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개인적 요인 및 환경적 요인간의 구조적 관련성 분석
Structur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and Environment Factors on Adjustment t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of You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2 no.3, 2011년, pp.121 - 142  

김선희 (가야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 factors (young children's self-esteem and language abil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mother's acculturation, parenting, and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attitude) on young children's adjustment t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종합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의 급속한 증가 추세에도 불구하고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대한 정보가 매우 부족한 현시점에서,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과 관련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이들 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검증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유아에 대한 통합적 시각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유아 개인적 요인(자아존중감과 언어능력) 및 환경적 요인(어머니의 문화적응과 양육행동 및 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간의 구조적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다음의 그림 1은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대한 가설적 연구모형이다.
  • 전반적으로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 유아 개인적 요인(자아존중감과 언어능력), 그리고 교사의 다문화 교육태도를 제외한 환경적 요인(어머니의 문화적응과 양육행동) 각 하위영역별로 다소간의 차이가 있지만, 서로 간에 유의한 관련성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 개인적 요인과 유의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된 교사의 다문화교육태도를 제외하고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대한 유아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 따라서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과정이 일차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으로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언어능력을, 환경적 요인으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과 양육행동, 그리고 유아교육기관의 교사의 다문화교육태도를 선정하여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과 관련되는 유아 개인적·환경적 요인을 탐색하며 이들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련성을 검증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관한 통합적 시각을 제공하는 것이다.
  •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현 상황에서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탐색하고 이들 요인들의 구조적 관련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들의 적응을 돕는 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종합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의 급속한 증가 추세에도 불구하고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대한 정보가 매우 부족한 현시점에서,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과 관련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이들 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검증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유아에 대한 통합적 시각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유아 개인적 요인(자아존중감과 언어능력) 및 환경적 요인(어머니의 문화적응과 양육행동 및 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간의 구조적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문화가정이란? 다문화가정(Multi-Cultural Families)이란 우리와 다른 민족 또는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포함된 가정을 통칭한다(조영달, 2006). 최근 들어 우리나라 다문화가정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다문화가정의 자녀수 또한 급증하고 있다.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능력에 관한 어려움과 이것이 초래하는 부정적인 영향은? 한편 다문화가정 유아의 어려움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문제는 언어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관련 선행연구(박미경·엄정애, 2007; 서현·이승은, 2007; 정은희, 2004; 최정아, 2008; 황상심, 2008) 에 의하면 이들은 구어능력과 문해능력을 포함된 전반적인 언어능력에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언어발달상의 문제는 여타 다른 발달영역인 사회적 능력, 인지 및 학업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언어능력은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유의한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유아교육기관에서 적응적인 유아가 가지는 특성은? 유아기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등의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경험이 시작되는 시기로, 유아들은 유아교육기관에서 만나게 되는 교사 및 또래와 사회적 관계를 수립해야 하며, 다양한 활동에 참여해야 하고, 주어지는 다양한 요구에 대처해야 한다. Jewsuwan, Luster 그리고 Kostelink(1993)에의하면, 유아교육기관에서 적응적인 유아는 타인을 돕고 협력하며, 즐거운 생활과 긍정적인 정서상태 유지하고, 원만한 또래관계를 형성하며, 자신감 있고 주도적이며 독립적인 자아상태를 가지고 있으며, 유아교육기관의 일과를 잘 따르고 변화에 잘 적응하는 특성을 보인다.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성공적인 적응은 이후의 또래관계 문제 및 행동문제 등을 예측한다(Ladd & Price, 1987; Schmidt, DeMulder, & Denham, 2002)는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6)

  1. 구수연(2007). 어린이집 생활을 통해 본 여성 결혼이민자 자녀와 가정에 대한 이해.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95-124. 

  2. 구효진?최진선(2007). 농어촌 다문화가정 유아의 인지적 특성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6), 43-67. 

  3. 교육부(1999). 유아를 위한 세계 이해교육자료. 서울: 교육부. 

