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환자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간호사의 질문 및 설명 전략
Nurses' Question and Explanation Strategies for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Cancer Patient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8 no.2, 2011년, pp.247 - 257  

이화진 (울산과학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communication principles for nurses in cancer units according to Grice's theory. Method: This study was a secondary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using conversational analysis. Results: The principles consisted of four maxims: Quality, quantity, relev...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환자의 고통을 경감하기 위해 간호사에게 어떤 능력이 필요한가? 높은 사망률과 치료과정에서의 불편감으로 인해 암환자는 상당한 고통을 겪는다(Lee, 2007). 이러한 암환자의 고통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간호사는 암환자의 건강문제를 확인하고 중재할 수 있어야 하며, 이 과정에서 간호사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은 필수요소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간호사들은 신체적ㆍ정신적 고통을 겪는 암환자와의 의사소통을 힘들어 한다고 보고 하였고(Sheldon, Barrett, & Elligton, 2006), 의사소통 기술의 부족으로 인해 환자에게 질적인 간호를 제공하지 못하는 점이 암 병동 간호사의 주요 스트레스 요인이었다(Charlton, Dearing, Berry, & Johnson, 2008).
암 환자와 간호사 간의 전체 대화 구조를 문법적으로 분석한 Lee (2007)의 연구에 의하면 이들 대화구조의 단계별 중요도 및 역할은 무엇인가? 암환자와 간호사간의 전체 대화구조를 문법적으로 분석한 Lee (2007)의 연구에 의하면 이들의 대화구조는 도입, 사정, 중재, 종료단계를 거친다. 이 중에서 사정과 중재단계가 핵심 단계이고, 도입과 종료단계는 핵심단계들을 더욱 원활하게 해주는 촉진단계가 된다고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핵심단계에서 주로 수행되는 질문과 설명 언어행위에 초점을 두고 실제 대화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화분석 연구는 어떤 연구 방법들로 나눌 수 있는가? 대화분석 연구는 대화의 기능단계, 연속체, 원형 등 구조적 측면을 분석하는 연역적(문법적) 연구와 실제의 대화 자료를 검토하여 반복되는 정형을 분석하는 귀납적 연구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언어학계에서는 귀납과 연역을 혼용한 연구방법으로써 실제 자료를 반복적으로 분석한 후에 명확한 적용기준을 원용하는 대화분석 연구가 제안되고 있다(Lee,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eyea, S. C. (2004). Improving verbal communication in clinical care. Association of Operating Room Nurses, 79, 1053-1057. 

  2. Booth, K., Maguire, P., & Hillier, V. F. (1999). Measur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in cancer care: Myth or realit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0, 1073-1079. 

  3. Bowles, N., Mackintosh, C., & Torn, A. (2001). Nurses' communication skills: An evaluation of the impact of solution-focused communication train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6, 347-354. 

  4. Charlton, C. R., Dearing, K. S., Berry, J. A., & Johnson, M. J. (2008). Nurse practitioners' communication styles and their impact on patient outcomes: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20, 382-388. 

  5. Crawford, P., & Bonham, P. (2006). Communications in clinical settings. Cheltenham: Nelson Thornes. 

  6. Fallowfield, L., & Jenkins, V. (1999).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are the key to good cancer care. European Journal of Cancer, 35, 1592-1597. 

  7. Grice, H. P. (1975). Logic and conversation. NY: Dickenson Publishing Company, Inc. 

  8. Guba, E. G., & Lincoln, Y. S. (1985). Naturalistic inquiry.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 Inc. 

  9. Hemsley, B., Sigafoos, J., Balandin, S., Forbes, R., Taylor, C., Green, V. A., et al. (2001). Nursing the patient with severe communication impairmen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5, 827-835. 

  10. Jang, J. Y. (2010). The relation among nurse's assertivenes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11. Kim, S. H. (2009). Factors affecting communication between cancer patients and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Daegu. 

  12.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0). 2009 Social indicators in Korea. 

  13. Kruijver, I. P. M., Kerkstra, A., Bensing, J. M., & van de Wiel, H. B. M. (2001). Communication skills of nurses during interactions with simulated cancer pati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4, 772-779. 

  14. Lee. C. D. (1998). Korean education and dialogue analysis.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4(1), 39-64. 

  15. Lee, H. J. (2007). A conversational analysis about patient's discomfort between a patient with cancer and a n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145-155. 

  16. Lee, K. J. (2001). Communication and nursing. Seoul: Shingwang. 

  17. Lee, S. Y. (2002). A study on Grices' cooperational principles. Korean German Linguistics, 6, 263-285. 

  18. Maguire, P., & Faulkner, A. (1988). Improve the counseling skills of doctors and nurses in cancer care. British Medical Journal, 297, 847-850. 

  19. McCabe, C. (2004). Nurse-patient communication: An exploration of patients' experienc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3, 41-49. 

  20. Park, Y. I. (2002). Conversation analysis. Seoul: Youkrac. 

  21. Sheldon, L. K., Barrett, R., & Ellington, L. (2006). Difficult communication in nursing.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8, 141-147. 

  22. Shilling, V., Jenkins, V., & Fallowfield, L. (2003). Factors affecting patient and clinician satisfaction with the clinical consultation. Psychooncology, 12, 599-611. 

  23. Son, H. M. (2007). Functional phases and patterns of dialogue sequence in nurse-patient conversation about medi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52-63. 

  24. Son, H. M. (2010). Evaluation of nurses' competency in nurse-patient communication about medications: Conversational analysis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1-13. 

  25. Suominen, T., Leino-Kilpi, H., & Laippala, P. (1995). Who provides support and how? Breast cancer patients and nurses evaluate patient support. Cancer Nursing, 18, 278-285. 

  26. Trovo de araujo, M. M., & Paes da silva, M. J. (2004). Communication with dying patients - perception of intensive care units nurses in Brazil.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3, 143-149. 

  27. Whang, E. M. (2007). Characteristics of nursing conversation, Korean German Linguistics, 15, 355-375. 

  28. Wilkinson, S. M., Gambles, M., & Roberts, A. (2002). The essence of cancer care: The impact of training on nurses' ability to communicate effectivel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0, 731-738. 

  29. Winchester, T. A. (2003). Teaching communication skills to nursing home certified nursing assistants. Geriatric nursing, 24, 178-181.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