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취업남녀의 시간부족인식과 시간활용: 1999년과 2009년의 생활시간자료 비교
A Study on Perceived Time Pressure and Time Use: Focusing on the Employed Men and Women in Korea by Using 1999 and 2009 Time Diary Data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15 no.3, 2011년, pp.131 - 151  

차승은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ed to estimate the level of perceived lack of time in Korean society, to link it to time management and to identify the possible association that accounts for time shortage. I employed the gender perspective in order to reveal the dynamics and complexity of the perception of a lack...

주제어

참고문헌 (56)

  1. 김용희.장훈.허태균(2010), 여가강박에 관한 개념연구. 여가학연구, 8(2), 59-82. 

  2. 김정석(2005). 한국중년남녀의 무급노동내용과 시간량. 한국인구학, 28(1), 172-201. 

  3. 김정석.은기수.차승은(2010). 일상생활의 시간구조와 시간체험: 유급노동, 무급노동,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통계청용역미간행보고서. 

  4. 류재숙.박연옥.이승곤(2005). 주5일 근무제에 따른 직장인의 여가활동 및 여가만족. 관관영구저널, 19(1), 31-47. 

  5. 민도식(2010). 직장인의 시간활용법: 효율적인 시간관리전략, 지방행정, 59, 76-77. 

  6. 박은정.김외숙(2008). 중학생의 시간관리: 관련변수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1), 41-55. 

  7. 보건복지부(2010). http://www.mw.go.kr. 

  8. 서인주.두경자(2009). 대학생의 시간매트릭스 사용과 시간관리행동. 대한가정학회, 47(8), 13-24. 

  9. 손문금(2005). 맞벌이 부부의 무급노동분담에 관한 실증적연구: 생활시간자료를 중심으로. 페미니즘연구, 5, 239-287 

  10. 손문긍(2010). 서울시민의 이동행동에서의 젠더차이. 한국인구학, 33(1), 1-25. 

  11. 소이.최윤지(2002). 성인남녀의 생활시간 실태 및 결정요인분석: 유급노동시간, 가사노동시간, 육아시간 및 여가시간.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3(3), 53-68. 

  12. 윤대혁(2008). 맞벌이 부부의 가정-직장 균형과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3, 87-109. 

  13. 윤소영.유지원.강욱.김향자.노원국(2007). 여가정책영역 및 향후과제에 대한 제안 연구. 여가학연구, 5(2), 72-87. 

  14. 윤소영(2003). 주5일 근무제와 가족자원의 변화: 남편과 아내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7(2), 81-97. 

  15. 은기수.차승은(2010). 한국의 일상생활에서 남녀의 수면시간과 관련 요인 탐색. 통계연구 15(2), 82-103. 

  16. 이승미.이기영(1990). 주부가 지각한 시간 제약과 가사노동 수행방안. 한국가정관리학회지, 8(1), 16(2), 123-136. 

  17. 이영환.이수재(2007). 미취학자녀를 둔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0(1), 19-25. 

  18. 임문선(2005). 주5일 근무자의 라이프스타일. 광고정보, 6, 106-111. 

  19. 정명기(2010). 독일의 근로시간계좌와 노동 유연성에 관한 연구. 경상논총, 28(2), 29-52. 

  20. 정순희.김현정(2002). 시간제약 소비자의 쇼핑행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6(2), 15-29. 

  21. 지현진(2010). 여가생활주기에 따른 시간 사용의 차이비교. 여가학연구, 8(2), 127-147. 

  22. 차승은(2008). 중년의 일, 가족, 여가시간 배분유형과 유형결정요인: 취업한 기혼남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6(1), 103-116. 

  23. 차승은(2010). 남녀의 시간압박인식차이와 관련요인탐색. 한국인구학, 33(1), 27-49. 

  24. 통계청(2011). http://www.kostat.go.kr. 

  25. Bianchi, Suzanne M., Lynne M. Casper and Rosalind B. King(2005). Work, family, health and well-Being. New Jersey: Lawrence. 

