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동시간에 따른 시간압박과 여가제약: 건강행동의 선택 혹은 희생?
Leisure Activities in Time Pressing Situation: Selection? or Sacrifice? 원문보기

한국인구학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34 no.2, 2011년, pp.65 - 90  

차승은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일하고, 먹고 잠자는 시간을 제외한 남는 여가 시간은 어느 정도이며, 그 여분의 시간은 어떠한 활동들로 채워지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시간압박상황에서 선택되는 여가활동의 특성을 포착하고자 하였으며, 건강행동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았다. 통계청의 2009 생활시간자료 가운데 20-60대 도시거주 기혼남녀 9,891명에 대한 분석결과에서 나타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동시간에 따른 시간압박이 높아지면, 모든 측면에서 여가행위나 여가시간량은 감소하였다. 특히 시간압박이 크면-노동시간이 길어 시간 활용상의 압박이 커지면- 여가활동 가운데서도 특별히, 쉬기, 걷기, 운동과 같은 건강증진을 위한 행위에서의 피해가 크게 나타났다. 둘째, 여가의 소비에는 사회적 제약과 역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성과 연령에 따라 계층에 따라, 또한 가구 내에 따라 여가활동이 선택되는 방식은 차이가 있었다. 셋째, 시간압박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분석대상자들의 문화활동을 포함하는 야외활동처럼, 미리 계획하거나, 타인과 함께 할 가능성이 높은 활동이 희생될 가능성은 오히려 적었다. 넷째, 시간압박을 느끼지 않는 경우는 오히려 여가활동 중에서도 혼자 할 수 있는 활동의 시간이 증가하는 패턴을 보이게 된다. 여섯째, 이 연구에서 스포츠 활동은 가볍게 산책을 하거나 걷는 것과는 다르게, 사회적 자원과의 관련성이 높았다. 토의 부분에서는 연구결과에 대한 이론적 설명과 정책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labour time pressure is associated with leisure selection and managing leisure hours, especially focusing on health related behavior issues. I have employed Time Diary data of 9,891 Korean respondents who were married and living in the cities and metropolitan area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계청의 생활시간자료에서 여가활동으로 분류되는 활동은? 국제기준의 생활시간자료를 수집하는 통계청의 생활시간자료에도 여가활동으로 분류된 활동(행위)은 크게 사교활동, 취미활동, 스포츠 및 레저, 매체이용, 사회활동 및 단체활동 참여, 학습 등이 포함된다. 최근에는 매체의 발달로 인해 TV나 비디오 DVD 시청에 PMP, DMB 시청이 포함되었고, 전화교제부분에서도 문자메시지 항목이 포함되었다.
여가, 그리고 여가시간은 무엇에서 출발했는가? 여가, 그리고 여가시간이란 일반적으로 노동과 반대되는 “쉬는 시간” 개념에서 출발했다(Mattingly & Sayer, 2004; 윤인진·배은식, 2009). 최근의 추세는 여가활동 및 관련시간이 소비와 연계되면서 여가시간은 생활시간을 구성하는 활동 중에서도 다양한 영역을 포함하는 “창의적인 시간”이라고 할 수 있겠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일하고, 먹고 잠자는 시간을 제외한 남는 여가 시간은 어느 정도이며, 그 여분의 시간은 어떠한 활동들로 채워지는지에 대해 살펴본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통계청의 2009 생활시간자료 가운데 20-60대 도시거주 기혼남녀 9,891명에 대한 분석결과에서 나타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동시간에 따른 시간압박이 높아지면, 모든 측면에서 여가행위나 여가시간량은 감소하였다. 특히 시간압박이 크면-노동시간이 길어 시간 활용상의 압박이 커지면- 여가활동 가운데서도 특별히, 쉬기, 걷기, 운동과 같은 건강증진을 위한 행위에서의 피해가 크게 나타났다. 둘째, 여가의 소비에는 사회적 제약과 역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성과 연령에 따라 계층에 따라, 또한 가구 내에 따라 여가활동이 선택되는 방식은 차이가 있었다. 셋째, 시간압박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분석대상자들의 문화활동을 포함하는 야외활동처럼, 미리 계획하거나, 타인과 함께 할 가능성이 높은 활동이 희생될 가능성은 오히려 적었다. 넷째, 시간압박을 느끼지 않는 경우는 오히려 여가활동 중에서도 혼자 할 수 있는 활동의 시간이 증가하는 패턴을 보이게 된다. 여섯째, 이 연구에서 스포츠 활동은 가볍게 산책을 하거나 걷는 것과는 다르게, 사회적 자원과의 관련성이 높았다. 토의 부분에서는 연구결과에 대한 이론적 설명과 정책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국민일보 (2010) "지친 한국인에게 여가를". 2010년 12월 17일자 18면. 

