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자생물학적 방법인 PCR-REBA를 이용한 대중목욕탕 수질 중 수인성병원성미생물 검출
Detection of Waterborne Pathogens in Public Bath Houses by PCR-Reverse Blot Hybridization Assay (PCR-REB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2 no.8, 2011년, pp.3517 - 3522  

송운흥 (신흥대학 임상병리과) ,  최승구 (신흥대학 임상병리과) ,  양병선 (진주보건대학 임상병리과) ,  이재상 (동암의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인성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공중목욕탕의 오염은 질병발생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공중목욕탕내에 존재하는 수인성 병원성미생물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서울지역내의 30 곳 공중목욕탕에서 욕조수 시료를 채수하여 진행하였다. 수인성 병원성미생물의 검출은 0.45 ${\mu}m$의 여과막을 이용하여 전통적인 배양방법으로 분리 및 동정하였다.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사용하기 위해 미생물학적인 배양을 하지 않고 핵산을 추출하여 16S rRNA유전자를 표적으로 polymerase chain reaction-reverse blot hybridization (PCR-REBA)을 실시하였다. 미생물학적 배양방법에서는 지표세균인 Escherichia coli와 Shigella spp.가 검출되었으며, 분자생물학적 기법인 PCR-REBA을 수행한 결과 E. coli, Shigella spp., Salmonella spp., Pseudomonas spp., Mycobacterium spp. 등의 수인성 병원성미생물이 7곳에서 검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공중목욕탕의 욕조수내에 수인성병원성미생물에 의한 감염을 줄이기 위해 적절한 위생관리과 E. coli를 포함한 유해미생물을 선정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tamination of public bath water by waterborne pathogens can cause disease outbreaks and contribute to background rates of disea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waterborne pathogens in public baths. A total of 30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30 different public ba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론적으로 환경시료에서 마이코박테리아를 빠르고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해 분자생물학적인 검출기법을 이용하여 안전한 목욕조와 목욕원수의 공급과 사용할 권리를 위한 수질기준 항목의 추가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중 목욕탕 물이 NTM에 의해 오염돼 있음을 증명한 것으로, 대중 목욕탕은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중요한 공공장소로서 보다 철저한 물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그리고 목욕탕 물의 NTM 오염원인을 정확하게 규명하기 위하여 목욕탕 물 공급원수의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위치한 대중목욕탕의 시료에서 분자생물학적 기법인 중합효소연쇄반응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및 역교잡법 (PCR-reverse blot hybridization, PCR-REBA)을 이용하여 지표미생물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유해미생물을 파악하고 목욕탕 이용자들의 인체에 위해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중목욕탕에서의 무엇에 의한 오염이 질병발생의 원인이 되는가? 수인성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공중목욕탕의 오염은 질병발생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공중목욕탕내에 존재하는 수인성 병원성미생물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비결핵성 마이코박테리아는 토양, 음식, 에어로졸을 포함하는 모든 자연 생태계에 공통적인 부생 생물인데, 그 특징은 무엇인가? 비결핵성 마이코박테리아는 토양, 음식, 에어로졸을 포함하는 모든 자연 생태계에 공통적인 부생 생물 (saprophyte)이다[5-8]. NTM은 지표수, 지하수를 포함한 광범위한 수계에 분포하며, 마이코박테리아의 세포벽은 두꺼운 지방질로 구성되어 있고 소수성 표면을 가지고 있어서 여러 화학 소독제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고 넓은 범위의 pH와 온도에서 견딜 수 있어 오랜 기간 동안 살아남을 수 있다[7-9].
수인성 병원성 미생물은 엄밀한 개념으로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대중이 많이 이용하는 공중이용시설에서는 오염도에 따라 전염병 등의 질병 발생 가능성이 있어, 병원성세균의 존재 등 위생 상태 파악에 대한 위험성을 알리는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2]. 수인성 병원성 미생물 (waterborne pathogens)은 엄밀한 개념으로 오염된 물을 마시거나 오염된 물로 씻은 음식물의 섭취를 통하여 감염되어 장 관계 질병을 일으킬 가능성을 갖는 미생물을 말한다. 또한 감염의 매개체로서 물에 의하여 감염되어 발생하는 전염병을 수인성 전염병으로 총칭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Kim MS, Lee YM, Kim SK, S대 JH, Ji KH, Oh JY, Ko KD and Ko GP,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Public Bath in Jongno-gu, Seoul",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 35: 162-168, 2009. 

