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팀 구성원의 심리적 다양성과 구성원 간 지식네트워크 특성이 팀 성과에 미치는 효과: 학습 분위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eam Memb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Knowledge Network Characteristics among Team Members on Team Performance 원문보기

정보시스템연구 =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20 no.1, 2011년, pp.1 - 20  

문윤지 (중앙대학교 경영학부) ,  강소라 (호서대학교 디지털비즈니스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that facilitate knowledge creation of team with the aspect of knowledge management. We considered two characteristics which are team memb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chievement needs and conflict emotion) and knowledge network characteristics among team 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만 최근에는 팀을 이루고 있는 개별 구성원과 팀과의 일치성(congruency)에 보다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Courtney, Navarro, & O’Hare,2007). 개별 구성원과 팀의 어떠한 특성이 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탐색함으로써 이들 두 수준에서의 특성을 서로 조화시켜 보다 효과적인 팀 성과를 창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가운데 Stock(2004)는 지난 25년간 약 800여 편의 팀 성과에 관한 연구를 종합하여 팀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하는 동인들을 크게 두 가지(팀 구성원 개인의 특성과 팀 수준의 특성)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 이러한 상황 하에서 팀 성과에 영향을 주는 동인들은 다각적인 방면에서 연구되어오고 있다. 과거 선행 연구들은 주로 인적자원 관리의 한 맥락에서 조직 구성원을 어떻게 선발하고 교육시켜 성과를 향상할 것인 지에 초점을 맞추어 왔지만(Schneider et al., 2000), 본 연구는 실질적인 필요성에 기반해서 개인적 요인과 팀 수준 요인 모두를 포함한 총체적인 시각에서 팀 성과에 영향을 주는 동인을 파악하여, 이러한 다양한 요인들이 인적자원관리에 포함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 기존 연구에서 많은 논란이 되어왔던 내부결속력과 팀 성과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본 연구에서는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연구에서의 반대이론은 강한 내부 결속이 외부에서의 새로운 지식 유입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주장되어왔지만, 본 연구에서는 외부매개성을 포함하여 통합적 관점을 가질 것을 제시하였다. 결과, 내부결속력과 더불어 외부의 지식을 유입하고자 하는 팀의 노력이 병행될 때 팀의 성과는 높아질 수 있음이 지지되었다.
  • 즉, 본 연구는 첫째, 개인적 특성 동인으로써 개인의 인성적 요인인 성취욕구와 팀 구성원 개인의 감정이 팀 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그리고 두 번째로는 팀 구성원 팀 수준에서의 지식네트워크 수준을 나타내는 내부 결속력(internal cohesion)과 외부 매개성(external bridging)이 팀 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다. 아가 학습분위기는 조절변수로 채택되어 개인적 특성, 팀 수준의 지식네트워크 수준과 성과와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예를 들어 팀 내에 존재하는 지식이 어떠한 형태로 분포되어 있는가에 관한 팀 수준의 지식 네트워크 형태의 특성은 팀 성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Högl, Parboteeah, & Munson, 2003; Contractor & Monge, 2002; Yuan, Fulk, & Monge, 2007). 따라서 본 연구는 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동인을 개인적 특성과 동시에 구조적 네트워크 관점에서 팀의 지식네트워크 형성 수준이 팀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탐색하고자 한다.
  • 회 정체성 이론(social identity theory; Hogg & Abrams, 1988)에서 보여주듯이 개별 구성원의 팀에 대한 갈등적 감정과 같은 요인은 집단 소속감의 저하를 야기하게 됨으로써 결국 팀 성과를 저해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Mannix & Neale, 200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팀 구성원 개인의 갈등의 정서적 감정요인이 팀 성과와 부의 영향관계를 가질 것으로 가설을 제시하고자 한.
  •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상황변수(situational variable)로서의 팀 내 학습분위기(mastery climate)가 개인적 특성, 지식 네트워크 및 팀 성과와의 관계에서 어떠한 조절효과를 발휘하는 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정리하자면, 연구과제는 첫째, 팀 성과를 향상시키는 개인적 특성에 기반한 동인은 무엇인가?, 둘째, 팀 성과를 향상시키는 팀 수준에서 고려되는 동인은 무엇인가?, 마지막으로, 이러한 동인들은 학습분위기에 따라 어떠한 형태로 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