  2. 김경식?전형상?김재운 (2010) "한국인의 여가활동 제약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구조모형분석" 한국레크레시션학회 34(2) 205-215. 

  3. 김문겸 (2008) "한국 중년층의 새로운 여가양식: 마라톤" 한국민족문화 31(4) 1-563. 

  4. 김복수 (2005) "한국인의 여가와 미디어 사용." 한국인의 생활시간과 일상생 활I: 생애주기별 접근,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 225-260쪽. 

  5. 김수현?김윤경 (2011) "노년기 여가활동 참여와 성공적 노화인식간의 관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4), 3-23. 

  6. 김용희?장훈?허태균(2010) "여가강박에 관한 개념연구" 여가학연구 8(2)59-82. 

  7. 김정석 (2003) "노년기 관광여가문화의 탐색". 한국노년학 23(1) 43-58. 

  8. 김정석 (2005) "한국 노인들의 일상생활". 한국인의 생활시간과 일상생활I: 생애주기별 접근 한국학중앙연구원. pp. 151-178. 

  9. 김현주.이창현.박소라 (2002) 주5일 근무제 실시에 따른 직장인들의 주말 여가 문화 이용 행태 변화 - 설문조사를 통한 실시 집단과 비실시 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제1회 여가.문화 포럼 - 주5일 근무제 도입과 생활문화의 변화 자료집, 여가.문화학회. pp.24-37. 

  10. 남은영?최유정(2008) "사회계층변수에 따른 여가격차" 한국인구학 31(3). 57-84. 

  11. 세계일보(2007) "휴테크시대, 여가 레져 산업을 공략하라". 2007년10월27일자(47면) 

  12. 손문금 (2005) "여성의 이중부담과 유급노동시간의 주변화" 한국인구학 28(1): 277-311. 

  13. 윤소영 유지윤 이강욱 김향자 노용구 (2007) "여가정책의 영역 및 향후 과제에 대한 제안 연구" 여가학연구5(2): 72-87. 

  14. 윤소영 (2010) "여가에 대한 생애주기관점과 여가생활주기 단계별 모형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28(4), 103-115. 

  15. 윤인진?김상운(2005). "여가활동의 사회집단별 차이와 불평등" 사회과학연구 13(2), 162-203. 

  16. 윤인진?배은식 (2009) "경제활동 여부에 따른 한국인의 여가활동 격차와 특성: 1999년과 2004년 생활시간조사 결과의 비교", 한국인구학회 전기학술대회자료집pp. 503-519. 

  17. 윤인진?배은식(2009) "여가활동의 변화와 경제활동이 여가활동에 미치는 영향: 1999년과 2004년 생활시간조사 결과의 비교" 여가학연구 7(2), 89-111. 

  18. 은기수 차승은 (2010) "한국인의 일상생활에서 남녀의 수면시간과 관련요인탐색" 통계연구 15(2):82-103. 

  19. 은기수 (2009) "한국 기혼부부의 가사노동분업." 한국인구학 32(3): 145-171. 

  20. 조희금 (1997) "사무직 기혼여성부부의 생활시간구조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5(1):1-14. 

  21. 지현진 (2010) 여가생활주기에 따른 시간사용의 차이 비교. 여가학연구 8(2): 127-147. 

  22. 진미정 (2008) "가족구조에 따른 아동의 생활시간 비교" 가족과 문화 20(3): 187-211. 

  23. 차승은 (2008) "중년의 일, 가족, 여가시간 배분유형과 유형결정요인: 취업한 기 혼남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6(1): 103-116. 