  26. Bianchi, Suzanne, John, P. Robinson and Melissa A. Milike(2006). Changing rhythms of American family life. NewYork: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27. Bird, C.E., & Rieker, P.P.(1999). Gender matters: an integrated model for understanding men's and women's health. Social Science & Medicine, 48(6), 745-755. 

  28. Bittman, M.(2011). The Visible and the hidden: The relationships market and non-market production in creating family welfare. Proceedings fro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amilies as Social Capital, Seoul Korea(May 19-20, 2011). 

  29. Carstensen, L.L.(2006). The influence of sens of time on human development, Science 372, 1913-1915. 

  30. Carstensen, L.L.(2002). Time counts: Future time perspective, goals, and social relationships. Psychology and Aging, 17(1), 125-139. 

  31. Daly, K.J. (1996). Families and time: Keeping pace in a hurried culture. California: Sage. 

  32. Daly, K.J.(2001). Minding the time in family experience: Emerging perspectives and issues (Edt). Oxford: Elsevier Science. 

  33. Dreake, L., Duncan, E., Sutherland, F., Abernety, C., & Henry, C.(2008). Time perspective and correlates of wellbeing. Time and Society, 17, 47-61. 

  34. Garhammer,(2002). Pace of life and enjoyment of life.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3(3), 217-256. 

  35. Gershuny, Jonathan.(2000). Changing timework and leisure in post industrial society, Oxford Univ. Press. 

  36. Gunthrope, W. & Lyons, W.(2004). A predictive model of chronic time pressure in Australian Population: Implications for leisure research. Leisure Science 26, 201-213. 

  37. Hochschild, A.(1989). The second shift, New York: Avon Books. 

  38. Hochschild, A.(1996). Time bind, New York: Henry Holt. 

  39. Lim, T.(2009). An exploratory study of time stress and its causes among government employee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January, 104-115. 

  40. Mattingly, M.J. & Sayer, L.C.(2006). Under pressure: Gender difference in relationship between free time and feeling rushed.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8(1), 205-221. 

  41. Mattingly, M., & Bianchi, S.(2003). Gender difference in quantity and quality of free time: The U.S. experience Social Forces, 81(3), 999-1030. 

  42. Melissa A. M., Mattingly, M., Nomaguchi, K., Bianchi, S., and Robinson, J.P.(2004). The time squeeze: Parental statuses and feelings about time with childre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6(3), 739-761. 

  43. Menzies, H., and Newson, J.(2007). No time to think. Time and Society, 16(1), 83-98. 

  44. Michelson, W.(2005). Time use: Expanding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social sciences. Boulder: Pradime Publishers. 

  45. Moen, Phyllis.(2003). It's about time: Couples and careers. New York: Cornell University Press. 

  46. Norgate, S.(2006). Beyond 9 to 5: Your life in time.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47. Putnam, R.D.(2000).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New York: Simon & Schuster. 

  48. Robinson, J. P., & Godbey, G.(1999). Time for life: The surprising ways Americans use time. University Park, PA: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49. Sayer, Liana.(2005). Gender, time inequality. Social Forces, 84(1), 287-303. 

  50. Schor, J.(1992). The over worked American: The Unexpected Decline of Leisure, New York: Basic Books. 

  51. Schuwarz, B.(2004). The paradox of choice: Why more is better? New York: Harper Colloins. 

  52. Southerton, D.(2003). Squeezing time: Allocating practice coordinating networks and scheduling society. Time and Society, 12(1), 1-25. 

  53. Southerton, D.(2006). Analyzing temporal organization of daily life: Social constrains, practice and their allocation. Sociology, 40(3), 435-454. 

  54. Szollos, A.(2009). Toward psychology of chronic time pressure: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review." Time and Society, 18, 332-350. 

  55. Teuchmann, K., Totterdell, P. and Parker, S.K.(1999). Rushed, unhappy, and drained: An Experience Sampling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time pressure, perceived control, mood, and emotional exhaustion in a proup of accountant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4(1), 37-54. 

  56. Zuzanek, J.(2004). Work, leisure, pressure and stress, in Haworth, H.J. and Veal, A.J. (eds.) Work and Leisure (p.123-144). New York: Routledg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