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자 당뇨병 혈당 조절군과 비조절군의 당뇨병 관련 특성 비교
Diabetes-related Characteristics in Men with Diabetes for the Glucose Control Group and Noncontrol Group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8 no.2, 2011년, pp.152 - 159  

김경희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김지수 (한림성심대학 간호과) ,  이은경 (중앙대학교병원 간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glycemic control in men with diabetes. Methods: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 2008 collected by the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and t-test. Results: Th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남자 당뇨병 대상자의 혈당 조절 정도를 파악하고 혈당 조절군과 비조절군의 당뇨병 관련 특성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남자 당뇨병 대상자의 혈당 조절 정도를 파악하고, 혈당 조절군과 비조절군의 당뇨병 관련 특성의 차이를 확인하여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최근 유병률이 높은 남자 당뇨병 대상자의 혈당 조절 정도를 파악하고 혈당 조절군과 비조절군 간 개인적 요인, 신체적ㆍ정신적 건강관련 요인 및 치료지시 이행 관련 요인의 차이를 파악하여 당뇨병 대상자의 합병증을 예방하고 혈당 조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 중재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당뇨병 대상자의 혈당 조절 정도를 파악하고, 혈당 조절군과 비조절군 간 개인적 요인, 신체적ㆍ 정신적 건강관련 요인 및 치료지시 이행관련 요인의 차이를 확인하여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조사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최근 유병률이 높은 남자 당뇨병 대상자의 혈당 조절 정도를 파악하고 혈당 조절군과 비조절군의 다차원적인 당뇨병 관련 특성의 차이를 확인하여 당뇨병 대상자의 혈당 조절에 대한 이해와 당뇨병 대상자의 혈당조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 중재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 세계적으로 2010년 당뇨병 유병율은 얼마인가? 전 세계적으로 2010년 당뇨병 유병율은 6.4%로 20세 이상 성인 중 대략 2억 8천명이 당뇨병 유병자로 예측되고 있다(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2010). 우리나라 역시 30세 이상 당뇨병 유병률은 9.
우리나라 50대에서의 남성의 당뇨병 유병률은 얼마인가? 7%이며 특히 50대에서의 여성 유병율 9.8%에 비해 남성의 유병율은 16.6%로 약 2배 정도 높게 보고되고 있다(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더욱이 2009년 사망원인통계 결과 우리나라에서 당뇨병으로 인한 사망은 인구 10만 명당 19.
최근 유병률이 높은 남자 당뇨병 대상자의 혈당 조절 정도를 파악하고 혈당 조절군과 비조절군 간 개인적 요인, 신체적ㆍ정신적 건강관련 요인 및 치료지시 이행 관련 요인의 차이를 파악하여 당뇨병 대상자의 합병증을 예방하고 혈당 조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 중재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본 연구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제시된 혈당 조절군과 비조절군 간 차이가 나타난 변수와 선행연구 결과들 간에 일관성이 없음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당뇨병 환자들의 배경이 다양하므로 임상과 지역사회 현장에서 효과 적인 당뇨병 관리를 위해서는 개인적인 배경을 고려한 개별적인 접근을 통해 대상자의 혈당을 조절하고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한 이차분석이었기 때문에 포괄적인 당뇨병 관련 변수를 분석하는데 제한점이 있었으며 관련 변인들의 연관성에 대한 전후관계를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gardh, E. E., Ahlbom, A., Andersson, T., Efendic, S., Grill, V., Hallqvist, J., et al. (2007). Socio-economic position at three points in life in association with type 2 diabetes and impaired glucose tolerance in middle aged Swedish men and women.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36, 84-92. 

  2. An, K. H., Han, K. A., & Min, K. W. (2005). Long term effects of exercise on waist-hip ratio, BMI, HbA1C. Korean Diabetes Journal, 29, 526-532. 

  3. Chae, Y. H., & Son, S. K. (2000). Effects of individual nursing education on self-efficacy and sick-roll behavior in diabetes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6, 103-114. 

  4. Chaput, J. P., Despres, J. P., Bouchard, C., Asrtup, A., Tremblay, A. (2009). Sleep duration as a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type 2 diabetes or impaired glucose tolerance: analyses of the Quebec Family Study. Sleep Medicine, 10, 919-924. 

  5. Choi, E. J. (2007). Factors related to glycemic control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6. Eom, Y. S., Yang, S. M., Oh, P. C., Lee, J. H., Lee, K. Y., Kim, Y. S, et al. (2008). Association of educational level and socioeconomic status with glucose metabolism. Korean Diabetes Journal, 32, 377-385. 

