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설보호 아동의 기질 및 사회적 지지와 긍정적.부정적 정서의 관계
Temperament and Social Support in Relation to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9 no.3, 2011년, pp.79 - 86  

문지윤 (고려대학교 가정학과) ,  임정하 (고려대학교 가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emperament, social support and positive, as well as negative emotions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198 children aged from 10 to 13 years old. They were recruited from 20 childcare facilities in Seoul. Data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부정적 정서변인에 국한하지 않고, 긍정적·부정적 정서를 통합적으로 포함해 시설보호 아동의 정서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를 모두 고려하여 기질과 성별, 사회적 지지가 시설보호 아동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시설보호 아동은 보육사를 심리적 부모(psychological parenting)로 여기고 시설내 다른 아동과 형제관계를 이루게 된다(정선욱, 2006a, 2006b).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설에서 함께 생활하는 보육사와 시설내 다른 아동을 시설가족으로 정의하였다. 다시 말해 시설보호 아동이 대부분의 일상 시간을 교류하는 친구, 시설가족, 학교교사를 주된 지지원으로 보고 이들과의 관계를 통해 시설보호 아동이 얻는 사회적 지지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시설보호 아동의 기질 및 사회적 지지와 긍정적·부정적 정서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 특히, 시설 보호 아동의 긍정적인 적응과 발달을 이루는 데 후천적으로 도움이 가능한 사회적 지지의 역할에 주안점을 두고 성별, 기질 및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긍정적·부정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시설보호 아동의 건강한 적응을 돕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정리하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시설보호 아동의 성별에 따라 연구변인들의 경향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유전적 요인(성별, 기질)과 환경적 요인(사회적 지지)을 구분하여 이들이 아동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시설 보호 아동의 긍정적인 적응과 발달을 이루는 데 후천적으로 도움이 가능한 사회적 지지의 역할에 주안점을 두고 성별, 기질 및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긍정적·부정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한다.
  • 특히, 시설 보호 아동의 긍정적인 적응과 발달을 이루는 데 후천적으로 도움이 가능한 사회적 지지의 역할에 주안점을 두고 성별, 기질 및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긍정적·부정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게 어떻게 나뉘는가? 정서는 개인의 심리, 사회, 행동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인간의 생존과 적응에 필수적인 것이다(Lazarus, 1991).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유전적 요인 중 하나인 기질은 비교적 안정적이고 일관성 있는 개인차로서 환경에 반응하는 개인의 행동양식(Thomas & Chess, 1977) 또는 개인의 타고난 성격적 특성(Buss & Plomin, 1984)을 의미한다.
환경적 요인 중 하나인 사회적 지지의 의미는 무엇인가? 환경적 요인 중 하나인 사회적 지지는 정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사회적 지지는 타인을 통해 제공되는 환경적인 자원으로 한 개인이 주변의 다른 이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긍정적 자원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긍정적 정서 수준이 높다(Cohen & Hoberman, 1983).
시설이나 아동임시 보호소에 맡겨지는 아동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가정은 아동의 정신건강과 성격발달의 기초가 되는 장으로 이곳에서 일어나는 구성원과의 기본적인 상호작용은 아동의 정서와 행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우리 사회는 최근 들어 경제 상태가 악화되면서 가정이 해체되는 경우가 늘어나 시설이나 아동임시 보호소에 맡겨지는 아동이 증가하고 있다(강경미, 2008). 2009년 보건복지부에서 제시한 아동복지시설현황에서는 시설에 입소한 아동의 3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강경미(2008). 한국의 가족변화에 따른 아동양육시설(보육원)의 실태와 기독교상담의 역할. 성경과 신학, 46, 219-234. 

  2. 김경진(2003). 사회복지 시설아동의 정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전지역 시설아동을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임지영, 한영석(2003). 한국성인의 행복한 삶의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2), 415-442. 

  4. 김명숙(1995).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부적응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민희, 민경환(2004). 노년기 정서경험과 정서조절의 특징.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3(2), 1-21. 

  6. 김보람, 이경숙, 박진아, 이지성(2008). 시설보호아동의 인성과 정서 및 행동문제: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3(1), 43-61. 

  7. 김용희(2009). 아동의 부모 분리개별화와 애착이 긍정 정서 및 부정 정서에 미치는 영향: 행동적 자율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1), 107-124. 

  8. 김진주, 구자영, 허성용, 서은국(2007). 정서 경험의 긍정성 비율과 번영.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3), 89-100. 

  9. 김진희(2003). 원가족 접촉에 따른 시설보호 아동의 행동문제 비교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노혜련, 장정순(1998). 육아시설아동의 심리사회적 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34(4), 45-67. 

  11. 박영준(1997). 육아시설아동의 생활환경요인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개발연구, 3(2), 133-155. 

