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손자녀 돌봄에 대한 조모의 주관성 탐구: Q방법론적 접근
A Study on Grandmothers' Subjectivity regarding Grandchild Care: an Application of Q-methodology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3 no.2, 2014년, pp.205 - 217  

이영숙 (군산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attitudes of grandmothers who had experience in grandchild care in order to explore their subjectivity. Research questions were 1) to categorize the attitudes toward grandchild care, and 2) to analyze each type's characteristics and elucidate the analyses. The results are as fo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조모의 손자녀 돌봄에 대한 태도는 손자녀 돌봄과 관련된 보상, 만족감 등 긍정적 경험과 비용, 부담, 우울, 스트레스 등 부정적 경험을 규명하고 이러한 경험이 조모의 삶의 질에 주는 영향에 관심을 둔 연구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사실 조모의 돌봄 경험이 이루어지는 상황은 다양하며 다양한 상황에서의 여러 경험이 조모에게 긍정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 결과 조모의 돌봄에 대한 태도가 형성되므로 이와 관련된 연구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조모들의 손자녀 돌봄에 대한 인식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개인의 주관성을 알아보는 Q방법을 적용하여 첫째, 손자녀돌봄에 대한 조모들의 태도를 유형화하고 둘째, 손자녀돌봄에 대한 태도의 유형별 특성을 기술·분석․설명하고자 한다.
  • 손자녀 돌봄에 대한 태도는 주관적이고 개별화된 경험으로 개인의 경험적 특성과 사회문화적 가치관에 따라 다양하기 때문에 개인에게 내재된 관점으로부터 스스로의 주관성을 표현하게 하여 이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모들의 돌봄에 대한 다양한 태도를 제시하여 자기 자신의 의견을 들어내도록 하는 Q방법론적 접근을 적용하여 조모가 손자녀를 돌보아주는 것에 대한 태도의 유형과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즉 손자녀를 돌봄에 조모 자신만이 가장 적합하다는 생각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결국, 조모들은 유형에 상관없이 손자녀를 돌보는 일이 1) 손자녀 성장을 보는 보람 2) 손자녀를 돌보는 일이 대단히 중요하다는 의견과 3) 손자녀를 돌보는 일은 조모 이외의 사람도 가능하다는 의견 4) 돌봄에 따르는 고통을 몰라주는 것에 대한 비동의 5) 돌봐주고 자식들에게 비난받는 것에 대한 비동의 등으로 요약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육시설이 자녀 돌보기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어린이집과 같은 자녀를 돌보는 보육시설이 어느 정도 이러한 문제를 완화시켜주고는 있다. 그러나 경제적인 부담감이나 돌봄에 대한 신뢰, 취업모의 다양한 근무환경 등의 문제로 사회적 시설이 자녀 돌봄을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더구나 자녀 돌보기는 일차적으로 가정 내에서 수행되어왔기 때문에 취업모를 비롯한 상당수의 사람들이 자녀를 여타의 사회적 시설에서보다 가정 내에서 책임지어지는 것을 선호하고 있다. 이에 적합한 자원으로 조모가 지적되고 있다.
조모가 자녀돌보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원으로 주목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에 적합한 자원으로 조모가 지적되고 있다. 어머니가 취업을 하지 않고 자녀의 양육을 담당하였던 전통 가정에서도 조모는 손자녀의 정서적 안정과 보호 및 훈육을 맡는 역할을 담당하여 손자녀의 사회화 과정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여왔기 때문에 과거에 비하여 손자녀를 돌보아 줄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있는 오늘날 조모들에 대해서도 손자녀를 돌보아 줄 수 있는 사람으로 기대하는 것이다. 맞벌이가정의 취학 전 유아에 대한 자녀양육실태 조사에서도 조부모는 어머니 다음으로 자녀를 돌보는 사람으로 지적되어 어머니 대행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Statistics Korea, 2010).
자녀돌보기 문제가 사회적인 문제로 발전한 이유는 무엇인가? 여성의 취업이 가정 밖에서 이루어지는 비율이 증가하면서 어머니 부재 시 자녀돌보기가 예전보다 어려운 상황이 되었다. 조부모가 동거하였던 전통적인 삼대가족이 감소하면서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 역할을 대행해주는 사람이 없기 때문에 자녀돌보기 문제는 가정 내에서만 해결될 수 없는 사회적인 과제가 되고 있다. 어린이집과 같은 자녀를 돌보는 보육시설이 어느 정도 이러한 문제를 완화시켜주고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chman, H. J. & Chase-Lansdale, L. (2005). Custodial Grandmothers' Physical, Mental, and Economic Well-Being: Comparisons of Primary Caregivers from Low-Income Neighborhoods. Family Relations, 54(4), 475-487. 