  24. 차승은 (2010) "남녀의 시간압박 인식 차이와 관련요인 탐색" 한국인구학 33(1): 27-49. 

  25. 통계청 (2009) 생활시간조사, 원자료. 

  26. 한국관광문화연구원 (2007) 사회성여가 발굴 및 활성화방안 연구 

  27. Argyle, M.(1996) "The Social Psychology of Leisure." London: Penguin. 

  28. Becker, G. (1965) "A Theory of the Allocation of Time" The Economics Journal LXXV(September): 493-517. 

  29. Bianchi, Suzanne M., Lynne M. Casper and Rosalind B. King. (2005) Work, Family, Health and Well-Being. New Jersey: Lawrence. 

  30. Bianchi, Suzanne, John, P. Robinson and Melissa A. Milike. (2006) Changing Rhythms of American Family Life. New York: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31. Daly, K. J. (1996). Families and Time: Keeping Pace in a Hurried Culture. California: Sage. 

  32. Daly, K, J. (2001) Minding The Time In Family Experience: Emerging Perspectives and Issues (Edt). Oxford: Elsevier Science, 2001. 

  33. Gershuny, Jonathan, (2000) Changing Times-Work and Leisure in Postindustrial Society. Oxford Univ. Press. 

  34. Hale, Lauren (2005) "Who has time to sleep?" Journal of Public Health 27(2): 205-211. 

  35. Hochschild, A. (1989) The Second Shift. New York: Avon Books 

  36. Hochschild, A. (1996) Time Bind. New York: Henry Holt. 

  37. Jacobs, J.A. and K. Gerson (2001) "Overworked Individuals or Overworked Families? Explaining Trends in Work, Leisure, and Family Time." Work and Occupation 28(1): 40-63. 

  38. Kraaykamp, G, Wouter. van Gils, and Tanja van der Lippe (2009) "Working Status and Leisure: An Analysis of the Trade-off between Solitary and Social time" Time and Society 18: 264-283. 

  39. Mattingly, M. J. and Linda C. Sayer (2006) "Under Pressure: Gender Difference in Relationship between Free Time and Feeling Rushed."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8(1): 205-221. 

  40. Nomaguchi, K.M., and S. M. Bianchi (2004) "Exercise Tine: Gender difference in the effect of Marriage, Parenthood, and Employment"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6(2): 413-430. 

  41. Robinson, Johnathan P., and G. Godbey (1997) Time for Life: The Surprizing Ways American Use Their Time. University Park, PA: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42. Ruhm, C.J. (2000) "Are recession good for your health?" The Quality Journal of Economics 115(2): 617-650 

  43. Ruhm, C.J. (2002) "Does drinking really decrease in bad times?" Journal of Health Economics 21(4): 656-678. 

  44. Sapkota, S. Bowles, H.R., Ham, and H.W. Kohl III (2005) "Adult Participation in Recommended Level of Physical Activities: United States 2001 and 2003." MMWR 54:1208-1212. 

  45. Schor, J. (1992) The Overworked American: The Unexpected Decline of Leisure New York: Basic Books. 

  46. Shaw, S.M. (2001) "Purposive leisure: Examining Parental Discourses on Family Activities". Leisure Sciences 23(4):217-231. 

  47. Southerton, D. (2003) "Squeezing Time: Allocating Practice Coordinating Networks and Schedualing Society." Time and Society 12(1): 1-25. 

  48. Southerton, D. (2006) "Analysing Temporal Organization of Daily Life: Social Constrains, Practice and Their Allocation." Sociology 40(3): 435-454. 

  49. Tudor-Locke. M. Bittman, F. Merom & A. Bauman (2005) Patterns of Walking for Transportation and Exercise: A Novel Application of Time Use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2(5): 1-10. 

  50. Veblen, T. (1967) The Theory of the Leisure Class New York: Viking Press. 

  51. Virtanen, P., J. Vantera, U. Broms, L. Sillanmaki, M. Kivimaki & M. Koskenvuo (2008) "Employment Trajectory as Determinant of Change in Health-Related Lifestyle: The Prospective HeSSup Study."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18(5): 504-5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