  4. 권복순?차보현(2006). 농촌지역 코시안 가정 주부의 의사소통능력, 문화적 정체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58(3), 109-134. 

  5. 김경숙?공진희?이민경(2007).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 가정 유아 부모의 특성과 유치원 교육 참여에 대한 질적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9(4), 311-335. 

  6. 김대업(2008). AMOS A to Z 논문작성절차에 따른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경기도: 학현사. 

  7. 김수연(2007). 유아의 기질 및 언어능력과 유아교육기관의 적응과의 관계:결혼이민자 가정의 자녀를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승권?김유경?조애저?김혜련?이혜경?설동훈?정기선?심인선(2010). 2009년 전국다문화 가족실태조사 연구. 정책보고서 2010-06. 서울:보건복지부?법무부?여성부?한국보건 사회연구원. 

  9. 김오남(2005).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0. 김영숙(1997).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가정 환경 제변인.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정구논문. 

  11. 김영태?성태제?이윤경(2003). 취학전 아동의 수용 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12. 김영희(1996). 아동의 놀이성 군 확인과 관련변인 탐색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3. 김희태?권영덕(2007). 다문화 가정 유아의 유아교육 기관에의 적응과 변화 과정.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4), 95-117. 

  14. 박경자?김송이(2007). 농촌지역 국제결혼가정 유아의 사회?정서발달. 아동학회지, 28(5), 91-108. 

  15. 박미경?엄정애(2007). 결혼이민자 가정 유아의 유아 교육기관 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아동학회지, 28(2), 115-136. 

  16. 박영신(2010). 다문화가정 유아들의 함께 주의하기와 언어발달. 아동학회지, 31(6), 35-50. 

  17. 박영아(2010).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경험과 보육 교사의 보육경험 실태. 유아교육연구, 30(1), 197-223. 

  18. 박희숙?이승은(2007).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유치원 적응력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2(6), 337-356. 

  19. 배병렬(2009). AMOS 17.0 구조방정식모델링(2판). 서울: 청람. 

  20. 서현?이승은(2007). 농촌지역의 국제결혼 가정 자녀가 경험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25-47. 

  21. 송미경?지승희?조은경?임영선(2008).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부모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20(2), 497-517. 

  22. 송진숙(2004).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의 적응과 관련변인간의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1(3). 167-189. 

  23. 신선희(2009).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치원 적응유연성.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4. 신지연, Bayram-Ozdemir, S., Lee, J., & Cheah, C. S. L.(2010). The parenting practices and child social emotional outcomes of Korean immigrant mothers with different acculturation strategies. 아동학회지, 13(1), 179-195. 

  25. 안지영(2001).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6. 오성숙(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개인변인, 가정환경자극과 유아 언어능력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7. 오재연?송미선(2009). 외국인 어머니를 둔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1), 243-261. 

  28. 우현경?정현심?최나야?이순형?이강이(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유아기 자녀의 언어발달. 아동학회지, 30(3), 23-36. 

  29. 유우영(1998). 유아의 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양육관련변인간의 인과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0. 윤갑정?고은경(2006).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유아의 한국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생활에 대한 질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26(2), 147-168. 

  31. 윤현숙(2008).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 비교. 유아교육학논집, 12(1), 415-430. 

  32. 이경화?고진영(2006). 자아개념검사. 서울: 학지사. 

  33. 이영숙?서소정(2006). 유아의 적응행동에 관한 연구-유아와 어머니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4(5), 143-155. 

  34. 임말자?최경순(2003). 유아의 성, 연령, 기질 및 가정 환경자극과 유아교육기관 적응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3(1), 189-207. 

  35. 임진숙(2008).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언어능력 및 사회적 능력의 관계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정대현?장지영(2009).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신념과 실제. 유아교육학논집, 13(1), 309-328. 

  37. 정민영?정정희(2010). 다문화가정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유아교육연구, 30(3), 141-168. 

  38. 정선희(1997). 다문화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9. 정은희(2004). 농촌지역 국제결혼 가정 아동의 언어발달과 언어환경. 언어치료연구, 13(3), 33-52. 

