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습주기를 활용한 음악감상 교수-학습 방법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Music Appreciation Teaching-learning Method by Using Learning Cycle on the Musical Ability of Young Children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2 no.1, 2011년, pp.1 - 11  

이옥주 (대원대학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usic appreciation teaching-learning method on the musical ability of young children. The music appreciation activities were developed firstly in consideration of the 4 steps of the learning cycle (recognition, exploration, inquiry, appl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에게 ‘학습주기’를 활용한 음악감상 활동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유아의 음악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유아 음악감상 교수-학습 방법을 도출해 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아에게 음악 감상을 지도할 때 학습주기를 적용하는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학습주기를 활용한 음악감상 활동을 10곡에 한하여 개발하였고 만 4세와 5세 유아 48명에게 적용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 본 연구는 유아 음악감상 교수-학습 방법의 일환으로 유아가 음악적 개념을 능동적 지식구성 과정을 통해 학습하는 관점에서 학습주기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유아 음악감상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체계적이고 실제적인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본 연구는 학습주기 과정-인식 단계, 탐색 단계, 탐구 단계, 적용 단계-에 맞는 음악감상 활동을 개발하고, 개발한 음악감상 활동을 적용한 후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아를 대상으로 학습주기를 활용한 음악감상 활동을 학습자인 유아의 능동적 지식구성을 돕는 관점에서 고안하였다. 유아들이 음악적 개념을 쉽게 발견하고, 탐색할 수 있는 음악을 유아 음악교육 전문가 1인의 자문을 받아 선정하였다.
  • 본 연구는 유아 음악감상 교수-학습 방법의 일환으로 유아가 음악적 개념을 능동적 지식구성 과정을 통해 학습하는 관점에서 학습주기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유아 음악감상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체계적이고 실제적인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본 연구는 학습주기 과정-인식 단계, 탐색 단계, 탐구 단계, 적용 단계-에 맞는 음악감상 활동을 개발하고, 개발한 음악감상 활동을 적용한 후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음악 감상 활동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유아의 음악적 능력 특히, 만 4세의 음악적 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든 학습 과정은 어떤 학습 주기를 따르는가? 학습주기는 삐아제의 인지발달 모델에 기초하고 있는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아동이 개념을 적극적으로 탐색하도록 허용하는 교수-학습 방법이다(Sowell, 1993). 모든 학습 과정은 인식(awareness), 탐색 (exploration), 탐구(inquiry), 적용(utilization)이라는 학습주기를 따른다(Schmidt, 2008). 먼저, 학습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인식 단계가 필요하다.
교육적 개념을 능동적인 학습의 과정을 통해 이해하고 내면화하는 교수-학습 방법으로 무엇을 들 수 있는가? 교육적 개념을 능동적인 학습의 과정을 통해 이해하고, 내면화하는 교수-학습 방법으로 학습 주기(learning cycle)를 들 수 있다. 학습주기는 삐아제의 인지발달 모델에 기초하고 있는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아동이 개념을 적극적으로 탐색하도록 허용하는 교수-학습 방법이다(Sowell, 1993).
유아 음악감상 교수-학습 방법의 일환으로 유아가 음악적 개념을 능동적 지식구성 과정을 통해 학습하는 관점에서 학습 주기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유아 음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체계적이고 실제적인 방안을 마련하고자 조사 분석한 결과와 결과를 토대로 논의한 내용은 무엇인가? 첫째, 학습주기를 활용한 음악감상 교수-학습 방법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의 발견적 학습 과정 및 능동적 학습참여를 중시하여 학습주기를 적용한 유아 과학적 분야에서의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곽향림, 1985; 안경숙, 2005; 정정희․박윤배, 2004; 황윤세, 2007)를 지지하는 결과이다. 또한 음악적 분야에서도 학습주기를 활용했을 때 통합적 음악 활동이 음악적 개념 및 태도(김소향․안경숙, 2006)를 향상시키고, 노래부르기 활동이 유아의 리듬, 노래 지각, 음을 듣고 알아맞히기와 같은 음악적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결과(이옥주․류진순, 2008)와 맥을 같이한다. 따라서 학습주기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은 유아의 음악적 능력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의 대상이 만 5세 및 만 4세 유아를 대상으로 했을 때 만 4세 유아에게 통계적으로 의의가 있다는 결과는 음악활동의 효과가 연령이 어릴수록 더 큰 영향을 줄 수 있어 아주 어린 영아기 때부터 음악 놀이 활동이 제공되어야 함을 제시한 의견(Greata, 2006; Honig, 1995, 1998)을 지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만 5세아의 음악적 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고 해서 평균이 증가한 부분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으나(p >.05) 5세아의 음악적 능력도 향상되었다(M = 24.1에서 25.5로 상승하였다). 이 부분은 해석에 주의를 요한다. 우리는 학습의 결과만을 주시한나머지 학습의 과정을 간과하는 우를 범하여서는 안된다. 학습자인 유아에게 적극적인 사고 과정을 거치도록 허용하는 음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은 학습자인 유아와 교수자인 유아교사 모두에게 의미 있는 일이다. 왜냐하면 이러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학습의 과정을 거친 뒤에 유아는 문제를 연결시키고 응용하도록 하는 방법을 알고, 학생들이 서로 협력하여(Schmidt, 2008) 지식을 알아감으로써 그 분야에 진정한 전문가가 될 것이고, 유아교사는 보다 독립된 학습자와 함께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단순히 음악을 듣고 느낀 점을 이야기해보는 교수-학습 방법을 실행하는 교사들에게 새로운 음악감상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학습 주기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은 음악에 대한 관심과 탐구력을 키울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 줄 것이다. 음악을 듣고 음악적 개념에 대해 인식, 탐색, 탐구, 적용해 보는 과정을 어떻게 전개해나가는지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본 연구를 통해 현직 교사들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예비유아교사들은 음악적 내용인 음악적 개념의 이해가 덜 되었을 때에 교수불안을 느끼기 때문에(백지혜, 2010), 유아들에게 체계적으로 음악적 개념을 전개하는 방법으로 학습주기를 적용한 본 연구의 음악감상 교수-학습 방법 개발 내용은 예비유아교사들에게도 음악감상 교수-방법의 실제적인 지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곽향림(1985). 유아의 과학적 태도 형성에 관한 연구-SCIS 프로그램의 학습주기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광자?박영옥(2006). 영유아를 위한 통합적 음악감상 활동 방안. 한국영유아보육학, 47, 151-173. 

