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의 질의 결정요인 :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The Determinants of Marital Quality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 The Importance of Life Stress and Social Support 원문보기

한국인구학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34 no.1, 2011년, pp.27 - 51  

김현숙 (부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김희재 (부산대학교 사회학과) ,  오중환 (뉴욕시립대학교 사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의 질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사회적 지지와 생활스트레스의 중요성을 탐구한다. 특히 결혼이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결혼의 질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 지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부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가 2009년 "결혼이주여성의 자아 탄력성과 부부 적응"이라는 주제로 실시한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결혼 이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결혼의 질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분석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이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는 결혼의 질에 독립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결혼의 질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부정적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는 생활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함으로써 결혼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의 결혼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회적 지지망의 확충 및 효과적인 지지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social support was related to the relationships between marital quality and stress from life events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The subject of this study included 182 married immigrant women lived in Busa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조방정식모델링에 의한 매개효과모델(mediating effect model)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잠재변수로 사용된 3가지 변수의 각각의 지표들이 이론적 개념 틀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측정모형을 분석하였다. 우선 전체측정모형을 확정하기에 앞서, 개별 잠재변인의 측정도구를 평가하였다.
  • 연구자가 접근할 수 있는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정보는 매우 한정적이기 때문에, 결혼이주여성들이 자주 가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나 복지관 등의 자료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고, 지역사회에 참여를 할 수 없거나 자발적인 참여의사가 없는 결혼이주여성의 사례는 제외될 수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 들이 결혼생활의 안정적 유지에 머물러 있었다면 본 연구는 한 단계 더 나아가 이들의 결혼의 질을 향상시키데 초점을 두었다. 연구결과에서 나타나듯이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의 부정적 효과는 사회적 지지의 존재와 수준이 매우 낮기 때문이다.
  • 이상과 같이 기존의 사회적 지지 효과에 대한 연구는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을 완충시키는 조절변인인 동시에 스트레스 수준에 상관없이 결혼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인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가 매우 낮다는 가정 하에생활스트레스와 결혼의 질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결혼의 질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사회적 지지의 구조를 가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지원을 얼마나 활용하는지를 고려하지 못했다.
  • 본 연구는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결혼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결혼이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결혼의 질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역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결혼의 질 연구는 초기에는 주로 사회인구학적 요인들과 관계를 분석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으나, 차츰 개인적 특성, 상호작용, 그리고 결혼환경으로 확장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결혼의 질을 부부의 상호간의 적응과정으로 두고, 결혼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와 일상생활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볼 것이다.
  •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생활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결혼의 질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생활스트레스와 결혼의 질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결혼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결혼이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결혼의 질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역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결혼의 질, 생활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에 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생활스트레스가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하여 결혼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모델을 평가하였다.
  •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생활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결혼의 질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생활스트레스와 결혼의 질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에서 생활스트레스 및 결혼의 질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 하는 사회적 지지를 두 변인의 매개변수로 설정한 <그림 1>의 연구모형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의 국제결혼 부부의 이혼 추세는? 2009년 현재 한국의 국제결혼 건수는 33,300건으로 전체 결혼 건수의 10%를 넘어서고 있으며, 이는 1990년에 비해 무려 10배 이상 증가한 수치이다(통계청, 2009). 한국의 국제결혼 부부의 이혼 역시 2002년 1,744건에서 2009년 11,692건으로 7년 동안 약 6.7배나 증가했다. 2009년엔 결혼한 3쌍 중 1쌍이 이혼을 했 으며, 외국인 아내와의 이혼이 외국인 남편과의 이혼보다 약 3배 더 많았다.
국제결혼에서 외국인 아내와의 이혼은 결혼지속기간과 관계가 있는가? 2009년엔 결혼한 3쌍 중 1쌍이 이혼을 했 으며, 외국인 아내와의 이혼이 외국인 남편과의 이혼보다 약 3배 더 많았다. 또한 외국인 아내의 이혼은 50대를 제외하고 전 연령층에서 골고루 나타나고 있어, 이들의 이혼이 결혼지속기간과는 상관관계가 없으며, 오히려 갈등이 내재된 상태가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09년 한국의 국제결혼 건수는? 최근 한국에서 인종적, 민족적 배경이 다른 국제결혼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2009년 현재 한국의 국제결혼 건수는 33,300건으로 전체 결혼 건수의 10%를 넘어서고 있으며, 이는 1990년에 비해 무려 10배 이상 증가한 수치이다(통계청, 2009). 한국의 국제결혼 부부의 이혼 역시 2002년 1,744건에서 2009년 11,692건으로 7년 동안 약 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김두섭?이명진 (2007) "국제결혼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상이성과 결혼 안정성" > 30(3): 33-56. 

