 개발하였으며 「지도의 기초」, 「지도의 실제」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지도서는 교사가 미각수업에 대한 경험이 없을 것이란 가정을 하고 기술하였으며, 교사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수업준비물은 4인 1모둠 기준으로 사진과 그림 자료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미각수업 과정은 시범수업의 경험을 토대로 수업단계별 활동마다 지도 시 유의점을 상세히 안내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각교육이란? 미각교육 (sensory education)은 프랑스에서 젊은 세대들이 패스트푸드의 맛에 길들여져 전통 음식 이름이나 맛을 모르는 현실을 보고, 음식 먹는 즐거움을 알게 하고 전통식문화 계승을 위하여 1990년에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작되어진 교육이다. 미각교육은 음식 맛의 기본인 단맛, 신맛, 짠맛, 쓴맛을 알며, 즐겁게 식사하기 위한 오감의 활용, 전통음식의 맛과 조리 체험, 지역특산물 알기 등을 주요 내용으로 진행되어진다.
증가하고 있는 아동의 전통음식 기피현상과 편식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영양교육의 한 방법으로써 최근 선진국에서 시도하고 있는 미각교육을 적용하여 전통음식 기호를 증진시키고자 초등학교 저학년용 미각교육교재 및 지도서 개발을 목표한 본 연구의 결과는? 1)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을 선정할 때 체험학습 모형에 따라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체험요소를 추출하였으며 총 12차시로 구성하였다. 2) 교재는 사전, 중심, 사후 활동에 따라 「오감으로 느껴보기」, 「우리음식 즐겨먹기」, 「어우러져 먹어보기」 세 단원으로 구성하였으며, 「오감으로 먹어보기」 단원에서는 미각교육의 기본인 오감을 익히는 과정으로 2차시로 구성되었고, 「우리음식 즐겨먹기」 단원은 9가지의 우리 전통식품의 맛을 즐겨보는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어우러져 먹어보기」 단원은 앞 단원에서 경험하고 익힌 전통식품의 맛과 음식 먹는 태도에 대하여 스스로 평가하고, 함께 어울려 먹는 식사의 즐거움과 식품의 맛을 경험하여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3) 개발되어진 교재를 토대로 교사용 지도서를 개발하였으며 「지도의 기초」, 「지도의 실제」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지도서는 교사가 미각수업에 대한 경험이 없을 것이란 가정을 하고 기술하였으며, 교사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수업준비물은 4인 1모둠 기준으로 사진과 그림 자료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미각수업 과정은 시범수업의 경험을 토대로 수업단계별 활동마다 지도 시 유의점을 상세히 안내하였다. 4) 교재를 활용한 교육의 효과와 수업 활동을 평가한 결과, 지식 (p < 0.001), 식사태도 (p < 0.01, p < 0.001)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식품 선호도의 경우 수업에서 다루어진 식품은 교육 후 선호도가 향상되었다 (p < 0.05, p < 0.01). 수업활동에 대해 90.4%의 아동이 ‘재미있었다’로 응답하였으며 83%의 아동이 교육내용이 ‘음식 먹는 일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미각교육은 어떠한 내용으로 진행되어지는가? 미각교육 (sensory education)은 프랑스에서 젊은 세대들이 패스트푸드의 맛에 길들여져 전통 음식 이름이나 맛을 모르는 현실을 보고, 음식 먹는 즐거움을 알게 하고 전통식문화 계승을 위하여 1990년에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작되어진 교육이다. 미각교육은 음식 맛의 기본인 단맛, 신맛, 짠맛, 쓴맛을 알며, 즐겁게 식사하기 위한 오감의 활용, 전통음식의 맛과 조리 체험, 지역특산물 알기 등을 주요 내용으로 진행되어진다.5,8,9) 일본에서는 프랑스의 미각교육을 토대로 초등학교에서 오감으로 음식을 먹고, 맛을 보며 즐겁게 식사하는 것을 배우는 교육이 증가하고 있으며,8,10) 프랑스, 핀란드에서는 미각교육으로 새롭게 접하는 식품에 대한 거부나 혐오 현상을 감소시킨 연구사례가 보고되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Park KY. Korean traditional foods and health. Proceedings for Alliance of Societies; 2001. p.38-46 