  3. 김미정?이숙희(2008). 통합적 음악감상 활동에 기초한 유아의 정서지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4), 443-467. 

  4. 김소향?안경숙(2006). 학습주기와 놀이가 연계된 통합적 음악활동의 개발 및 유아의 음악적 개념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학연구, 37(3), 189-213. 

  5. 김승희(2007). 설문을 통한 유아 음악 감상 실태 조사 연구 : 5-7세 지도교사 대상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준영?박윤배(2002). 중학교 '전류의 방향과 세기' 실험수업에서 순환학습 모형의 효과. 새물리, 45(5), 286-291. 

  7. 김춘희(1995). 포괄적 음악교육 접근이 5세 유아의 음악감상 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논총, 12(1), 363-402. 

  8. 박진현?이형철(2007). 순환학습 모형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부력 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 과학교육연구, 31, 71-91. 

  9. 박찬화(2004). 음악감상의 통합적 활동을 통한 유아의 음악적 잠재력 및 창성 증진. 어린이교육, 6, 77-93. 

  10. 배희진(2009). 음악적 요소 중심의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 및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종합예술과 음악학회지, 3(2), 91-114. 

  11. 백지혜(2010).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불안 정도에 따른 음악적 태도 및 교수 학습능력 고찰. 열린유아교육연구, 15(2), 149-173. 

  12. 신세니?안지성(2007). 포괄적 음악감상활동을 통한 심미적 듣기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영유아보육연구, 13, 119-130. 

  13. 신정자(1998). 음악감상에 기초한 포괄적인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안경숙(2005). 학습주기와 놀이가 연계된 유아 수학 과학 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2, 99-133. 

  15. 엄정애?김경남(2003). 음악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정감과 리듬감 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1(10), 75-84. 

  16. 윤현진(2002). 대학의 유아음악 교육과정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음악교육 실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이경희(2009). 보육시설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운영실태.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이민정(2002). 음악활동에 관한 교사태도 및 교수실제에 관한 연구. 영유아보육학회지, 30, 19-38. 

  19. 이숙희(2005). 통합적 유아 음악교육이 유아의 음악적 흥미와 음악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1), 407-430. 

  20. 이영석?윤수진(2006). 통합적 음악감상활동이 유아의 감성지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 9, 165-183. 

  21. 이옥주?류진순(2008). '학습주기'를 고려한 노래부르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연구, 4(1), 85-103. 

  22. 이형철?남만희(2001). 순환학습 모형 적용이 초등학생의 전기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20(2), 217-228. 

  23. 정정희?박윤배(2004). 순환학습 모형을 활용한 과학 교수법이 유아들의 창의성과 과학적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아동학회지, 25(3), 1-14. 

  24. 한국가이던스 심리검사연구실(1994). 유아음악적성검사. 서울: 정문사. 

  25. 황윤세(2007). 학습주기를 활용한 그림책 통합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7(3), 273-300. 

  26. 황은영?김영신(2009). 놀이적 음악감상이 유아들의 고전음악 선호, 주제 선율 인식 및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음악치료학회지, 11(2), 100-113. 

  27. Abraham, M. R. (1998). The learning cycle approach as a strategy for instruction in science. In B. J. Fraser & K. G. Tobin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Science Education (pp.513-524). Great Britain : Kluwer Academic Publishers. 

  28. Beisenherz, P. C., Dantonio, M., & Richardson, L. (2001). Learning cycle, Science Scope, 24(4), 34-38. 

  29. Dogru-Atay, P., & Tekkaya, C. (2008). Promoting students' learning in genetics with the learning cycle. The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76(3), 259-280. 

  30. Greata, J. (2006). An Introduction to Music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NY : Thomson Delmar Learning. 

  31. Honig, A. S. (1995). Singing with infants and toddlers. Young Children, 50(3), 72-78. 

  32. Honig, A. S. (1998). Making music, Scholastic Early Childhood Today, 13(3), 24-26. 

  33. Lee, M. (2000). Kindergarten teachers' attitudes, knowledge, and perceptions on the role of music activity in language development. Doctoral Dissertation,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A. 

  34. Lindgren, J., & Bleicher, R. E. (2005). Learning the learning cycle : The differential effect o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5(2), 61-72. 

  35. Marek, E. A. (2008). Why the learning cycle?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3), 63-69. 

  36. Schmidt, L. (2008). How we don`t learn : If you`re using strategies that ignore the natural learning cycle in children. Leadership, 38(2), 10-15. 

  37. Sowell, J. E. (1993). A learning cycle approach to art history in the classroom. Art Education, 46(2), 19-24. 

  38. Zollman, D. (1990). "Learning cycles for a large enrollment class," Phys. Teach. 28, 20-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