  2. 김오남 (2006)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 18(3): 63-106. 

  3. 김현숙 (2007) "결혼이주여성의 사회통합 유형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윤형숙 (2005) "외국인 출신 농촌주부들의 갈등과 적응" > 8(2): 299-339. 

  5. 이경성?한덕웅 (2003) "결혼적응검사의 개발" > 8(3): 679-705. 

  6. 이은주 (2007) "결혼이민여성 부부집단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에 관한 시론적 연구" > 19(1): 29-60. 

  7. 이혜경 (2005) "혼인이주와 혼인이주 가정의 문제와 대응" > 28(1): 73-106. 

  8.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정책본부 (2009) > 법무부. 

  9. Adams, G. A., L. A. King and D. W. King (1996) "Relationships of Job and Family Involvement, Family Social Support, and Work-Family Conflict with Job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1: 411-420. 

  10. Almeida D. M. and R. C. Kessler (1998) "Everyday Stressors and Gender Differences in Daily Distr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3): 670-680. 

  11. Amoto P. R., A. Booth, D. R. Johnson and S. J. Rogers (2007) Alone together: How Marriage in America is Changing, Havard University Press. 

  12. Beach S. R. H. and M. Gupta (2006) "Directive and Nondirective Spousal Support: Differential Effects?"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32(4): 465-477. 

  13. Bodenmann, G. and A. Cina (2006) "Stress and Coping among Stable-Satisfied, Stable-Distressed and Separated/ Divorced Swiss Couples: A 5-year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Divorce and Remarriage 44(1-2): 71-89. 

  14. Bodenmann G., T. Ledermann and T. N. Bradbury (2007) "Stress, Sex, and Satisfaction in Marriage" Personal Relationships 14(4): 551-569. 

  15. Bradbury, T. N., F. D. Fincham and S. R. H. Beach (2000) "Research on the Nature and Determinants of Marital Satisfaction: A Decade in Review"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2(4): 964-980. 

  16. Burleson B. R. (2003) "The Experience and Effects of Emotional Support: What the Study of Cultural and Gender Differences Can Tell Us about Close Relationships, Emotion,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Personal Relationships 10(1): 1-23. 

  17. Cohen, S. (1988) "Psychological Models of the Role the Social Support in the Etiology of Physical Disease" Health Psychology 7(3): 269-297. 

  18. Cohen S. and H. M. Hoberman (2006)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2): 99-125. 

  19. Cohen, S. and T. A. Wills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2): 310-357. 

  20. Cohan, C. L. and T. N. Bradbury (1997) "Negative Life Events, Marital Interaction, and the Longitudinal Course of Newlywed Marriag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1): 114-128. 

  21. Debra U. and K. Williams (2005) "Marital Quality, Health, and Aging: Gender Equity?"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60(B): 109-113. 

  22. Dehle C., D. Larsen and J. E. Landers (2001) "Social Support in Marriage"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29(4): 307-324. 

  23. DeLongis A., S. Folkman, and R. S. Lazarus (1988) "The Impact of Daily Stress on Health and Mood: Psychological and Social Resources as Mediato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3): 486-493. 

  24. Fincham F. D. and T. N. Bradbury (1990) "Social Support in Marriage: the Role of Social Cognition"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9(1): 31-42. 

  25. Folkman. S., R. S. Lazarus, C. Dunkel-Shetter, A. DeLongis and R. J. Gruen (1986) "Dynamics of a Stressful Encounter: Cognitive Appraisal, Coping, and Encounter Outcom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0(5): 992-1003. 

  26. Frone, M. R., J. K. Yardley and K. S. Markel (1997) "Developing and Testing an Integrative Model of the Work-Family Interfa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0(2): 145-167. 

  27. Frone, M. R., M. Russell and M. L. Cooper (1992) "Antecedents and Outcomes of Work-Family Conflict: Testing a Model of the Work-Family Interfa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7(1): 65-78. 

  28. Greene, V. L. (1983) "Substitution Between Formally and Informally Provided Care for the Impaired Elderly in the Community" Medical Care 21(6): 609-619. 

  29. Harper, J. M., Schaalje, B. G., and J. G. Sandberg (2000) "Daily Hassles, Intimacy, and Marital Quality in Later Life Marriag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28(1): 1-18. 

  30. Hendrick, S. S. and C. Hendrick (2002) "Linking Romantic Love with Sex: Development of the Perceptions of Love and Sex Scale"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19(3): 361-378. 

