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삶의 질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Multiple Myeloma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8 no.3, 2016년, pp.314 - 322  

조관숙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간호부) ,  반자영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간호부) ,  윤지연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간호부) ,  국승혜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간호부) ,  윤현선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간호부) ,  유양숙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quality of life reported by patients with multiple myeloma and secondly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mpact the quality of life (QoL). Methods: 189 patients with multiple myeloma completed survey questionnaires. Quality of life was evaluated u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삶의 질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질병 관련 특성을 고려하여 삶의 질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EORTC QLQ-C 30 과 MY 20을 활용하여 이들이 경험하는 삶의 질을 총체적으로 파악하였다. 본 연구결과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삶의 질은 여성, 직업이 없는 경우, 치료비를 형제가 대신 지불하는 경우, 현재 치료를 받고 있거나 빈혈이 있거나, 일상생활 수행도가 낮거나, 말초신경병증의 정도가 심할 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Kim과 Yi [15]는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으나 환자의 질병 관련 특성이나 증상을 고려하지 않은 제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질병 관련 특성과 삶의 질을 파악하여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발성 골수종은 어떠한 특성이 있는가? 다발성 골수종은 두 번째로 많이 발생하고 있는 혈액암으로[1], B 세포에서 유래되는 형질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M 단백을 과잉생산하는 특성이 있다[2,3]. 다발성 골수종은 노인에게 호발하는데[4], 최근 평균 수명의 연장과 인구 고령화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5], 치료 성적과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다발성 골수종은 어떤 연령대에서 호발하는가? 다발성 골수종은 두 번째로 많이 발생하고 있는 혈액암으로[1], B 세포에서 유래되는 형질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M 단백을 과잉생산하는 특성이 있다[2,3]. 다발성 골수종은 노인에게 호발하는데[4], 최근 평균 수명의 연장과 인구 고령화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5], 치료 성적과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다발성 골수종 환자들에게 탈리도마이드나 보르테조밉을 사용하였을 시 유발될 수 있는 부작용은? 다발성 골수종 환자들은 치료과정에서 불면이나 변비, 부종, 어지러움, 두통, 오심과 구토, 시야 흐림 등의 부작용을 경험할 수 있다[7]. 특히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을 위한 관해유도제로 사용하는 탈리도마이드나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을 할 수 없는 환자에게 많이 사용하는 보르테조밉[1,5]은 말초 신경병증을 유발하여 일부 환자들은 통증이나 마비로 일상생활이 불가능해지기도 하며, 치료를 중단하기도 한다[6]. 그러므로 다발성 골수종 환자들이 치료 과정에서 경험하는 부작용과 이로 인한 삶의 질을 파악하여 고통을 완화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umar S. Treatment of newly diagnosed multiple myeloma: advances in current therapy. Medical Oncology. 2010;27(Suppl 1):S14-24. http://dx.doi.org/10.1007/s12032-009-9370-1 

  2. Bilotti E, Faiman BM, Richards TA, Tariman JD, Miceli TS, Rome SI. Survivorship care guidelines for patients living with multiple myeloma: consensus statements of the international myeloma foundation nurse leadership board.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11;15(4):5-8. http://dx.doi.org/10.1188/11.s1.cjon.5-8 

  3. Smith D, Yong K. Multiple myeloma. British Medical Journal. 2013;346:3863. http://dx.doi.org/10.1136/bmj.f3863 

  4. Cocks K, Cohen D, Wisloff F, Sezer O, Lee S, Hippe E, et al. An international field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disease-specific questionnaire module (the QLQ-MY20) in assessing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multiple myeloma. European Journal of Cancer. 2007;43(11):1670-8. http://dx.doi.org/10.1016/j.ejca.2007.04.022 

  5. Palumbo A, Attal M, Roussel M. Shifts in the therapeutic paradigm for patients newly diagnosed with multiple myeloma: maintenance therapy and overall survival. Clinical Cancer Research. 2011;17(6):1253-63. http://dx.doi.org/10.1158/1078-0432.ccr-10-1925 

  6. Comert M, Gunes AE, Sahin F, Saydam G. Quality of life and supportive care in multiple myeloma. Turkish Journal of Haematology. 2013;30(3):234-46. http://dx.doi.org/10.4274/Tjh.2012.0192 

  7. Jordan K, Proskorovsky I, Lewis P, Ishak J, Payne K, Lordan N, et al. Effect of general symptom level, specific adverse events, treatment patterns, and patient characteristic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multiple myeloma: results of a European multicenter cohort study. Supportive Care in Cancer. 2014;22(2):417-26. http://dx.doi.org/10.1007/s00520-013-1991-4 

  8. Osborne TR, Ramsenthaler C, Siegert RJ, Edmonds PM, Schey SA, Higginson IJ. What issues matter most to people with multiple myeloma and how well are we measuring them? A systematic review of quality of life tools. European Journal of Haematology. 2012;89(6):437-57. http://dx.doi.org/10.1111/ejh.12012 

