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결중심단기놀이치료의 개발과 치료 기법에 대한 아동의 반응
Development of a Solution-Focused Brief Play Therapy and Children's Responses to Its Therapeutic Techniques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9 no.3, 2011년, pp.39 - 53  

김태은 (연세대학교 아동.가족상담센터) ,  정문자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olution-Focused Brief Play Therapy' and analyze children's responses to its various therapeutic techniques. The participants were three boys and three girls, all aged between 11 and 10 years, living in an orphanage on the outskirts of Seoul. Each child r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결중심단기치료 구조의 가장 큰 특징은 무엇인가? 해결중심단기치료 구조의 가장 큰 특징은 ‘문제 파악을 위한 대화(problem talk)’를 피하는 것이다. 문제에 집중하는 것이 해결책 모색을 비효율적으로 만들어 치료를 장기화 시키고 해결책 탐색을 저해한다고 보기 때문이다(Selekman, 1997).
해결중심단기치료모델은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데 큰 효과를 거두어 왔는가? 해결중심단기치료(Solution Focused Brief Therapy: SFBT)는 문제를 찾기 보다는 내담자가 이미 가지고 있는 강점과 자원에 초점을 맞추는 강점 관점을 바탕으로 내담자가 원하는 해결책을 찾기 위해 노력함으로서 단기치료를 지향하는 모델이다(정문자, 송성자, 이영분, 김유순, 김은영, 2008). 이 치료 모델은 내담자의 사고체계를 변화시킴으로써 내담자의 정서 조절력과 문제 해결력을 증진시켰고 강점과 자원 발견을 통해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내담자의 행동과 정서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큰 효과를 거두어 왔다(정문자, 김진이, 김태은, 김수지, 2007; 정문자, 김진이, 이현주, 2005; 탁정미, 홍경자, 2005). 해결중심단기치료는 최근 들어 증가하고 심화되고 있는 아동의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는데도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김희정, 2007; Corcoran & Stephenson, 2000).
해결중심단기치료란 어떤 모델인가? 해결중심단기치료(Solution Focused Brief Therapy: SFBT)는 문제를 찾기 보다는 내담자가 이미 가지고 있는 강점과 자원에 초점을 맞추는 강점 관점을 바탕으로 내담자가 원하는 해결책을 찾기 위해 노력함으로서 단기치료를 지향하는 모델이다(정문자, 송성자, 이영분, 김유순, 김은영, 2008). 이 치료 모델은 내담자의 사고체계를 변화시킴으로써 내담자의 정서 조절력과 문제 해결력을 증진시켰고 강점과 자원 발견을 통해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내담자의 행동과 정서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큰 효과를 거두어 왔다(정문자, 김진이, 김태은, 김수지, 2007; 정문자, 김진이, 이현주, 2005; 탁정미, 홍경자,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8)

  1. 강예리, 안창일(2004). 우울한 아동에 대한 집단 놀이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3), 541-558. 

  2. 강진구(2004). 단기상담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곽영숙(2000). 놀이정신치료. 소아.청소년 정신의학, 11(2), 161-178. 

  4. 김계현(1994). 상담심리학의 최근 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과 심리치료, 6(1), 142-165. 

  5. 김광웅, 유미숙, 유재령(2004). 놀이치료학. 서울: 학지사. 

  6. 김영희(2002). 놀이를 잘 하는 아동의 특성에 대한 연구. 놀이치료연구, 5(2), 3-15. 

  7. 김유숙(2007). 가족상담. 서울: 학지사. 

  8. 김인수, 송성자, 정문자, 이영분, 김유숙(1998). 무엇이 좋아졌습니까?. 서울: 동인. 

  9. 김희정(2007). 문제아동을 위한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5(2), 277-299. 

  10. 서진환, 이선혜, 신영화(2004). 한국의 가족치료 임상현장: 전국현장조사. "한국가족치료 어디까지 왔나?" 한국가족 치료학회 제 19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37-80. 

  11. 송성자, 어주경, 양혜원, 서해정(2005). 가정폭력 피해자 치유프로그램. 서울: 여성가족부. 

  12. 정문자, 김은영(2005). 이혼 부모와 자녀의 건강한 사회적응을 위한 통합적 집단치료 모형개발. 대한가정학회지, 43(3), 161-183. 

  13. 정문자, 김진이, 김태은, 김수지(2007). 아동의 리더십 증진을 위한 통합적 프로그램의 효과. 아동학회지, 28(4), 229-244. 

  14. 정문자, 김진이, 이현주(2005). 이혼 가정의 아동과 어머니의 사회적응을 위한 통합적 집단치료의 효과성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3(6), 145-168. 

  15. 정문자, 송성자(2001). 보호처분을 받은 비행청소년을 위한 집단치료 프로그램 모형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9(12), 239-251. 

  16. 정문자, 송성자, 이영분, 김유순, 김은영(2008). 해결중심단기치료. 서울: 학지사. 

  17. 정문자, 어주경(2004). 학교 부적응 아동을 위한 해결중심집단상담의 개발 및 평가.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2(1), 107-139. 

  18. 최정은, 김성천(2006). 해결중심 집단상담이 시설거주 가출 소녀의 자아존중감과 생활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4(2), 23-52. 

  19. 탁정미, 홍경자(2005). 해결중심 단기상담이 대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자기 평가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복지연구, 7(2), 121-141. 

  20. 황명숙(2006). 아동 중심 놀이치료-아이 사랑 클리닉. 서울: 창지사. 

