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기 손자녀를 둔 조모의 역할유형과 관련 변인들 : 사회인구학적 특성, 조모-손자녀 접촉 정도 및 조모-모 친밀감
Types of Grandmothers with Preschool-Aged Grandchildren and Its Correlates :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ntacts between Grandmothers and Grandchildren, and Closeness between Grandmothers and Mother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2 no.1, 2011년, pp.13 - 29  

김재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  도현심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ole types as they pertain to paternal and maternal grandmothers based on four role dimensions. To this end, a sample of 416 mothers of preschoolers was used. This study also examined correlates of and differences in the type of grandparents in terms of 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조부모 역할을 몇몇 차원들로만 구분하여 살펴본 선행 연구들(박화윤․이영숙, 1999; 이영숙․박화윤, 2000; Reynold, Wright, & Beale, 2003; Roberto & Store, 1992; Silverstein & Marenco, 2001)을 확대하여 공유 활동, 친밀감, 보육, 권위의 4가지 역할 차원에 따른 조모 역할의 유형화를 시도하였다는 데 커다란 의의가 있다. 또한, 조모 역할유형의 분포뿐만 아니라 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이 친조모와 외조모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친조모-손자녀 관계와 외조모-손자녀 관계 모두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켰다. 무엇보다도, 어머니의 취업으로 인해 손자녀를 키우는 조부모나 조손가족과 같이 조부모의 역할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주제로 한 연구들이 매우 드문 현 시점에서 본 연구결과는 이와 관련된 후속 연구의 의미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유아기 손자녀를 둔 조모의 역할유형을 분류하고, 친조모와 외조모간에 역할유형 간 분포에서 차이가 있는지와 조모 및 모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조모-손자녀 접촉 정도, 조모-모 친밀감이 친조모 및 외조모의 역할유형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조모는 또한 친족관계를 유지하는 데 책임감을 갖고 있는 여성적 역할에 의해 조부모 역할을 좀 더 자발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보고되기도 한다(Reitzes & Mutran, 2004). 요약하면, 본 연구는 친조모와 외조모가 손자녀에게 수행하는 역할에 따라 어떠한 역할유형으로 분류되는지를 비롯하여 조모 역할유형의 분포가 친조모와 외조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으며, 사회인구학적 특성, 조모-손자녀 접촉 정도, 조모-모 친밀감이 친조모 및 외조모의 역할유형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이상과 같이 고찰한 연구결과를 정리해보면, 친조모와 외조모의 손자녀에 대한 역할수행 내용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역할 내용을 바탕으로 분류된 조모의 역할유형에서도 친조모와 외조모 간의 차이가 발견되리라 가정된다.
  • 주) 음영은 설명력이 없는 단일변수임.
  • 조부모가 수행하는 역할의 종류 및 정도는 개인마다 다양하고, 이는 다양한 역할유형을 유도할 것이다. 특히 유아기는 조부모-손자녀 간 상호작용이 좀 더 활발히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조부모-손자녀 관계에서 부모의 영향이 좀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는 시기라는 점에서, 본 연구는 주 양육자인 어머니를 기준으로 모계와 친계간 차이의 가능성을 가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유아기 손자녀를 둔 경우 조부모의 보육적 활동과 애정적 보살핌이 더욱 두드러져 조부보다는 조모가 더 많이 손자녀와 상호작용한다는 연구결과(박화윤․이영숙, 1999)에 근거하여 조모의 역할에 초점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eugarten와 Weinstein(1964)는 조부모의 모습을 어떻게 구분하였나? 조부모 역할유형의 분류는 1960년대 초 미국 사회에서 새롭게 바뀌는 조부모의 모습을 전통적인 역할을 하는 ‘공식적인 형’, 손자녀와 놀아주면서 만족을 찾는 ‘기쁨 추구형’, 손자녀의 보육자 역할을 하는 ‘대리부모형’, 가족 내의 전통을 전수하는 ‘지혜 원천형’, 공식적인 역할만 하는 ‘원거리 부모형’으로 구분한 Neugarten과 Weinstein(1964)에 기초한다. 그 후, 이를 근거로 하여 Cherlin과 Furstenberg(1985)가 부모의 조부모에 대한 영향력, 서로 주고받는 서비스 교환, 부모로서의 행동, 조부모 역할에 대한 동기에 따라 적극적(즉, 영향적, 권위지향적, 지지적), 분리적 및 수동적 역할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조부모의 손자녀에 대한 역할은 무엇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경향이 있는가? 조부모의 건강, 교육수준, 경제력이 변하고,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 특히 어머니의 취업 증가, 자녀수 감소 등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이 변화함에 따라서 조부모의 손자녀에 대한 역할은 차이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어머니의 연령이 낮고 취업모일수록 조부모의 손자녀에 대한 보육 역할은 증가되었으며(Fergusson, Maughan, olding, 2008), 조부모는 유아기 손자녀에게 양육적인 역할과 책 읽어주기, 공부 가르치기 등의 교육적인 역할을 더 많이 수행하였다(박화윤․ 이영숙, 1999).
친조부모-외조부모간 차이를 보고한 국내 연구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국내 연구들에서도 친조부모-외조부모간 차이가 보고되고 있다. 친조모는 손자녀에게 가문의 소속감을 갖게 하고, 생의 철학을 조언하거나, 형제간 우애를 강조하고, 예의를 가르치는 역할을 하는 반면, 외조모는 손자녀를 지지하고 부모를 대신하여 보육, 양육의 역할을 하며, 손자녀의 생활에 간섭을 하였다(서동인․유영주, 1991). 또한 손자녀는 친조부모를 더 자주 만나고 있었으며(박의순․조병은, 1990; 서동인, 1996), 어머니는 친조부모가 손자녀를 지지하기를 기대하였다. 그러나 손자녀들은 친조모 보다 외조모에 대해 더 강한 친밀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서동인, 1996). 이상과 같이 고찰한 연구결과를 정리해보면, 친조모와 외조모의 손자녀에 대한 역할수행 내용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김은주?서영희(2007).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실제에 관한 질적 연구. 아동학회지, 29(6), 175-192. 