  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available from: http://www.kosis.kr/. accessed June 9, 2009. 

  3. Jawetz W, Melnick JL, Adelberg EA, Brooks GF, Butel JS and Ornston LN, Medical Microbiology, 18th ed., p215-217. Appleton & Lange, Norwalk, Connecticut/San Mateo, California, 1989. 

  4. Chung HM, "Micrbial Control of Tapwater, Monitorning or Treatment?" J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183: 229-235, 2002. 

  5. Falkinham JO. 3rd, "Epidemiology of infection by nontuberculous mycobacteria", Clin Microbiol Rev, 9:177-215, 1996. 

  6. Kazda JF. "The principles of the ecology of mycobacteria. In: Ratledge C, Stanford J, editors. The biology of mycobacteria, Vol. II. London, United Kingdom, Academic Press, p. 323-341, 1983. 

  7. Le Dantec C, Duguet JP, Montiel A, Dumoutier N, Dubrou S, and Vincent V, "Occurrence of mycobacteria in water treatment lines and in water distribution system", Appl Environ Microbiol, 68:5318-5325, 2002. 

  8. Lee ES, Yoon TH, Lee MY, and Han SH, "Inactivation of Mycobacteria by UV Disinfection", J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4, No. 2, 2007. 

  9.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Pathogenic Mycobacteria in water, IWA Publishing, London, UK, pp. 149-159. 2004. 

  10.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enforcement of the Public Health Control Law (Article 4), 2009. 

  11. Falkinham III JO, Cheryl D. Norton and Mark W. Lechevallier, "Factors influencing numbers of Mycobacterium avium, Mycobacterium intracellulare, and other mycobacteria on drinking water distribution systems", Appl Environ Microbiol, 67:1225-1231, 2001. 

  12. Choi SI, "Proposal of Basic Concept for Enhancement of Drinking Water Regul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16: 205-217, 2002. 

  13. Chiang YC, Yang CY, Li C, Ho YC, Lin CK and Tsen HY, "Identification of Bacillus spp., Escherichia coli,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spp. and Vibrio spp. with 16S ribosomal DNA-based oligonucleotide array hybridization", Int J Food Microbiol, 107:131-13, 2006. 

  14. Maynard C Berthiaume F, Lemarchand K, Harel J, Payment P, Bayardelle P, Masson L, Brousseau R, "Waterborne Pathogen Detection by Use of Oligonucleotide-Based Microarrays", Appl Environ Microbiol, 71: 8548-8557, 2005. 

  15. Meaysa CL Broersmab K, Nordina R, Mazumdera A, "Source tracking fecal bacteria in water: a critical review of current method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73: 71-79, 2004. 

  16. Zwart G, van Hannen EJ, Kamst-van Agterveld MP, Van der Gucht K, Lindstrom ES, Van Wichelen J, Lauridsen T, Crump BC, Han SK, Declerck S, "Rapid Screening for Freshwater Bacterial Groups by Using Reverse Line Blot Hybridization", Appl. Environ. Microbiol, 61: 5875-5883, 2003. 

  17. Choi SG, Song WH, Kang CH, Cho KB, Lee JS, Lee JH, Kim SI and Jee SI, "Identification of Nontuberculous Mycobacteria Existing in Public Bathroom Water by PCR-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s, 40:1-5,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