  7. Gaede, P., Vedel, P., Larsen, N., Jensen, G. V. H., Parving, H-H., Pedersen, O. (2003). Multifactorial interven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48, 383-393. 

  8. Hwang, I. C., Kim, K. K., Choi, C. H., Lee, K. S., Suh, H. S. (2010).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sleep satisfaction and metabolic syndrome.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0, 71-77. 

  9.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2010). Prevalence estimates of diabetes mellitus (DM). Retrieved January 10, 2011, from the web site http://www.diabetesatlas.org/content/prevalence-estimates-diabetes-mellitus-dm-2010 

  10. Kim, C. S., Jeong, E. K., Park, J. N., Cho, M. H., Nam, J. S., Kim, H. J. (2005).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Fasting plasma glucose by the ADA creteria) and impaired fasting glucose according to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and dietary habits - 199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 Korean Diabetes Journal, 29, 1-16. 

  11. Kim, H. S. (2003). A survey of blood glucose testing, medication, diet, and exercise adherence in Korea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s of Nursing, 10, 181-186. 

  12. Kim, J. H, & Chang, S. A. (2009). Effect of diabetes education program on glycemic control and self management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Korean Diabetes Journal, 33, 518-525. 

  13. Kim, S. Y., Lee, J. H., Kim, H. N., Kim, D. K., Na, Y., Kim, G. S., et al. (2009). Depression and self-care behavior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Korean Diabetes Journal, 33, 432-438. 

  14. Koh, W. K., Kim, T. M., & Cho,i S. B. (2006). A study on efficient case-management based on analysis of the behavior and blood sugar value of diabetes patients: focus on patients in Busan and Kyungnam.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8, 2195-2204. 

  1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he 4th period first year). Seoul: Korea Ministry of Health & Welfare. 

  16.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07). Treatment guideline for diabetes. Seoul: MMK Communications. 

  17.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9).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Seoul: Author. 

  18. Knutson, K. L., Ryden, A. M., Mander, B. A., & Cauter, E. V. (2006). Role of sleep duration and quality in the risk and severity of type 2 diabetes mellitu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6, 1768-1774. 

  19. Leslie, R. D. G. (1999). United Kingdom prospective diabetes study (UKPDS): what now or so what?, Diabetes/metabolism research and reviews, 15, 65-71. 

  20. Lim, J. W., Yoo, H. J., Choi, K. A., Lim, S. H., Chung, Y. S., Seo, S. O., et al. (2001). The relation of diabetes control to stress amounts associated with life events in diabetics. Korean Diabetes Journal, 25, 240-247. 

  21. Lim, S., Kim, D. J., Jeong, I. K., Son, H. S., Chung, C. H., & Koh, G. P., et al. (2009). A nationwide survey about current status of glycemic control and complications in diabetic patient in 2006: the committee of Korean Diabetes Association on the epidemiology of diabetes mellitus. Korean Diabetes Journal, 33, 48-57. 

  22.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2004-a). 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3.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2004-b). Implications of recent clinical trials for the ATPIII guidelin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4. Park, I. B., & Baik, S. H. (2009) Review: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diabetes mellitus in Korea: current status of diabetic patients using Korean Health Insurance Database. Korean Diabetes Journal, 33, 357-362. 

  25. Park, S. W., Kim, D. J., Min, K. Y., Choi, K. M., Park, I. B., & Park, J. H., et al. (2007). Current status of diabetes management in Korea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Journal of Korean Diabetes Association, 31, 362-367. 

  26. Research Institute for Healthcare Policy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07). Analysis of the OECD Health Data 2006. 

  27. Song, M. S., Yoo, Y. S., & Kim, H. S. (2001). A study on the glucose control and chronic complication rate in diabetic compliance groups with health care regi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15, 334-341. 

  28. Stratton, I. M., Adler, A. I., Neil, H. A., Matthews, D. R., Manley, S. E., Cull, C. A. (2000). Association of glycaemia and macrovascular and microvascular complications of type 2 diabetes (UKPDS 35):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British Medical Journal, 321, 405-412. 

  29. Wens, J., Vermeire, E., Royen, P. V., Sabbe, B., & Denekens, J. (2005). GP's perspective of type 2 diabetes patients' adherence to treatment: a qualitative analysis of barriers and solution. BMC Family Practice, 6, 20. 

  30. Zimmet, P. Z. (1992). Challenges in diabetes epidemiologyfrom west to the rest. Diabetes Care, 15, 232-2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