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 영양지수를 이용한 강화군 영·유아의 식행동 실태 평가
Evaluation of Dietary Behavior of Infants and Toddlers in Ganghwa County by Using Nutrition Quotient (NQ)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7 no.1, 2017년, pp.17 - 28  

김은미 (김포대학교 호텔조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food intake frequency and food behavior of infants and toddlers by using the Nutrition Quotient (NQ). A total of 368 subjects (infants 111, toddlers 257) in Ganghwa county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NQ was examined using an NQ questionnaire, which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강화군의 미취학 영․유아를 대상으로 어린이 영양지수를 통하여 식사의 질과 식습관, 식품 섭취 양상을 분석하여 아동들의 영양 상태를 평가하고, 영양지수가 남아와 여아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해 보았다. 아울러 성장발달 지표, 식습관에 영향을 주는 요인 등이 어린이 영양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강화군 영․유아의 영양교육 계획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습관이란 무엇인가? 식습관이란 음식의 기호, 음식에 대한 태도 등을 의미하는데, 어린이의 식습관은 가정, 사회 환경 등의 요소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Yperman AM & Vermeersh JA 1979), 잘못된 식습관은 다른 생활습관과 마찬가지로 유아가 성장함에 따라 여러 가지 부정적 태도 기능 능력과 연관됨으로써 결국 틀에 박힌 행동으로 고착된다(Lee JS & Kim SJ 2009). 2014 국민건강통계 결과(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에 의하면 영양섭취 부족자는 1∼2세 13.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영향은? 9%보다 2015년 57.9%로 증가함에 따라 영유아가 어린이집, 유치원 등과 같은 기관을 이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2014년 12월을 기준으로, 43,742개소의 어린이집이 운영되고 있으며, 취학 전 영유아 약 1,496,671명이 어린이집을 이용하고 있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6b).
성장기 어린이에게 영양교육 방법은 무엇인가? 결론적으로 강화군 영유아의 전반적인 식행동 및 식습관 점수는 중간범주에 속하나, 식사의 다양성 및 올바른 식생활 실천 영역에서 점수가 낮았으며, 이는 성장기 어린이에게 부족하기 쉬운 칼슘, 칼륨 및 비타민 C의 섭취 부족과 직결되므로 개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영양교육 시 규칙적인 식사, 골고루 먹기, 꼭꼭 씹어 먹기, 채소와 과일 섭취하기, 흰 우유 2회 섭취 등의 내용이 우선순위로 다루어져야 한다. 또한, 영․유아뿐 아니라, 부모들에 대한 영양표시 제도에 대한 교육과 식사 전 손씻기에 대한 식행동이 잘 되어 있지만, 손씻기 교육은 계속적인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영양교육 이외에 TV 시청이나 게임에 노출되는 시간에 대한 지도와 운동지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oo MN, Cho SK, Park K (2015) Evaluation of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ju using nutrition quotient. J Nutr Health 48(4): 335-343. 

  2. Huang YC, Kim HY (2014) Assessment of dietary behavior of Chinese children using nutrition quotient for children. J Nutr Health 47(5): 342-350. 

  3. Jung YH, Kim JH (2016) Evaluation of nutrition quotient and related factors in pre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21(1): 1-11. 

  4. Kang MH, Lee JS, Kim HY, Kwon S, Choi YS, Chung HR, Kwak Tk, Cho YH (2012) Selecting items of a food behavior checklist for the development of nutrition quotient (NQ) for children. Korean J Nutr 45(4): 372-389. 

  5. Kim HK, Kim JH (2006) A preliminary study on nutrition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in day - Care center - dietary habit and nutrition knowledge -.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7): 866-873. 

  6. Kim HY, Kwon S, Lee JS, Choi YS, Chung HR, Kwak TK, Park JY, Kang MH (2012) Development of a nutrition quotient (NQ) equation modeling for children and the evaluation of its construct validity. Korean J Nutr 45(4): 390-399. 

  7. Kim JH, Jung YH (2014) Evaluation of food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of preschool children in Nowon-gu of Seoul by using nutrition quotient. Korean J Community Nutr 19(1): 1-11. 

  8. Kim JR, Lim HS (2015)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nutrition quotient and the practice of the dietary guidelin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mothers. J Nutr Health 48(1): 58-70. 

  9. Kim NH, Lee IS (2015) Assessment of nutritional status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 by nutrition quotient (NQ) - Gyeongiu -.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5(1): 73-86. 

  10. Kim YJ, Han YS, Chung SJ, Lee YN, Lee SI, Choi HM (2006) Characteristics of infant's temperaments and eating behaviors, mothers' eating behaviors and feeding practices in poor eating infants. Korean J Community Nutr 11(4): 449-458. 

  11. Kleinman R (1999) Feeding recommendations. Chapter 4. In: Ebejer M, ed. Current Practices in Infant Feeding. Fremont, MI: Gerber products company. pp 25-32. 

  1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007) Standard Growth Curve for Korea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Seoul, Korea. pp 10-29. 

  1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 https://knhanes.cdc.go.kr/knhanes/(accessed oct 12 2016). 

  14. Lee JS, Kim SJ (2009) A study on daily life habits related with the physical health of young children. Korean J Child Studies 30(3): 177-196. 

  15. Lee NH, Joung HJ, Cho SH, Choi YS (2000) A survey of eating behavior and food preferences of children in preschool nursery facilities. Korean J Community Nutr 5(4): 578-585. 

  16. Lee SJ, Kim YN (2013) Evaluation of the diet and nutritional stat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Daegu area by using nutrition quotient for children. J Nutr Health 46(5): 440-446. 

  17. Lee YM, Oh YJ (2005) Parents' perception and attitudes to the school meal service program (SMSP) in kindergarten. Korean J Community Nutr 10(2): 141-150. 

  18. Lim JY, Kim JH, Min SH, Lee MH, Lee MJ (2016) Evaluation of dietary behavior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using nutrition quotient for children. Korean J Food Cook Sci 32(1): 84-95. 

  19. Park HS, Ahn SH (2003) Eating habits and social behavior in Korean preschool children. The Korean J Nutr 36(4): 298-305. 

  20. Yeoh YJ, Kwon SY (2015) Children' eating behaviors and teachers' feeding practices during mealtime at child-care centers. J Nutr Health 48(1): 71-80. 

  21. Yoo JS, Choi YS (2013) Evaluation of items for the food behavior checklist and nutrition quotient score on children in rural areas of Gyeongbuk. J Nutr Health 46(5): 427-439 

  22. Yperman AM, Vermeersch JA (1979)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ren food habits. J Nutr Educ 11(2): 72-76. 

  23.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6a)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72#quick_02;1497 Accessed Oct 12, 2016. 

  24.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6b) http://kosis.kr/common/meta_onedepth.jsp?vwcdMT_OTITLE&listid154_15407 Accessed Sep 9, 20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