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발성골수종 환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Patients with Multiple Myeloma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8 no.2, 2011년, pp.217 - 225  

최건희 (화순전남대학교병원) ,  강희영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health locus of control, self-esteem, self-efficacy and HPB in patients with multiple myeloma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HPB). Methods: One hundred patients were rec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상을 통해 본 연구의 간호학적 의의를 살펴보면, 간호실무 측면에서는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와 관련된 영향요인을 제시함으로써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 실천을 증진시킬 수 있는 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토대를 마련해 주었다. 다음으로 간호교육 측면에서는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를 높이기 위해 자아존중감, 타인의존적 건강통제위, 자기효능감, 지각된 건강상태의 강화를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변수인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통제위, 자아존중감, 자기 효능감 변수를 중심으로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를 설명해주는 결정요인을 규명하여 다발성골수종 환자를 위한 다양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J도에 소재한 일대학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다발성 골수종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암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 정도를 살펴본 연구는 시도되었지만, 최근에 발병률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어 지속적인 건강관리가 필요한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처음 시도된 점은 본 연구에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다발성 골수종 환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건강증진 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 상을 통해 본 연구의 간호학적 의의를 살펴보면, 간호실무 측면에서는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와 관련된 영향요인을 제시함으로써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 실천을 증진시킬 수 있는 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토대를 마련해 주었다. 다음으로 간호교육 측면에서는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를 높이기 위해 자아존중감, 타인의존적 건강통제위, 자기효능감, 지각된 건강상태의 강화를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 최근 의학적 진단과 치료기술의 발달로 다발성 골수종의 발병률 증가와 함께 생존률 역시 증가하고 그들의 투병기간이 길어지게 되면서 다발성 골수종 환자들은 자신의 생활양식을 바꾸고 그 변화된 건강행위를 유지해야 하는 꾸준한 건강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증진이란? 건강증진이란 자기조절능력을 증진시킴으로써 자신의 건강을 향상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건강증진행위는 건강한 생활양식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자아실현, 자기성취를 증진시키기 위한 활동으로, 건강에 대한 개인의 책임과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다발성골수종이란? 지난 20년간 전체 암 발생이 약 4배 정도 증가한 것에 비교하여 다발성골수종은 약 30배의 급격한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주로 60세 이상의 고령에서 발생하고 있다(The Korean Society of Hematology, 2008). 다발성골수종은 백혈구의 한 종류인 형질세포가 제한 없이 생성되어 발생하는 골수의 암으로 정상에서 형질세포는 감염과 싸우게 되는 면역글로불린이라는 항체를 만들지만 다발성골수종에서는 형질세포가 증식하여 단일 형태의 면역글로불린을 많이 생성하게 되고 다른 형태의 면역글로불린 양은 감소하여 감염에 노출된다. 또한 암성 형질세포가 뼈와 골수에 모이고 때로 골조직을 파괴하는 종양을 형성하여 병리적 골절이 발생한다(National Cancer Center, 2009; The Korean Society of Hematology,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nn, H. J. (1999). A study of influential health promoting behaviors with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2.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3. Byen, D. H., & Hyun, H. J. (2008). A stud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related factor of pneumonoconiosis patient.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7, 202-209. 

  4. Chung, M. H., Chao, T. Y., Chou, K. R., & Lee, H. L. (2009). Health-promoting lifestyle factors of cancer survivors in Taiwan. Cancer Nursing, 32(3), 8-14. 

  5. Ferrini, A. F., & Ferrini, P. L. (2000). Health in the later years (3rd ed.). Boston: McGraw- Hill Higher Education. 

  6. Frank-Stromborg, M, Pender, N. J., Walker, S. N., & Sechrist, K. R. (1990). Determinants of health-promoting lifestyle in ambulatory cancer patients. Social Science & Medicine, 31, 1159-1168. 

  7. Jeong, K. S., & Park, G. J. (2007). Relationships among body image, self-esteem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mastectomy patients.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7(1), 36-46. 

  8. Jon, B. J.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Journal, 11, 107-130. 

  9. Kim, H. J., & Park, Y. S. (1997). Determinants of healthpromoting behavior in the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4, 283-300. 

  10. Lawton, M. P., Moss, M., Fulcomer, M., & Kleban, M. H. (1982). A research and service oriented multilevel assessment instrument. Journal of Gerontology, 37, 91-99. 

  11. National Cancer Center. (2009, August 12). Right information about cancer/ Right understanding cancer. Retrieved May 1, 2010, from http://www.cancer.go.kr/cms/cancer/cancer_is/01/1190418_1221.html 

  12. Oh, B. J., & Hong, Y. S. (1996). A structural model for health promotion and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8, 291-308. 

  13. Park, H. S., Kang, Y. S., & Park, K. Y. (2006). A study on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chronic back pain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439-448. 

  14. Pender, N. J., Murdaugh, C. L., & Parsons, M. A. (2006).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5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Prentice Hall. 

  15.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6. Seo, H. M. (2001). Construction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model in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7. Sherer, M., Maddux, J. E., Merca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W.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18. Shin, S. J. (2008). Health locus of control and compliance of treatment in acute coronary syndrome patients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 829-838. 

  19. Smith, A. B., & Bashore, L. (2006). The effect of clinic-based health promotion education o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adolescent and young adult cancer survivors. Journal of Pediatric Oncology Nursing. 23, 326-334. 

  20. Suh, S. R., & Kim, H. J. (2000). The resourcefulness and the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2, 112-121. 

  21. Swinney, J. E. (2002). African Americans with cancer: the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locus of control, and health perception.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5, 371-382. 

  22. The Korean Society of Hematology. (2008). Hematology. Seoul: E Public. 

  23. Walker, S. N., Sechrist, K. S., & Pender, N. J. (1987).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36, 76-81. 

  24. Wallston, K. A., Wallston, B. S., & Devellis, R. (1978). Development of the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MHLC) scales. Health Education Monographs, 6, 160-170. 

  25. Yun, H. M. (2009). The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stomach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oe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