  2. Kang JH, Lee KA. The perception, preference, and intak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focusing on kimch, tteok and eumcheong varieties-. Korean J Food Cult 2008; 23(5): 543-555 

  3. Lee MY, Kim YA. The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 and fast food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Ansan area. J Korean Home Econ Assoc 2006; 44(10): 109-120 

  4. Cha JA, Yang IS, Lee SJ, Chang L. Effect-evalu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education program for the elementary schoolers. Korean J Food Cult 2007; 22(4): 383-392 

  5. Mustonen S, Rantanen R, Tuorila H. Effect of sensory education on school children's food perception: a 2-year follow-up study. Food Qual Prefer 2009; 20(3): 230-240 

  6. Lee YB. Research of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and Korean sauced foods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metropolitan area [Masters degree]. Anseong: Chung-Ang University; 2010 

  7. Gang MS, Chyun JH.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the knowledge of the Korean traditional food in the elementary schoolchildren of Incheon. Korean J Food Cult 2006; 21(2): 107-115 

  8. Uchisaka Y. Sensory education in class. Tokyo, Japan: Godo-Shuppan; 2007. p.64-73 

  9. Reverdy C, Schlich P, Koster EP, Ginon E, Lange C. Effect of sensory education on food preference in children. Food Qual Prefer 2010; 21(7): 794-804 

  10. Sato M. Introduction of sensory education in nutrition education. Monthly Nutr Edu 2009; 9(101); 10-28 

  11. Reverdy C, Chesnel F, Schlich P, Koster EP, Lange C. Effect of sensory education on willingness to taste novel food in children. Appetite 2008; 51(1): 156-165 

  12. Mustonen S, Tuorila H. Sensory education decrease food neophobia score and encourages trying unfamiliar foods in 8-12-year-old children. Food Qual Prefer 2010; 21(4): 353-360 

  13. Gyeongsangnam-do Office of Education. Basic direction of Gyeongnam education for elementary education. Available from: http://www.gne.go.kr/eng/basic/basic.jsp [2011 May] 

  14. Choi IJ, Ryu CA. A study on design model of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for forest culture excursion. J Korean Pract Arts Educ 2001; 7(1): 49-68 

  15. Kang JE, Bang GH. Development of practical arts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for charac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J Korean Pract Arts Educ 2003; 16(2): 33-50 

  16. Kim HK, Lee SD. A view on experiential learning of practical arts education. J Korean Pract Arts Educ 2001; 7(1): 83-104 

  17. Ives-Dewey D. Teaching experiential learning in geography: lessons from planning. J Geog 2008; 107(4-5): 167-174 

  18. Choi IJ, Ryu CS.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experiential element in elementary school. J Korean Pract Arts Educ 2000; 13 (2): 203-226 

  19. Yang IS, Chung HK, Chang MJ, Cha JA, Lee SJ, Chung L, Park SH, Cha SM.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program for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for the elementary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2006; 12(2): 127-145 

  20. Korea Food and Drug Adminstration. Available from: http://www. kfda.go.kr/index.kfda?mid56&seq14124&cmdv [2011 May] 

  21. Choi MS, Jung EH, Hyun T.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ungbuk province-Tradition holiday food, rice cake, non-alcoholic beverage-. Korean J Food Cult 2002; 17(4): 399-410 

  22. Lee KH, Her ES, Woo TJ.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textbook and teaching manual in elementary school. J Korean Diet Assoc 2005; 11(2): 205-215 

  23.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Guide for green dietary life. Seoul: Kyohaksa; 2010 

  24.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Fun to learn culinary tradition. Seoul: CIR;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