  12. 박용택(1994). 시설아동의 양육환경과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한국아동복지학, 2, 205-225. 

  13. 보건복지부(2003). 아동복지시설 생활아동 복지증진방안 연구. 정책보고서 2003-89. 

  14. 안정하, 조옥귀(2002). 아동이 지각한 중요한 타인의 기대, 아동의 공격성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인문논총, 15, 55-74. 

  15. 유미숙(1980). 보호시설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성격특성 비교: MMPI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유안진, 민하영, 권기남(2001). 시설 아동의 자아정체감과 심리, 사회적 적용: 학령기 아동과 청소년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9(3), 135-149. 

  17. 유안진, 한유진, 최나야(2002). 시설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지각과 공격성 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0(3), 67-82. 

  18. 이은경(2006). 아동용 정서경험 척도 개발 연구: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이은경, 이양희(2006). 아동용 정서경험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9(4), 93-115. 

  20. 장은혜, 임혜진, 이영창, 정순철, 손진훈(2005). 긍정정서와 부정정서에 따른 아동의 안면근육반응 차이. 한국감성과학회지: 감성과학, 8(2), 161-167. 

  21. 정선욱(2006a). 시설보호 아동의 보육사 관계 경험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21, 115-144. 

  22. 정선욱(2006b). 시설보호 아동의 시설 생활 경험연구 -비혈연 형제관계를 중심으로. 아동권리연구, 10(2), 151-183. 

  23. 정선욱(2009). 시설보호 청소년이 경험하는 시설 생활의 의미. 한국청소년연구, 20(3), 193-219. 

  24. 한덕웅, 표승연(2002). 정서경험에 따른 주관안녕, 건강지각 및 신체질병의 예측.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3), 403-427. 

  25. 한미현(1996).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지각과 행동문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한세영(1996).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적 부조화에 따른 어머니의 일상적 양육 스트레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한지현, 이진숙(2007). 시설보호아동과 일반아동의 내외통제소재와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우울의 관계. 아동학회지, 28(6), 155-168. 

  28. Blennow, I. P., & McNeil, T. F.(1980). Questionnaire for measurement of temperament in one-and two yearold children.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21, 37-46. 

  29. Buss, A. H., & Plomin, R.(1984). Temperament: Early developing personality traits. Hillsid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0. Cohen, S., & Hoberman, H.(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as buffers of lif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3, 99-125. 

  31. Diener, E.(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32. Diener, E., Suh, E., Lucas, R., & Smith, H.(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 276-302. 

  33. Dubow, E. F., & Ulman, D. G.(1989). Assessing social suppor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rvey of children's social support.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8(1), 52-64. 

  34. Feingold, A.(1994). Gender differences in personality: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16, 429-456. 

  35. Fredrickson, B. L.(2001).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American Psychologist, 56, 218-226. 

  36. Gauvain, M., & Fagot, B. L.(1995). Child temperament as a mediator of mother-toddler problem solving. Social Development, 4, 257-276. 

  37. Haring, M., Stock, W. A., & Okun, M. A.(1984). A research synthesis of gender and social class as correlates of subjective well-being. Human Relations, 37, 645-657. 

  38. Hunter, F., & Youniss, J.(1982). Changes in function of three relations during adolescence. Developmental Psychology, 18(6), 806-811. 

  39. Lazarus, R. S.(1991). Emotion and adapt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0. Lazarus, R. S., & Lazarus, B. N.(1994). Passion & Reason: Making sense of our emotions.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41. Meehl, P. E.(1975). Hedonic capacity: Some conjectures. Bulletin of the Menninger Clinic, 39, 295-307. 

  42. Quamma, J., & Greenberg, M.(1994). Children's experience of life stress: The role of family social support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as protective factors.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3, 295-305. 

  43. Sandler, I. N.(1980). Social support resources, stress and maladjustment of poor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8, 285-302. 

  44. Suh, E., Diener, E., & Fujita, F.(1996). Events and subjective well-being: Only recent events matte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5), 1091-1102. 

  45. Thomas, A., & Chess, S.(1977). Temperament and development. New York: Brunner/Mazel. 

  46. Turner, R. J.(1981). Social support as contingency in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2(4), 357-367. 

  47. Vorria, P., Rutter, M., Pickles, A., Wolkind, S., & Hobsbaum, A.(1998). A comparative study of Greek children in long-term residential group care and in two parent families: II. Possible mediating mechanisms. Th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9, 225-236. 

  48. Watson, D., & Tellegen, A.(1985). Toward a consensual structure of mood. Psychological Bulletin, 98, 219-235. 

  49. Wood, W., Rhodes, N., & Whelan, M.(1989). Sex differences in positive well-being: a consideration of emotional style and marital status. Psychological Bulletin, 49, 1169-11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