  • 직의 최상층에서 이들 임원 경영 팀은 기업의 전략적 방향이나 성과를 관리하게 된다(Cohen & Bailey, 1997). 이와 같이 조직에는 서로 다른 유형의 팀이 존재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임원 경영팀을 제외한 업무 팀과 신제품 개발 팀의 성격을 지닌 팀을 대상으로 팀 성과에 미치는 동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 한편, 기쁨이나 갈등과 같은 구성원의 감정은 기질요인에 비해 다소 가변적인 특성을 지닌 요인으로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의 개개인의 특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효과는 그 결과가 다소 상반되고 또한 상대적으로 가변적인 감정요인을 고려하지 않은 바, 본 연구에서는 통합적으로 인성적 특성과 감정적 특성 모두를 포함한 팀 구성원의 개별 특성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팀의 구성원 개인의 성취욕구 수준이 높을수록 팀 성과는 높아질 것이다.
  • 가설 2: 팀의 구성원 개인의 갈등 감정 수준이 높을수록 팀 성과는 낮아질 것이다.
  • 가설1에서는 팀 구성원 개인의 성취욕구가 높을수록 팀 성과는 높아질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설 2에서는 팀 구성원 개인의 갈등감정이 높을수록팀 성과는 낮아질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다음으로 팀 특성에 해당하는 가설3과 4에서는 팀의 지식네트워크에서 내부결속력과 외부 매개성이 높을수록 팀 성과는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였다.
  • 가설 3: 팀의 지식 네트워크에서 내부 결속력이 높을수록 팀 성과는 높아질 것이다.
  • 가설 4: 팀의 지식 네트워크에서 외부 매개성이 높을수록 팀 성과는 높아질 것이다.
  • 가설 5: 팀 구성원 개인의 성취욕구가 팀 성과에 미치는 효과는 우호적인 학습 분위기에서 더 강하게 나타날 것이다.
  • 가설 6: 팀 구성원 개인의 갈등감정이 팀 성과에 미치는 효과는 우호적인 학습 분위기에서 더 약하게 나타날 것이다.
  • 가설 7: 팀의 내부결속력이 팀 성과에 미치는 효과는 우호적인 학습 분위기에서 더 강하게 나타날 것이다.
  • 가설 8: 팀의 외부매개성이 팀 성과에 미치는 효과는 우호적인 학습 분위기에서 더 강하게 나타날 것이다.
  • 가설1에서는 팀 구성원 개인의 성취욕구가 높을수록 팀 성과는 높아질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가설 2에서는 팀 구성원 개인의 갈등감정이 높을수록팀 성과는 낮아질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 한편 팀 수준에서도 내·외부적으로 사회 네트워크를 통해 지식을 창출하고 팀 성과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모험에 대해 호의적이지 않은 분위기에서는 발휘되기 힘들다. 따라서 개인의 인지적, 감정적 요인, 팀 단위의 사회 네트워크 효과와 팀 성과 간 상관관계는 상황변수인 학습 분위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가설로 제시한다.
  • 연구결과와 같다. 실선은 지지된 가설이며, 점선은 기각된 가설이다. 즉, 개인특성(성취욕구, 갈등감정)과 팀특성(내부결속력, 외부매개성)이 지식창출 성과에 미치는 가설1, 2, 3, 4는 모두 지지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팀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는 무엇인가? ‘팀’(team)에 대한 다양한 정의가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팀은 ‘업무에 있어 상호의존적 관계가 존재하며 결과에 대해 책임을 공유하는 개인 들의 집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Covert, Craiger, & Cannon-Bouers, 1995). Stock(2004)의 연구에 따르면 팀에는 세 가지 주요 형태가 존재한다.
개인 구성원의 성취욕구란? 먼저 팀의 지식창출을 통한 업무 프로젝트 진행 시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개별 조직 구성원의 성취욕구(need for achievement)는 지식창출 활동의 기반요소로 팀 성과의 전제조건이라 할 수 있다(Nonaka & Konno, 1998). 개인 구성원의 성취욕구란 도전적 목표의 수행, 즉 새로운 지식 창출을 위해 유입되는 지식을 획득, 활용, 노력하려는 자발적 의지의 정도이다(Simonin, 1999; Zahra & Gorge, 2002). 성취욕구는 중요한 업무를 완수하고 그 결과가 표준규범이 될 만큼 훌륭한 달성 수준을 보여주고자 하는 열망으로, 하나의 대표적인 인성적 특성이다(McClelland, 1958; Raven, 2001).
팀내 지식 네트워크를 통해 개인의 지식활동이 집단(팀), 조직차원으로 승화되는 메커니즘은 어떤 관점을 통해 설명되는가? 팀내 지식 네트워크를 통해 개인의 지식활동이 집단(팀), 조직차원으로 승화되는 메커니즘은 두가지 관점을 통해 설명된다. 서아영과 신경식(2009) 연구에 따르면 첫째, 폐쇄성 관점(closure mechanism)에서 네트워크 내 구성원들이 보다 강력한 유기적 관계 맺기를 통해 높은 수준의 협력과 단결을 보여주며, 이것이 사회적 태만이나 기회주의적 행위를 방지하여 팀 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Putnam, 1993). 반면, 매개성 관점(brokerage mechanism)에서 지식 네트워크를 통한 팀 성과가 설명될 수도 있다. Granovetter (1973)의 약한 연결 이론과 Burt(1992)의 구조적 공백 이론에 기반해서 구성원이 집단 외부로 네트워크를 확장함으로써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추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폐쇄적으로 네트워크를 유지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지식 중복의 비효율성을 방지하기 위해 지식 네트워크는 외부로 확장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이 두 가지 관점을 통합하는 관점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서아영, 신경식, "가상 팀의 지식네트워크, IT활용, 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33권, 1호, 2009. pp.75-103. 

