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능력과 유아-어머니간 놀이상호작용 - 동남아시아 결혼이민자가정을 중심으로 -
Multi-cultural Children's Language Abilities and Play-Interactions with Their Mother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1 no.2, 2010년, pp.35 - 52  

송요현 (인하대학교 대학원 소비자아동학과 아동복지학, 인천남구건강가정지원센터 아이돌보미 지원사업팀) ,  현온강 (인하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a child's development within a multi-cultural family, taking into account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hild's language ability and their play interactions with their mother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유아의 언어검사를 실시함으로써, 다문화 가정 유아의 언어발달의 정도를 알아보아, 다문화 가정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이후 적응을 위한 맞춤형 한국어교육과 적응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함을 학문적으로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유아-어머니의 놀이상호작용을 살펴봄으로써, 다문화 가정 유아-어머니의 실제적인 상호작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는 기존의 연구가 설문지 응답이나 어머니 응답, 유아의 관찰 등 한쪽 측면의 대상에만 치우친 연구들에서 유아와 어머니 양쪽을 함께 측정하고 관찰했다는데서 다문화 가정 연구의 방법을 확장시켰으며, 기존의 연구보다 세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는데 의의가 있다.
  • 특히, 다문화 가정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유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 관계를 관찰하여 두 대상을 함께 알아본 연구는 전은애(2008)의 연구를 제외하고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하거나, 육아지원기관에서의 다문화가정 유아의 관찰이 주로 이루어진 연구들인데 반해,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유아와 어머니를 직접 만나 그들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동남아시아 다문화 가정의 실재(實在)를 알아봤다는 것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다문화가정의 유아를 대상으로 연구한 기존의 선행연구는 유아의 언어발달과 사회적응의 문제를 지적하면서 이후의 학교부적응과 학습장애로의 문제까지 예측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오성배, 200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발달에 있어서 중요한 언어능력과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을 살펴봄으로, 다문화가정 유아가 겪고 있는 어려움과 실태를 알아보는 기초 작업을 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특성, 유아의 언어능력과 유아-어머니의 놀이를 통한 상호작용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유아의 전반적 발달, 특히 언어발달과 놀이상호작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여기서의 ‘다름’은 동일한 한국사회를 이끌어 가는 한 사람으로서 다양한 역할을 감당하는 ‘다름’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능력과 유아-어머니간 놀이상호작용을 알아봄으로써 미래에 한국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갈 다문화 가정 유아가 함께 더불어 살아갈 세상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였다. 지금의 다문화 가정 유아들은 한국에서의 다문화 일세대 격에 해당하며, 앞으로 이들에게는 한국인으로 살아가는데 있어서의 정체성의 혼란들을 겪을 수 있다.
  • 본 연구는 연구대상이 인천과 경기지역으로 제한되어 연구대상이 소수의 인원으로 이루어진 관찰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 대한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있어서 신중할 필요가 있다는 제한점이 있다.
  • 이 관점이 많은 정책이나 사람들 사이에서 시각의 차이를 양산한다고 보았기에, 본 연구자는 기존의 ‘다르나 같은 우리’의 관점에서 ‘같으나 다른 우리’라는 관점의 전환으로 다문화가정의 유아와 어머니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특성, 유아의 언어능력과 유아-어머니의 놀이를 통한 상호작용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유아의 전반적 발달, 특히 언어발달과 놀이상호작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사회가 다문화 사회라고 판단할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가? 법무부 통계에 따르면 2008년 5월말 현재 국내 체류 중인 외국인이 100만 명을 넘어섰다(세계일보, 2008. 12. 16). 특히, 2009년 5월 현재 외 국인주민은 2008년도에 비해 24.2%가 증가한 1,106,884명이며, 이는 주민등록인구의 2.2%에 해당한다. 특히, 다문화가정인 결혼이민자 가정의 경우는 2008년도 대비 22.4%가 증가한 125,673명이다. 외국인주민의 자녀는 전체 외국인주민의 9.7%인 107,689명으로 2008년도 대비 85.6%가 증가했으며, 만 6세 이하는 2008년도 대비 93.2%가 증가한 64,040명으로 집계되었다(행정안전부, 2009). 즉, 한국사회는 현재 ‘다문화 사회’이다.
어머니와 유아의 관계는 무엇에 영향을 미치는가? 유아들은 최초의 놀이파트너인 어머니와 언어를 사용하면서, 놀이를 보다 정교화 시킨다. 많은 연구들에서 어머니와 유아의 관계는, 유아의 인지, 정서,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거나 예측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Denham, Renwick, & Holt, 1991). 또한 문제해결 상호작용 동안 정서적 지지와 적절한 지도를 제공하고 한계를 설정해주는 어머니의 행동 특성과 긍정적인 정서를 표현하고 과제에 자신감 있게 임하는 아동의 행동특성이 이후 취학전 시기와 학령초기 유아의 학업성취와 학교적응을 예측한 연구도 있었다(Pianta & Harbers, 1996).
유아-어머니의 관계를 다루는 대부분의 연구는 무엇에 관한것인가? 일반적으로, 유아-어머니의 관계를 다룬 대부분의 연구들은 어머니의 행동특성이 아동의 발달과 적응에 미치는 일방향적 영향 또는 관계에 대한 것이다. 하지만 초기의 일방향적 관점은 어머니와 유아의 관계가 일방적인 것이 아니며 서로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는 역동적인 관계라는 양방향적인 관점으로 변화하고 있다(Kochanska & Murray,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김민화 . 신혜은(2008). 다문화가정 취학 전 유아 한국어교육 지원을 위한 기초 연구. 아동학회지, 29(2), 155-176. 