  21. Anderson, H., & Goolishian, H.(1992). The client is the expert: A not-knowing approach to therapy. In S. McNamee & K. Gergen(Eds.), Therapy as social construction. CA: Sage Publications. 

  22. Association for Play Therapy(1997). A definition of play therapy. The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Newsletter, 16(1), 7. 

  23. Berg, I. K.(1994). Family based service: A solution-focused approach. New York: Norton. 

  24. Berg, I. K., & de Shazer, S.(1993). Making numbers talks: Language in therapy. In S. Friedman(Ed.), New language of change. New York: Guilford. 

  25. Berg, I. K., & Steiner, T.(2003). Children's solution work. NY: Norton & Company. 

  26. Chethick, M.(2000). Techniques of child therapy- Psychodynamics strategies. NY: The Guilford Press. 

  27. Corcoran, J., & Stephenson, M.(2000). The effectiveness of Solution focused therapy with child behavior problems: A preliminary report. Families in Society. The Journal of Contemporary Human Services, 468-474. 

  28. Creswell, J. W.(2002).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CA: Sage Publications. 질적연구방법론: 다섯가지 전통.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공역). 서울: 학지사. (1998년 원저발간) 

  29. De Jong, P., & Miller, S.(1995). How to interview for client strengths. Social work, 40(6), 729-736. 

  30. de Shazer, S.(1982). Patterns of brief family therapy. New York: Guilford Press. 

  31. de Shazer, S.(1984). The death of resistance. Family Process. 23, 11-21. 

  32. de Shazer, S.(1988). Clues: Investigating solutions in brief therapy. New York: Norton. 

  33. Eakes, G., Walch, S., Markowski, M., Cain, H., & Swanson, M.(1997). Family centered brief solution-focused therapy with chronic schizophrenia: a pilot study. The association for Family Therapy and Systemic Practice, 19, 145-158. 

  34. Erdman, P., & Lampe, R.(1996). Adapting basic skills to counsel children.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74, 374-377. 

  35. Esman, A.(1983). Psychoanalystic paly therapy. In Schaefer, C., & O'Connor, K., Hand book of play therapy. NY: Wiley. 

  36. Estrada, B., & Beyebach, M.(2007). Solution-Focused Therapy with Depressed Deaf Persons. Journal of Family Psychotherapy, 18(3), 45-63. 

  37. Gil, E.(1994). Play in family therapy. NY: Guilford Press. 

  38. Gingerich, W. J., & Eisengart, S.(2000). Solution-Focused Brief Therapy: A Review of the Outcome Research. Family Process, 39(4), 477-498. 

  39. Guba, E., & Lincoln. Y.(1981). Effective evaluation. San Francisco: Jossy Bass. 

  40. Hatch, J. A.(2008). Doing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settings.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교육상황에서 질적 연구 수행하기. 진영은(역). 서울: 학지사. (2002년 원저발간) 

  41. Knell, S. M.(1997). Cognitive-Behavioral play therapy. In O'Connor, K., & Braverman, L.(1997). Eds. Play therapy theory and practice. NY: Wiley & Sons. 

  42. Landreth, G.(1991). Play therapy: The art of the relationship. IN: Accelerated Development. 

  43. Landreth, G.(1997). Child centered paly therapy. In O'Connor, K., & Braverman, L.(1997). Eds. Play therapy theory and practice. NY: Wiley & Sons. 

  44. Lethem, J.(1994). Moved to tears, moved to action: Solution focused brief therapy with woman and child. London: B.T. 

  45. Lethem, J.(2002). Brief solution focused therapy.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7(4), 189-192. 

  46. Lipchik, E.(1993). "Both/and" solution. In the new language of change, S. Friedman, ed. NY: Guilford Press. 

  47. McMahon, L.(1992). The handbook of play therapy. New York and London: Routledg. 

  48. Nims, D. R.(2007). Integrating play therapy techniques into solution-focused brief therapy.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16(1), 54-68. 

  49. O'Connor, K. J.(2000). The play therapy primer. NY: Wiley & Sons. 

  50. O' Hanlon, W. H., & Weiner-Davis, M.(1989). In search of solutions: A new direction in psychotherapy. New York: Norton. 

  51. Ray, D. C., Schottelkorb, A., & Tasi, M. H.(2007). Play therapy with children exhibiting symptom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16(2), 95-111. 

  52. Schaefer, C.(1993). What is play and why is therapeutic? In Schaefer(Ed.). The therapeutic power of play. Northwale, NJ: Jason Aronson. 

  53. Schaefer, C.(1998). Paly therapy: critical issue for the next millennium. 임연화(역). 새로운 밀레니엄을 향한 놀이치료의 주요과제. 놀이치료연구, 2(1), 3-11. 

  54. Selekman, M. D.(1997). Solution focused therapy with children. New York: The Guilford Press. 

  55. Solves, R., & Peterlin, K.(1993). Time limit play therapy. In T. Kottman, C. Scheafer, Play therapy in action. Paterson Marsh. 

  56. Trebing, J.(2000). Short-term solution-oriented play for children of divorced parents. In H. G. Ksduson & C. E. Schaefer(Eds.), Short-term play therapy for children(pp. 144-174). New York: Guilford Press. 

  57. Van Velsor, P.(2004). Revisiting basic counseling skills with children.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82(3), 313-318. 

  58. Weick, A.(1992). Building a strengths perspective for social work. In D. Saleeey, The strengths perspective in social work practice. NY: Longm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