  2. 이영찬, 권기택, "지식경영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한 전략적 의사결정 프레임워크 구축," 정보시스템연구, Vol.18, No.3, 2009. pp.135-154. 

  3. 장길상, "지식경영을 위한 사례기반추론 시스템의 설계 및 구축: "H"기업의 플랜트건설 프로젝트 적용사례," 정보시스템연구, Vol.18, No.3, 2009. pp.231-249. 

  4. 최종민, "사회적 자본 및 정보기술 하부구조의 도입수준과 지식경영 과정들에 대한 영향," 정보시스템연구, Vol.18, No.3, 2009. pp.183-210. 

  5. Ames, C. and Archer, J., "Achievement goals in the classroom: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and motivation proces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80, 1988. pp.260-267. 

  6. Ancona, D.G. and D.F. Caldwell, "Demography and design: Predictors of new product team performance," Organization Science, Vol.3, No.3, 1992. pp.321-341. 

  7. Bahli, B. and Buyukkurt, M., "Group Performance in Information Systems Project Groups: An Empirical Study,"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Vol.4, 2005. pp.97-113. 

  8. Barki, H. and Hartwick, J., "Communications as a Dimension of User Participation," IEEE Transactions on Professional Communication, Vol.44, No.1, 2001. pp.21-35. 

  9. Barry, B. and Steward, G.L., "Composition, Process, and Performance in Self-Managed Groups: The Role of Personalit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2, 1997. pp.62-78. 

  10. Bliese, P.D. (2000) Within-group Agreement, Non-independence and Reliability: Implications for Data Aggregation and Analysis. In K.J. Klein & S.W.J. Kozlowski (Eds.), Multilevel Theory, Research, and Methods in Organizations: Foundations, Extensions, and New Directions (349-381). San Francisco: Jossey-Bass. 