  2. 김영태 . 성태제 . 이윤경(2003). 취학전 아동의 수용 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PRES) 검사지침서. 서울 :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3. 김이선 . 김민정 . 한건수(2006). 여성 다문화의 문화적 갈등 경험과 소통증진을 위한 정책과제. 서울 : 한국여성개발원. 

  4. 박미경(2007).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 가정 유아의 특성 및 교사의 어려움-결혼이민자 가정을 중심으로.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5. 보건복지가족부 인구여성정책팀(2006. 9). 여성결혼이민자 가족 사회통합 지원대책-보건복지부 주관 과제별 추진실적 및 계획-. 국정감사요구자료. 

  6. 보건복지가족부.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2008). 다문화가족자원을 위한 다문화사회이해. 서울 :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발간번호 : 2008-결혼이민자-29). 

  7. 보건복지가족부(2008. 10. 30). 다문화가족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강화대책. 브라핑자료. 

  8. 설동훈 . 김윤태 . 김현미 . 윤홍식 . 이혜경 . 임경택 . 정기선 . 주영수 . 한건수(2005). 국제결혼 이주 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 . 복지 지원정책 방안. 서울 : 보건복지부. 

  9. 설동훈 . 이혜경 . 조성남(2006). 다문화 가족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정책방안 연구. 서울 : 여성 가족부. 

  10. 세계일보(2008. 12. 16). "청소년층에 다문화사회 비전제시 필요". http://www.segye.com/articles/components/func/print.asp에서 2008년 12월 17일 인출. 

  11. 송선진(2007).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사회화 과정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다문화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12. 양애경 . 이선주 . 최훈석 . 김선화 . 정혁 (2007). 여성 다문화에 대한 지역사회의 수용성 연구. 서울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3. 오성배(2005). 코시안(Kosian) 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 32(3), 61-83. 

  14. 오성배(2007). 한국 사회의 소수 민족(ethnic minority), '코시안(Kosian)' 아동의 사례를 통한 다문화교육의 방향 탐색. 교육사회학연구, 16(4), 137-157. 

  15. 이경숙 . 신의진 . 전연진 . 박진아 (2004). 한국 유아 행동문제의 경향과 특성 :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17(4), 53-73. 

  16. 이순형(2007). 다문화사회와 생활문화 : 다문화의 생활 적응문제와 지원방안.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다문화생활교육센터 개원심포지엄, 55-76. 

  17. 이순형 . 권미경 . 최인화 . 김미정 . 서주현 . 최나야 . 김지현(2010). 영유아 언어지도 경기 : 교문사. 

  18. 이순형 . 문무경 . 최연실 . 이숙정 . 정하나 . 우현경(2006). 농촌여성결혼이민자 정착지원방안. 경기 : 농림부. 

  19. 이영주(2007). 국제결혼한 여성의 자녀에 대한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여성, 12(2), 83-105. 

  20. 이은해 . 이미리 . 박소연(2006). 아동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 학지사. 

  21. 이진숙(2007). 국제결혼가정의 자녀양육실태와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6), 21-42. 

  22. 이차숙(2005). 유아언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 학지사. 

  23. 전은애(2008). 다문화가정의 어머니-아동 상호작용과 어머니 문화적응차원과의 관계.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24. 조영달(2006).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교육부 정책연구과제, 2006-이슈-3. 

  25. 조영달(2008. 11.5). 다문화주의와 교육정책-"성찰적 사회화"를 제안하며.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특강 자료집. 

  26. 조혜영 . 이창호 . 권순희(2007).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쟁책 패러다임 구축-세부과제 4 : 다문화가족 자녀의 학교생활실태와 교사.학생의 수용성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2007 협동 연구 중간보고. 서울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7. 최숙희(2009). 심릭통계학의 이해. 서울 : 시그마프레스. 

  28. 행정안전부(2008. 7). 2008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실태조사 결과. 지방행정국(자치행정과). 

  29. 행정안전부(2009. 9). 2009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 지방행정국(자치행정과). 

  30. 홍기원(2006). 다문화정책의 방량과 문화적 지원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31. 홍진주(2004). 몽골출신 이주노동자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32. 황정미 . 김이선 . 이명진 . 최현(2007).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구축-세부과제 1 : 한국사회의 다민족.다문화 지향성에 대한 조사 연구. 서울 : 한국여성개발원. 

  33. Denham, S. A., Renwick, S. M., & Holt, R. W. (1991). Working and playing together : prediction of preschool social-emotional competence from mother-child interaction. Child Development, 62(2), 242-249. 

  34. Gardner, F., Ward, S., Burton, J., & Wilson, C. (2003). The role of mother-child join play in the early development of children's conduct problems: A longitudinal observational study. Social Development, 12(3), 361-378. 

  35. Kochanska, G., & Murray, K. T. (2000). Mother-child mutually responsive orientation and conscience development : From toddler to early school age. Child Development, 71(2), 417-431. 

  36.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1999). NICHD Study of Early Child Care Phase I Manuals. https : //secc.rti.org/manuals.cfm에서 2008년 5월 27일 인출. 

  37. Pianta, R. C., & Harbers, K. L. (1996). Observing mother and child behavior in a problem-solving situation at school entry : relations with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4(3), 307-322. 

  38. Weinfield, N. S., Ogawa, J. R., & Egeland, B. (2002). Predictability of observed mother-child interaction from preschool to middle childhood in a high-risk sample. Child Development, 73(3), 528-54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