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유아 기본생활습관 부모 평정척도 개발 연구
The Development of a Basic Life Habit Parents Rating Scale for Infant Early Childhood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2 no.2, 2011년, pp.87 - 104  

김명순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변혜원 ((주)베네세코리아 유아교육연구소) ,  김길숙 (연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basic life habit scale for infant early childhoo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1,000 parents of children aged from two to five years old in the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s. For the purposes of data analysis, the study made use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운동 추진의 기본 배경은 기본적인 생활습관의 혼란이 아이의 학습 의욕과 체력, 활력 저하의 원인이 되며, 이는 각 가정만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전체의 문제임으로 대책이 필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 가정에서 해야 할 역할의 중요성과 가정교육의 힘을 키워 질적으로 건강한 사회를 만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기본생활습관에 관한 여러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만 2-5세를 대상으로 한 기본생활습관척도를 개발하여 그 타당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이는 만 2-5세 영유아 대상의 기본 생활습관 척도가 매우 부족한 상황에서 가정에서 영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의 정도를 잴 수 있는 척도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사료된다.
  • 본 연구는 가정에서 만 2세부터 측정할 수 있는 영유아 기본생활습관 평정척도를 개발하고자 문항별 양호도와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와 연구의 의의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본생활습관이란? 기본생활습관은 한 개인의 생활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것을 익혀서 습관화하는 것으로(이원영·방인옥·박찬옥, 1992), 영유아기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은 이후에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 시기의 신체적 건강은 성장 발달의 기초가 되고, 이 때 형성된 습관과 태도는 일생동안 지속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영유아가 건강하고 안전하게 생활하여 올바른 습관을 형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표준보육과정, 2010).
영유아기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이 중요한 이유는? 기본생활습관은 한 개인의 생활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것을 익혀서 습관화하는 것으로(이원영·방인옥·박찬옥, 1992), 영유아기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은 이후에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 시기의 신체적 건강은 성장 발달의 기초가 되고, 이 때 형성된 습관과 태도는 일생동안 지속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영유아가 건강하고 안전하게 생활하여 올바른 습관을 형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표준보육과정, 2010).
기본생활교육은 어떤 경로로 수행되는것이 바람직한가? 이렇듯 기본생활습관에 관한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기본생활교육이 유치원, 초등학교에서만 강조될 것이 아니라 중·고등학교와 가정, 사회와도 연계되어 총력을 기울여야 할 교육 영역임이 주장되고 있다. 특히, 기본생활교육은 가정에서부터 출발되어야 하고, 생활 전반에 걸쳐 출생 직후부터 시작해야 하며, 일관성 있게 유아의 연령이나 발달 수준에 맞게 수행되어야 함이 강조되었다(이원영․방인옥․박찬옥, 1992). 일본 문부과학성에서도 2006년(平成 18년)부터 유아의 건강과 성장을 위해 적절한 운동, 조화로운 식사, 충분한 휴식 수면이 중요하다고 보고, 아이의 기본생활습관을 육성시키기 위해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 아침밥을 먹는 「早寢早起き朝ごはん」 국민운동을 추진하고 있다(문부과학성,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교육부(1998).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교육부고시 제1998-10호. 

  2. 교육인적자원부(2007). 개정유치원교육과정 해설. 교육인적자원부고시 제2007-153호. 

  3. 국립교육평가원(1995). 유치원 교육 평가.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4. 곽노의.최민수.김규수.유구종(1997). 유아기본생활습관 평가도구 개발. 열린유아교육연구, 2(2), 139-166. 

  5. 김명순.강옥경.임양미(2008). 유아의 존댓말 사용과 어머니의 인식 간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8(5), 273-293. 

  6. 김주영.문혁준(2006).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이 유아의 사회적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4(11), 13-22. 

  7. 류칠선(2003). 사소절에 나타난 아동의 예절 교육론. 영유아교육연구, 6, 75-91. 

  8. 박주희.이은해(2001). 취학 전 아동용 또래 유능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1), 221-232. 

  9. 박찬옥(1994). 도덕성 확립을 위한 유아 교육 기관의 역할. 1994년도 한국유아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한국유아교육학회, 59-79. 

  10. 보건복지부(2009). 표준보육과정. 제2010-71호. 

  11. 보건복지가족부(2009). 2009년 전국보육실태조사 : 보육시설조사 보고서. 발간등록번호 11-1351000-000626-13. 

  12. 안현정(2003).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기본생활 습관과의 관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엄세진(2007). 아동의 기본생활습관과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8(6), 103-118. 

  14. 엄세진.정옥분(2006). 초등학생의 기본생활습관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인간발달연구, 13(2), 55-76. 

  15. 우남희.김영심.이은정.김현신(2009). 저 출산 시대의 자녀 양육과 교육에 대한 한국 어머니들의 인식 및 실태 조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3), 297-325. 

  16. 이순형(2001). 한국아동이 초기 획득한 문법적 형태소의 종류 및 획득 시기. 아동학회지, 21(4), 51-68. 

  17. 이은화.김희진.이승연(1996) 기본생활습관 평가척도의 개발을 위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6(2), 161-177. 

  18. 이은해.박주희.최혜영(2005). 영유아용(만 2-5세) 발달검사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아동학회지, 26(6), 73-88. 

  19. 이은해.이미리.박소연(2007). 아동 연구 방법의 이해. 서울: 학지사. 

  20. 이원영.방인옥.박찬옥(1992) 유치원의 기본 생활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연구회 유아교육연구, 12(1), 71-90. 

  21. 이수진(2005). 기본생활교육 관련 온라인 콘텐츠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정금자(2001). 유아의 사회생활을 위한 기본생활습관 교수 방법. 인문예술논총, 22, 157-172. 

  23. 정현진(2003).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기본생활 습관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정현아(1994). 유아의 기본생활교육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한광옥(1999). 재미있는 소학. 서울: 풀잎. 

  26. 川島隆太(2009). 腦の?きと朝ごはん. 子どもの生活習慣づくりフォ?ラムin中部, 基調講演槪略版. 東北大學. 

  27. 生涯學習政策局男女共同參畵學習課(2010). 早ね早おき朝ごはん 일본문부과학성 웹사이트 http://www.mext.go.jp에서 2010년 8월 30일 인출. 

  28. Alpern, G. D., Boll, T. J., & Shearer, M. S. (2000). Developmental profile II : Manual. Los Angeles, CA :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29. Presler, B. (1996). Health and safety considerations : Caring for young children with exceptional health care needs. California institute on human service (CIHS), Sonoma State University. 

  30. Lowry, C. S. (1973). Safety education curriculum. Bureau of Indian affairs (Dept. of interior), Albuquerque, N. Mex. 

  31. Scaffer, D. R. (2005). Soci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the 5th ed.). Belmont, CA : Wadsworth publishing. 

  32. Harter, S. (1982). The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children. Child Development, 53, 87-97. 

  33. Harter, S., & Pike, R. (1984). The pictorial scale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55, 1969-1982. 

  34. Kohn, M., & Rosman, B. L. (1972). A social competence scale and symptom checklist for the preschool child : Factor dimensions, their cross-instrument generality, and longitudinal persistence. Developmental Psychology, 6(3), 430-444. 

  35. Miller, S. A. (1988). Parent's beliefs about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59, 259-2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