  40. 조영달(2006).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정책연구과제 2006-이슈-3.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41. 최정아(2008). 결혼이민자 가정의 가정환경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2. 최충옥?모경환(2007). 경기도 초?중등 교사들의 다문화적 효능감에 대한 조사연구. 시민교육연구, 39(4), 163-182. 

  43. 최형성(2009). 여성결혼이민자와 한국어머니의 양육 효능감과 양육행동의 매개적 역할:아동의 자존감 모형 탐색. 아동학회지, 30(5), 245-262. 

  44. 한석실(2007). 다문화시대 유아교사교육의 방향 모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1), 29-53. 

  45. 한지은(2007).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문화변용 형태와 사회적 지지 정도가 자녀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6. 홍달아기?채옥희(2007). 국제결혼부부의 가치관 및 의사소통유형과 갈등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6(4), 733-744. 

  47. 황상심(2008).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특성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8. Abidin, R. P. (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The J. of Clinical Child, 21(4), 401-412. 

  49. Andeson, M., & Hughes, H. M.(1989). Parenting attitudes and the self-esteem of young children. J. of Genetic Psychology 150(4), 463-465. 

  50. Banks, J. A., & Banks, C. M.(2003). Handbook of 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 (2nd ed.). CA:Jossey-Bass. 

  51.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 83-96. 

  52. Berry, J. W. (1997).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An International Review, 46(1), 5-68. 

  53. Bronfenbrenner, U. (1986). Ecology of the family as a context for human development:Research perspectives. Developmental Psychology, 22, 164-176. 

  54. Calzada, E. J., Brotman, L. M., Huang, K., Bat-Chava, T., & Kingston, S. (2009). Parent cultural adaptation and child functioning in culturally diverse, urban families of preschoolers. J.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30, 515-524. 

  55. Chen, X., Rubin, K. H., & Li, B. (1997). Maternal acceptance and social and school adjustment in Chinese children:a four-year longitudinal study. Merrill-Palmer Quarterly 43(4), 663-681. 

  56. Dinh, K. T., Roosa, M. K., Tein J., & Lopez, V. A.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and problem behavior proneness in hispanic youth sample:a longitudinal mediation model. J.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0(3), 295-309. 

  57. Farver, J. M., & Lee-Shin, Y. (2000). Acculturation and Korean-American children's social and play behavior. Social Development, 9(3), 316-336. 

  58. Harter, S., & Pike, R. (1984). The pictorial scale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55, 1969-1982. 

  59. Jewsuwan, R., Luster, T., & Kostelink, M. (1993).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perceptions of temperament and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1), 33-51. 

  60. Ladd, G. W., & Price, J. M. (1987). Predicting children's social and school adjustment following the transition from preschool to kindergarten. Child Development, 58, 1168-1189. 

  61. Marchand, J. F., & Ellen, H. (1998). The relation of problem behaviors in preschool children to depressive symptoms in mothers and fathers. J. of Genetic Psychology 159, 353-367. 

  62. Rubin, K., Burgess, K. B., & Dwyer, K. M. (2003). Predicting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s from toddler temperament, conflict, and maternal negativity. Developmental Psychology, 39(1), 164-176. 

  63. Schmidt, M., DeMulder, E. K., & Denham, S. (2002). Kindergarten social-emotional competence:Developmental predictors and psychosocial implication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72, 451-462. 

  64. Seifer, R., Dickstein, S., & Samerroff, A. J. (2001). Infant mental health and variability of parental depression symptoms. J. of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40(12), 549-559. 

  65. Shaffer, D. J. (2005). Soci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5th ed). CA:Wadsworth/Thompson Learning. 

  66. Swenson, R. R., & Prelow, H. M. (2005). Ethnic identity, self-esteem, and perceived efficacy as mediators of the relation of supportive parenting to psychosocial outcomes among urban adolescents. J. of Adolescence, 28, 465-47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