  2. 김종숙(2002). 현대사회의 가족변화와 조부모역할. 수원대학교 논문집, 20, 1-11. 

  3. 박경란(1994). 부모-조부모 관계의 질이 청소년기 손자녀-친조부모간의 유대관계에 미치는 영향-부산시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14(2), 74-89. 

  4. 박의순?조병은(1990). 청년기 손자녀가 지각한 각 조부모와의 유대감. 가정학논집, 2, 28-62. 

  5. 박화윤?이영숙(1999). 유아기 손자녀에 대한 조모의 역할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9(2), 21-41. 

  6. 배지희?노상경?권경숙(2008). 조부모의 영유아기 손자녀 양육현황 및 양육지원에 대한 요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379-410. 

  7. 서동인(1989). 손자녀가 지각한 조모와 손자녀와의 접촉과 조모의 역할수행. 한국가정관리학회지, 7(2), 45-60. 

  8. 서동인(1996). 10대 자녀를 둔 모가 기대하는 조부모 역할과 손자녀역할 : 친조부모?외조부모에 따른 비교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4), 358-371. 

  9. 서동인?유영주(1991). 손자녀가 지각한 조모와의 심리적 친밀도. 아동학회지, 12(2), 154-172. 

  10. 이영숙(2004). 청소년기 손자녀에 대한 조부모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3(5), 673-681. 

  11. 이영숙?박화윤(2000). 유아기 손자녀가 기대하는 조부모의 역할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0(3), 211-232. 

  12. 이용환?양승규?이영세(2001). 대학생이 인식하는 친-외조부모의 도움. 노인복지연구, 가을호, 97-111. 

  13. 한정란?김귀자(2003). 부모의 노인 및 조부모에 대한 태도와 자녀의 조부모에 대 한 친밀감-농촌지역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19, 61-82. 

  14. 통계청(2005). 2005년 인구주택 총조사. 

  15. Bengston, V. L., & Black, K. D. (1973). Solidarity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 four perspectives on theory development. Paper presented in National Council on Family Relations. Toronto, Canada. 

  16. Bernal, J. G., & Anuncibay, R. F. (2008). Intergenerational grandparent/ grandchild relations : The socioeducational role of grandparents. Educational Gerontology, 34(1), 67-88. 

  17. Chan, C. G., & Elder, G. H., Jr. (2000). Matrilineal advantage in child-grandparent relations. The Gerontologist, 40, 179-190. 

  18. Cherlin, A., & Furstenberg, F. F. (1986). The new American grandparent : A place in the family, a life apart. New York : Basic Books. 

  19. Connor, S. (2006).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 Formation, disruption and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attachment. Australian Social Work, 59(2), 172-184. 

  20. Fergusson, E., Maughan, B., & Golding, J. (2008). Which children receive grandparental care and what effect does it hav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9(2), 161-169. 

  21. Gauthier, A. (2002). The role of grandparents. Current Sociology, 50, 295-307. 

  22. Gray, M., Mission, S., & Hayes, A. (2005). Young children and their grandparents. Australian Institute of Family Studies, 72, 10-1. 

  23. Harwood, J. (2001). Comparing grandchildren's and grandparents' stake in their relationship.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53(3), 195-210. 

  24. Hayslip, B. Jr., Henderson, C. E., & Shore, R. J. (2003). The structure of grandparental role meaning. Journal of Adult Development, 10(1), 1-11. 

  25. Kemp, C. L. (2003). The Social and demographic contours of contemporary grandparenthood: Mapping patterns in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34(2), 187-208. 

  26. Mueller, M. M., & Elder, G. H. Jr. (2003). Family contingencies across the generations : Grandparentgrandchild relationship in holistic perspectiv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5, 404-417. 

  27. Mueller, M. M., Wilhelm, B., & Elder, G. Jr. (2002). Variations in grandparenting. Research on Aging, 24 (3), 360-388. 

  28. Neugarten, B. L., & Weinstein, K. K. (1964). The changing American grandparen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0, 199-204. 

  29. Poehlmann, J. (2001). Predictors of grandmother participation in a multigeneratio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53(4), 275-291. 

  30. Reitzes, D. C., & Mutran, E. J. (2004). Grandparenthood : Factors influencing frequency of grandparent-grandchildren contact and grandparent rol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59(1), 9-16. 

  31. Reynold, G. P., Wright, J. V., & Beale, B. (2003). The roles of grandparents in educating today's children. Journal of Instructional Psychology, 30, 316-326. 

  32. Roberto, K. A., & Stores, J. (1992). Grandchildren and grandparents : roles, influences, and relationships. International Journal Aging and Human Development, 34(3), 227-239. 

  33. Robertson, J. F. (1976). Significance of grandparents : Perceptions of young adult grandchildren. The Gerontologist, 16, 137-140. 

  34. Silverstein, M., & Marenco, A. (2001). How American enact the grandparent role across the family life course. Journal of Family Issues, 22(4), 493-5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