  11. Bunderson, J.S., "Team Member Functional Background and Involvement in Management Teams: Direct Effects and the Moderating Role of Power Centraliz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6, 2003. pp.438-474. 

  12. Burt, R.S., Structural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isty Press, MA, 1992. 

  13. Carless, S.A. and De Paola, C., "The measurement of cohesion in work teams," Small Group Research, Vol.31, 2000. pp.71-88. 

  14. Chandler, P.A., Swamidass, P.M., and Cammann, C., "Self-Managing Work Teams: An Empirical Study of Group Cohesiveness in "Natural Work Groups" at a Harley-Davidson Motor Company Plant," Small Group Research, Vol.34, 2003. pp.101-120. 

  15. Cohen, S.G. and Bailey, D.E., "What Makes Teams Work: Group Effectiveness Research From the Shop Floor to the Executive Suite," Journal of Management, Vol.23, 1997. pp.239-290. 

  16. Contractor, N.S. and Monge, P.R., "Managing knowledge networks,"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Vol.16, No.2, 2002. pp.249-258 

  17. Courtney, H.S., Navarro, E. and O'Hare, C.A., "The Dynamic Organic Transformational Team Model for High-Performance Knowledge Worker Teams," Team Performance Management, Vol.13, No.1-2, 2007. pp.34-46. 

  18. Covert, M.D., Craiger, P. and Cannon-Bowers, J.A., "Innovations in Modeling and Simulating Team Performance: Implications for Decision Making," in Guzzo, R./Salas, E. and Associates (eds.), Team Effectiveness and Decision-Making in Organizations, 1995. pp.149-203. 

  19. David C.M., "Methods of Measuring Human Motivation", in John W. Atkinson, ed., Motives in Fantasy, Action and Society, 1958. pp.12-13. 

  20. David C.M., "Methods of Measuring Human Motivation," in John W. Atkinson, ed., The Achieving Society, 1961. pp.41-43. 

  21. Granovetter, M., "The strength of weak ti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78, No.6, 1973. pp.1360-1380. 

  22. Hogg, M.A. and Abrams, D., Socia lidentifications: A social psychology of inter group relations and group processes. London: Routledge, 1988. 

  23. Hogl, M., Parboteeah, K., and Munson, C., "Team-level antecedents of individuals' knowledge networks," Decision Science, Vol.34, No.4, 2003. pp.741-770. 

  24. Hogl, M. and Gemuenden, H.G., "Teamwork quality and the success of innovative projects: a theoretical concept and empirical evidence," Organization Science, Vol.12 No.4, 2001. pp.435-49. 

  25. Klein, K.J. and S.W.J. Kozlowski. 2000. "From Micro to Meso: Critical Steps in Conceptualizing and Conducting Multilevel Research,"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3,3,211-236. 

  26. Nonaka, I and Konno, N., "The concept of "Ba': Building foundation for Knowledge Creation,"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Vol.40, No.3 1998. 

  27. Ilgen, D.R., Hollenbeck, J.R., Johnson, M., and Jundt, D., "Teams in organizations: From input-process-output models to IMOI model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56, No.1, 2005. pp.517-543. 

  28. LePine, J.A., Hansom, M.A., Borman, W.C. and Motowidlo, S.J., "Contextual performance and teamwork: implications for staffing," Research in Personnel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Vol.19, 2000. pp.53-90. 

  29. Liao, J., Welsch, H. and Stoica, M., "Organizational Absorptive Capacity and Responsiveness: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Growth-Oriented SME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2003. pp.63-85. 

  30. Luft, J. and Ingram H., "The Johari window, a graphic model of interpersonal awareness," Proceedings of the Western Training Laboratory in Group Development. Los Angeles, 1955. 

