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족 부모자녀관계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Parenting Training Program for Improving Parent-Child Relationships in Multi-cultural Familie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2 no.1, 2011년, pp.31 - 49  

민성혜 (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김경은 (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김리진 (고려대학교 사회정서발달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entred around the development of a parenting training program for improving parent-child relationship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goal of this program was to improve parent-child relationships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program consist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모자녀관계란? 한편, 전혜정 등(2009)은 다문화가족의 경우 부모자녀관계의 어려움이 줄어들 때, 자녀의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됨을 강조하고 있다. 부모자녀관계는 자녀의 전인적 발달과 사회적 성장에 기초가 되는 가장 기본적이고도 중요한 인간관계의 원형이다. 특히 유아기는 부모와 긍정적 관계형성과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과 타인에 대한 지각을 발달시키며, 다양한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게 되는 시기이다.
다문화가족의 부모 자녀 관계를 위협하는 요소는? 다문화가족의 부모자녀관계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문화가족을 둘러싼 사회적 지지, 부부관계 만족도, 이주여성의 정신건강 등이 부모자녀관계를 위협하고 이로 인해 자녀의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한다. 최근 다문화가족 이혼율 급증도 사회적인 이슈가 되고있다.
다문화가족 자녀들이 사회적 편견으로 인해 경험하는 것은? 다문화가족 자녀들과 관련된 지금까지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최근에 사회적 서비스가 늘어나면서 다문화가족 자녀들의 또래관계나 학교적응과 학습에서의 긍정적인 효과들도 보고되고 있으나(구수연, 2007; 김상임, 2004; 김희태·권영덕, 2007; 박경자·김송이, 2007; 안현정, 2003), 대부분의 다문화가족 자녀들 또한 편견과 언어 문제, 이중문화 생활에서 오는 부적응을 경험하며(김갑성, 2006), 생물학적 한국인 아동에 비해 정서조절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전혜정 등, 2009). 또한 사회적 편견으로 인해 정체성 혼란과 자존감 문제(조영달, 2006)를 경험한다고 보고되어왔다. 이처럼 다문화가족의 부모자녀관계의 어려움, 불안정 애착 문제, 그로 인한 정체감 위기 등의 어려움들은 여전히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는 주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구수연(2007). 어린이집 생활을 통해 본 여성 결혼이민자 자녀와 가정에 대한 이해.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95-124. 

  2. 권연희?박경자(2003).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성, 대인간 문제해결 전략 및 어머니 행동. 아동학회지, 24(3), 27-44. 

  3. 경기도가족여성개발원(2007). 경기도내 국제결혼 이민자가족 실태조사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경기도 여성개발원. 

  4. 김갑성(2006). 한국 내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기현?강희경(1997).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5(5), 141-150. 

  6. 김나영(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와 사회참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리진(2008). 유아의 사회정서적 행동문제에 대한 구조모형 분석.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8. 김상임(2004). 상담사례를 통해 본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삶. 이주여성인권센터 창립 3주년 심포지엄 자료집, 17-48. 

  9. 김연수(2008). 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한 '탄력적 부모되기 프로그램' 적용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4, 189-222. 

  10. 김오남(2006). 여성결혼 이민자의 부부갈등 및 학대에 관한 연구-사회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8, 33-76. 

  11. 김오남?김경신?이정화(2008). 결혼이민자 남편의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1), 69-84. 

  12. 김희태?권영덕(2007).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 기관에의 적응과 변화과정.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4). 95-117. 

  13. 노하나(2007). 중국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문화적응유형과 이주여성이 인지한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문연심(2003). 부모-자녀관계 유형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5. 민성혜(2006). 유아 내적 표상과 행동억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6. 민성혜?김영애?김송이(2008).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서울: 양서원. 

  17. 민성혜?이민영?최혜영?전혜정(2009). 다문화 가정 유아기 자녀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모형 분석. 대한가정학회, 47(1), 55-63. 

  18. 박경자?김송이(2007). 농촌지역 국제결혼가정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 아동학회지. 28(5), 91-108. 

  19. 박미경(2006).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가족 유아의 특성 및 교사의 어려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보건복지가족부(2008). 다문화가족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강화대책. 브리핑 자료(2008년 10월 30일). 

  21.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7). 다문화가족 지역정착을 위한 사회적 지원방안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2. 성영혜?이창미?김연진?김유진?신현정(2004). 치료놀이를 통한 영유아 보육. 서울: 시그마프레스. 

  23. 송미경?지승희?조은경?임영선(2008).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부모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20(2), 497-517. 

  24. 안영진(2002). 아동심리와 부모교육. 서울: 도서출판사 꾸벅. 

  25. 안현정(2003). 국제결혼 부부의 결혼만족에 관한 연구 : 한국 남성과 필리핀 여성 부부를 중심으로. 초당대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양옥경?김연수(2003). 가족탄력성 증진을 위한 부모 역할 프로그램 개발연구. 사회복지학연구논집, 11, 115-147. 

  27. 양정화(2005). 이주여성의 차별과 폭력경험에 관한 실태 조사 연구 :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이경하(2009).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이 영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이규삼(2000). 국제결혼 가정의 부부갈등 요인에 관한 연구 : 한?일 국적 가정을 중심으로. 순천향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이무영?강기정(2007).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 및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현실요법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가족복지학, 12(2), 29-44. 

  31. 이숙희?고인숙(2006). 아동의 전인적 발달을 위한 현대부모교육. 서울: 교육아카데미. 

  32. 이재연?김경희(1993). 부모교육. 서울: 양서원. 

  33. 인봉숙(2002). 한일 국제결혼가정 2세의 한국생활 적응 실태조사 연구 : 천안시 거주 통일교인 가정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4. 전혜정?민성혜?이민영?최혜영(2009). 다문화가정 영유아 사회정서 발달증진 프로그램.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35. 조영달(2006).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교육인적자원부 정책연구과제 2006-이슈-3. 

  36. 최경숙(2006). 여성 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지지와 결혼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최지명(2007). 국제결혼 부부의 의사소통 방식, 정서적 의사소통,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최혜영?이은해(2005).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과 교사 신념 및 교사행동 간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5(5) 319-342. 

  39. Bunting, L. (2004). Parenting programmes : The best available evidence. Child Care in practice, 10(4), 327-343. 

  40. Grimshaw, R., & McGuire, C. (1998). Evaluating parenting programmes : A study of stakeholder' views. London : National Children's Bureau Enterprises Ltd. 

  41. Gross, D., & Rocissano, L. (1988). Maternal confidence in toddlerhood : its measurement for clinical practice and research. Nurse Practitioner, 13, 19-29. 

  42. Hammen, C. (1992). Cognitive, life stress, and interpersonal approaches to a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model of depression.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4, 189-206. 

  43. Harter, S., Marold, D., & Whitesell, N. R. (1992). A model of psychosocial risk factors leading to suicidal ideation in young adolescents.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4, 167-188. 

  44. Hunt, R. (1999). Making positive multicultural early childhood education happen. Young Children, 54(5), 39-42. 

  45. Panak, W. F., & Garber, J. (1992). Role of aggression, rejection, and attributions in the prediction of depression in children.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4, 145-165. 

  46. Salovey, P., & Mayer, J. D. (1996).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Salovey, P., & Sluyter, D. (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mplications for educators. New York : Basic Books. 

  47. Sanders, S. W. (1992). Designing Preschool Movement Programs. Champaign, IL : Human Kinetics Publisher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