  9. Sherman AC, Simonton S, Latif U, Plante TG, Anaissie EJ. Changes in quality-of-life and psychosocial adjustment among multiple myeloma patients treated with high-dose melphalan and autologous stem cell transplantation. Biology of Blood and Marrow Transplantation. 2009;15(1):12-20. http://dx.doi.org/10.1016/j.bbmt.2008.09.023 

  10. Khalafallah A, McDonnell K, Dawar HU, Robertson I, Woods D.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 multiple myeloma patients undergoing dose-reduced tandem autologous stem cell transplantation. Mediterranean Journal of Hematology and Infectious Disease. 2011;3(1):e2011057. http://dx.doi.org/10.4084/mjhid.2011.057 

  11. Sonneveld P, Verelst SG, Lewis P, Gray-Schopfer V, Hutchings A, Nixon A, et al. Review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data in multiple myeloma patients treated with novel agents. Leukemia. 2013;27(10):1959-69. http://dx.doi.org/10.1038/leu.2013.185 

  12. Corso A, Mangiacavalli S, Cocito F, Pascutto C, Ferretti VV, Pompa A, et al. Long term evaluation of the impact of autologous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multiple myeloma: a cost-effectiveness analysis. The Public Library of Science One. 2013;8(9):e75047.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075047 

  13. Stead ML, Brown JM, Velikova G, Kaasa S, Wisloff F, Child JA, et al. Development of an EORTC questionnaire module to be used in health-related quality-of-life assessment for patients with multiple myeloma.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Study Group on Quality of Life. British Journal of Haematology. 1999;104(3):605-11. 

  14. Kontodimopoulos N, Samartzis A, Papadopoulos AA, Niakas D.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Greek QLQ-C30 and QLQ-MY20 for measuring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multiple myeloma. The Scientific World Journal. 2012;2012:842-67. http://dx.doi.org/10.1100/2012/842867 

  15. Kim HS, Yi MS.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multiple myeloma. Asian Oncology Nursing. 2015;15(1):9-17. 

  16. Oken MM, Creech RH, Tormey DC, Horton J, Davis TE, Mcfadden ET, et al. Toxicity and response criteria of the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1982;5(6):649-55. 

  17. Miller AB, Hoogstraten B, Staquet M, Winkler A. Reporting results of cancer treatment. Cancer. 1981;47(1):207-14. 

  18. Jung JY, So HS, Hong JE, Chea MJ, Han KH. Related factors to quality of life among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Asian Oncology Nursing. 2012;12(1):84-91. 

  19. Jung KH, Kim KH, Gwak YH. Quality of life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symptom clusters classification. Asian Oncology Nursing. 2014;14(2):74-83. 

  20. Kim JH, Choi KS, Kim T, Hong YS. Quality of life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with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Asian Oncology Nursing. 2011;11(3):254-62. 

  21. Yang JY, Lee MS.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thyroid cancer patients with thyroidectomy. Asian Oncology Nursing. 2015;15(2):59-66. 

  22. Kim KD, Jang HJ. Effect of pain, sleep, disturbance and fatigue on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pancreatic cancer undergoing chemotherapy. Asian Oncology Nursing. 2012;12(2):117-24. 

  23. Can G, Demir M, Erol O, Aydiner A. A comparison of men and women's experiences of chemotherapy-induced alopecia.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13;17(3):255-60. http://dx.doi.org/10.1016/j.ejon.2012.06.003 

  24. Goodwin JA, Coleman EA, Sullivan E, Easley R, McNatt PK, Chowdhury N, et al. Personal financial effects of multiple myeloma and its treatment. Cancer Nursing. 2013;36(4):301-8. http://dx.doi.org/10.1097/NCC.0b013e3182693522 

  25. Kirchhoff AC, Leisenring W, Syrjala KL. Prospective predictors of return to work in the 5 years after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Journal of Cancer Survivorship: Research and Practice. 2010;4(1):33-44. http://dx.doi.org/10.1007/s11764-009-0105-2 

  26. Song BE, Kang HR, Kim KS.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Asian Oncology Nursing. 2008;8(1):40-9. 

  27. Jo OH, Park LH, Yang NY, Hwang KH. Mood state, interactio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with chemotherapy-induced alopecia. Asian Oncology Nursing. 2013;13(4):193-200. 

  28. Faiman B. Clinical updates and nursing considerations for patients with multiple myeloma.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07;11(6):831-40. http://dx.doi.org/10.1188/07.cjon.831-840 

  29. Kim HY, Kang JH, Song JE, Yoon HJ.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patients. Asian Oncology Nursing. 2013;13(4):222-30. 

  30. Kurtin S, Faiman B. The changing landscape of multiple myeloma: implications for oncology nurses.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13;17(Suppl):7-11. http://dx.doi.org/10.1188/13.cjon.s2.7-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