  31. Mannix, E., and Neale, M.A., "What differences make a difference? The promise and reality of diverse teams in organizations," Psychological Science in the Public Interest, Vol.6, 2005. pp.31-55. 

  32. Midgley, C., Kaplan, A., Middleton, M., Maehr, M. and Urdan, T.,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cales Assessing students' Goal Orientation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Vol.23, 1998. pp.113-131. 

  33. Mohrman, S.A., Cohen, S.G., Mohrman, A.M., Designing Team-based Organizations: New Forms for Knowledge Work, San Francisco: Jossey-Bass, 1995. 

  34. Nonaka, I., and Takeuchi, H., The Knowledge-Creating Company: How Japanese Companies Create the Dynamics of Innovation. Oxford University, New York, 1995. 

  35. Pearce, C., "The future of leadership: Combining vertical and shared leadership to transform knowledge work,"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Vol.18, No.1, 2004. pp.47-57. 

  36. Raven, J.,. The McClell and McBer Competency Models. Chapter 15 in J. Raven & J. Stephenson (Eds.), Competence in the Learning Society. Peter Lang, New York, 2001. 

  37. Riggio, R.E., Introduction to industrial/organizational psychology, 4th ed., Prentice-Hall, Englewood Cliffs, NJ. 2003. 

  38. Russell. J.A., "A circumplex model of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3, No.9, 1980. pp.1161-1178. 

  39. Sarin, S. and Mahajan, V., "The Effect of Reward Structures on the Performance of Cross-Functional Product Development Teams," Journal of Marketing, Vol.65, No.2, 2001. pp.35-53. 

  40. Sarin, S. and McDermott, C., "The Effect of Team Leader Characteristics on Leaning, Knowledge Application, and Performance of cross-Functional New Product Development Team," Decision Sciences, Vol.34, No.4, 2003. pp.707-741. 

  41. Simonin, B.L., "Ambiguity and the Process of Knowledge Transfer in Strategic Alliance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20, No.7, 1999. pp.595-623. 

  42. Skyrme, D.J., Knowledge networking, Butter Heineman: Creating the Collaborative Enterprise, New York, 1995. 

  43. Stevens, M.J. and Campion, M.A., "Staffing work team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lection test for teamwork settings," Journal of Management, Vol.25, 1999. pp.207-228. 

  44. Stock, R., "Drivers of team performance: What do we know and what have we still to learn?," Schmalenbach Business Review, Vol.56, July, 2004. pp.274-306. 

  45. Sundstrom, E., Supporting work team effectiveness. In E.A. Sundstrom (Ed.), Supporting work team effectiveness: Best management practices for fostering high performance. Jossey-Bass, San Francisco, 1999. 

  46. Tanghe, J., Wisse, B., and van der Flier, H., "The formation of group affect and team effectiveness: The moderating role of identification," British Journal of Management, Vol.21, 2010. pp.340-358 

  47. Thomas, J., "Achievement-goal profiles among elite baseball players," working paper in the univ. of North Carolina at Greensboro UCLA. 2005. 

  48. Weiss, H.M. and Cropanzano, R., "Affective Events Theory: A theoretical discussion of the structure, causes and consequences of affective experiences at work,"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l.18, 1996. pp.1-74. 

  49. Weiss, H., and Brief, A.P., Affect at work: An historical perspective. In R.L. Payne & C.L Cooper (Eds.), Emotions at work: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in management. John Wiley and Sons, Chichester, UK. 2001. 

  50. Wright, T.A. and Staw, B.M., "Affect and favorable work outcomes: two longitudinal tests of the happy-productive worker thesi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0, 1999. pp.1-13. 

  51. Yuan, Y.C., Fulk, J., and Monge, P.R., "Access to information in connective and communal transactive memory systems," Communication Research, Vol.34, No.2, 2007. pp.131-153 

  52. Zahra, S.A. and George, G., "Absorptive Capacity: A Review Reconceptualization, and Extens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7, No.2, 2002. pp.185-2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