  31. Hohmann-Marriott B. E. and P. Amoto (2008) "Relationship Quality in Inter-Ethnic Marriages and Cohabitations" Social Forces 87(2): 825-855. 

  32. Holman, T. B. (2001) Premarital Prediction of Marital Quality or Breakup New York: Kluwer Academic/Plenum. 

  33. House, J. S., K. R. Landis, and D. Umberson (1988) "Social Relationships and Health" Science 4865: 540-545. 

  34. Kamp Dush C. M., C. L. Cohen, P. R. Amato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Cohabitation and Marital Quality and Stability: Change across Cohort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5(3): 539-549. 

  35. Karney, B. R. and T. N. Bradbury (1995) "The Longitudinal Course of Marital Quality and Stability: a Review of Theory, Method, and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118(1): 3-34. 

  36. Kessler, R. C., J. D. McLeod and E. Wethington (1985) "The Costs of Caring: A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x and Psychological Distress" pp. 491-506 In Social Support: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edited by I. G. Arason and B. R. Sarason, The Hague, The Netherlands: Martinus Nijoff. 

  37. Killian, K. D. (2001) "Crossing Borders: Race, Gender, and their Intersection in Interracial Couples" Journal of Feminist Family Therapy 13(1): 1-31. 

  38. Logan, T. R. and G. Spitze (1994) "Informal Support and the Use of Formal Services by Older Americans" The Journal of Gerontology 49(1): 24-34. 

  39. Luke, C. and V. Carrington (2000) "Race Matters" Journal of Intercultural Studies 21(1): 5-22. 

  40. McCubbin H. I., J. M. Patterson and L. R. Wilson (1985) "FILE: Family Inventory of Life Events and Changes" pp. 81-100 in Family Assessment; Inventories for Research and Practice, edited by H. I. McCubbin and A. I. Thompson,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41. McCubbin H. I., A. I. Thompson, E. A. Thompson, K. M. Elver and M. A. McCubbin (1998) "Ethnicity, Schema, and Coherence: Appraisal Processes for Families in Crisis" In Stress, Coping, and Health in Families: Sense of Coherence and Resiliency, edited by McCubbin H. I., E. A. Thompson, A. I. Thompson, and J. E. Fromer, Thousand Oaks, CA: Sage. 

  42. Mickelson K. D., S. T. Claffey and S. L. Williams (2006) "The Moderating Role of Gender and Gender Role Attitudes on the Link between Spousal Support and Marital Quality" Sex Roles 55(1-2): 73-82. 

  43. Okun, B. (1996) Understanding Diverse Families New York: Guilford. 

  44. Pasch, L. A. and T. N. Bradbury (1998) "Social Support, Conflict, and the Development of Marital Dysfunc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6(2): 219-230. 

  45. Parasuraman, S., Y. S. Purohit, and V. M. Gosshalk (1996) "Work and Family Variables, Entrepreneurial Career Succ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8(3): 275-300. 

  46. Ross C. E. (1995) "Reconceptualizing Marital Status as a Continuum of Social Attachmen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7(1): 129-140. 

  47. Spanier, G. B. (1976) "Further Evidence on Methodological Weaknesses in the Locke-Wallace Marital Adjustment Scale and Other Measures of Adjustmen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4: 403-414. 

  48. Stone A. A., E. Kennedy-Moore, and J. M. Neale (1995) "Association between Daily Coping and End-of-Day Mood" Health Psychology 14(4): 341-349. 

  49. Story L. B., and T. N. Bradbury (2004) "Understanding Marriage and Stress: Essential Questions and Challenges" Clinical Psychology Review 23(8): 1139-1162. 

  50. Thoits P. A. (1995) "Stress, Coping, and Social Support Processes: Where Are We? What Next?"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5: 53-79. 

  51. Thomas N. Bradbury, Frank D. Fincham and Steven R. H. Beach (2000) "Research on the Nature and Determinants of Marital Satisfaction: a Decade in Review"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2(4): 964-980. 

  52. Umberson, D., K. Williams, D. Powers, H. Liu, and B. Needham (2006) "You Make Me Sick: Marital Quality and Health Over the Life Cours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7(March): 1-16. 

  53. Wheaton, B. (1985) "Models of the Stress-Buffering Functions of Coping Resource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6(4): 352-364. 

  54. Wheaton, B. (1999) Handbook of the Sociology of Mental Health US: Springer. 

  55. Zimet G. D., N. W. Dahlem, S. G. Zimet, and G. K. Farley (1988) "The Multi 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1): 30-4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