  2. Bae, J. H., Roh, S. K. & Kweon K. S. (2008). Current Practices of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and Their Needs for Support. The Journal of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15 (1), 379-410. 

  3. Bowers, B. F. & Myers, B. J. (1999). Grandmothers providing care for grandchildren: Consequences of various levels of care giving. Family Relations 48(3), 303-311. 

  4. Dowdell, E. B. & Sherwen, L. N. (1998). Grandmothers Who Raise Grandchildren: A Cross-Generational Challenge to Caregiver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4(5), 8-13. 

  5. Dowdell, E. B. (1995). Caregiver burden: Grandmothers raising their high-risk grandchildren. Journal of Psychology Nursing and Mental Health Services, 33, 27-30. 

  6. Dowdell, E. B. (2005). Grandmother Care giver Reactions to Caring for High-Risk Grandchildren: "I could write a book!".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31(6), 31-37. 

  7. Hayslip, B. & Kamininski, P. L. (2005). Grandparent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Marriage & Family Review, 31, (1-2), 147-170. 

  8. Jung, M. (2006). A study on financial support in exchange of caring for grandchildren and future birth plan: working mothers and grandmothers' perceptio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ceedings of Symposium. 265-292. 

  9. Kim, E. J. & Chung, S. D. (2011). A Study on the Adaptive Experience of a Grandmother Raising grandchildren: Focused on family with Working mother.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31, 177-213. 

  10. Kim, H. (2008). Q Methodology: Philisophy, Thories, Analysis, and Application. Seoul:Communication Books, Inc. 

  11. Kim, H. S. & Kim, K. S. (2003). Parental Role Confli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Dual-earner Coupl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1(4), 117-131. 

  12. Kim, M. J. (2006). A Study of the Care giving Burden on Grandmothers Who Raise Their Grandchildren: A Phenomenological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6), 914-923. 

  13. Kim, M. J. (2006). The Experience of Grandmothers Who Raise Their Grandchild.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4. Kim, O. N. (2007). Caregiving Burden and Rewards for the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16, 59-84. 

  15. Kim, S. Y. & Jeong, M. K. (2006). A Study on Working Mothers' and Grandmothers' Perceptions of Childcare.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1(5), 67-96. 

  16. Kim, W. K. & Jeon J. A. (2010). Research Trends Concerning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in Korean Journals 1991-2010. Journal of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Woman, 15(4), 653-671. 

  17. Kwon, I. S.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rden and the social support of grandmothers caring their grand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6(2), 212-223. 

  18. Lee, H. J. & Yun, E. J. (2011). A Comparative Study of Parental Experience of Grandmothers Providing Care for Grandchildren with Primary and Partial Responsibilitie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5(4), 179-200. 

  19. Lee, J. Y., Kim, W. K. & Chung, K. M. (2009). The Study Of Parenting Stress, Social support, Coping, Parental behavior In Partial Caregiving - Grandmothers -Comparing with Caregiving-mothers-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2), 441-458. 

  20. Lee, Y. J. (2003). The Structural Analysis of Leisure Time of Elderly. Unpublished docter's thesis, Ewha Womans Univ. 

  2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9), Child care research. 

  22. Oh, J. (2007). A Structural Model on the Quality of Life of Grandmothers Caring for their Grand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3 (2), 201-211 

  23. Orb, A. & Davey, M. (2005). Grandparents parenting their grandchildren. Australian Journal on Ageing, 24 (3), 162-168. 

  24. Rho, S. H. (2010). Current Child Care Situation and the Need for Child Care to Support Working Mothers with a Child Under 12 Month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33, 111-128. 

  25. The Statistics Korea. (2010). Social Survey. 

  26. Thomas, J. L. (1986). Age and sex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grandparenthood. Journal of Gerontology, 41, 417-423 

  27. Yang, S. J., Chung, K. M. & Kim, W. K. (2008).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affec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day-care grandmothers. Journal of Korean Psycholo gical Association: Woman, 13(4), 415-432. 

  28. Yi, Y. S. (2010). The Influence of the Care giving Experience on Grandmothers' Caregiving Intent for Grandchildren, with Regard to Co- residenc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9(1), 15 -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