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공급 측과 투과 측 조건에 따른 $Ba_{0.5}Sr_{0.5}Co_{0.8}Fe_{0.2}O_{3-{\\delta}}$ (BSCF) 관형 분리막의 산소투과 특성
Oxygen Permeation Properties of Tubular $Ba_{0.5}Sr_{0.5}Co_{0.8}Fe_{0.2}O_{3-{\\delta}}$ (BSCF) Membranes under Different Condition of Feed Side and Permeate Side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1 no.2, 2011년, pp.155 - 162  

김종표 (충남대학교 화학공학과) ,  박정훈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온실가스연구단) ,  이용택 (충남대학교 화학공학과) ,  최영종 ((주)이노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_{0.5}Sr_{0.5}Co_{0.8}Fe_{0.2}O_{3-{\delta}}$ (BSCF) 조성을 갖는 치밀한 관형 분리막압출 성형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Ba_{0.5}Sr_{0.5}Co_{0.8}Fe_{0.2}O_{3-{\delta}}$ 관형 분리막의 구조적 특성은 x-선 회절분석기 (XRD)와 전자 주사 현미경 (S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상대밀도는 94.10%를 보였다. 산소투과량 분석은 700~$950^{\circ}C$ 범위에서 공급 측과 투과 측의 운전조건에 따라 측정되었다. 공급 측과 투과 측에서 대기 중 공기와 진공펌프를 사용할 경우, $Ba_{0.5}Sr_{0.5}Co_{0.8}Fe_{0.2}O_{3-{\delta}}$ 관형 분리막의 산소투과량은 $900^{\circ}C$에서 1.37 mL/$min{\cdot}cm^2$로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nse tubular $Ba_{0.5}Sr_{0.5}Co_{0.8}Fe_{0.2}O_{3-{\delta}}$ (BSCF) membranes were prepared by extrusion technique. The phase structure of the $Ba_{0.5}Sr_{0.5}Co_{0.8}Fe_{0.2}O_{3-{\delta}}$ membranes was characterized by X-ray diffraction (XRD)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본 연구에서는 # (BSCF) 조성의 관형 분리막을 압출 성형법으로 제조하였고, 산소투과분석은 공급 측에 모사공기와 대기 중 공기, 그리고 투과 측에 쓸개가스와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운전조건(공급 측/투과 측)에 따른 산소투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 여기서 YD-131D, PEG 400, AMP 95는 각각 바인더, 윤활제, 가소제이다. BSCF 분말과 첨가제의 충분한 혼합을 위해, 먼저 BSCF 분말과 바인더를 혼련기를 이용하여 약 4 h 동안 건식혼합 하였고, PEG 용액과 AMW-95는 교반기에서 약 1 h 동안 액상 혼합하였다. 액상 혼합물은 다시 9.
  • 4 mm, 두께 1 mm, 길이 300 mm를 가진다. 최종 성형된 BSCF 관형 분리막은 구조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X-선 회절분석기 (XRD, Rigaku Co Model D/Max 2200-Ultimaplus, Japan)를 이용하여 결정성 및 상 순도를 판단하였고, 전자 주사 현미경(SEM, Model 1530, LEO Co., Germany) 을 사용하여 관형 분리막 표면의 상태를 확인하였다.
  • 산소투과 실험을 위한 BSCF 관형 분리막은 가스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재료로 에폭시(epoxy)를 사용하여 금속 피팅에 연결되며, 가스 누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온에서 헬륨(순도 99.999%)을 3 atm으로 관형 분리막 내부로 가압해 분리막 표면에서의 누줄을 헬륨 검 줄기로 확인하였다. Fig.
  • 2의 경우 투과 즉(permeate side)에서 쓸개 가스와 진공펌프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공급 측 (feed side)에는 질량 유속기(5850E, Brooks, Japan)를이용하여 산소(순도 99.999%)와 질소(순도 99.999%) 의조성비로부터 모사공기(21 vol% O2 + 79 vol% N2)를제조하여 20 mL/min 으로 주입하였으며, 투과 측 (permeate side)에서는 쓸개가스로 헬륨(순도. 99.999%) 20 mL/min와 진공펌프(진공도: 2.5 x W1 mmHg, IDP3, VARIAN Inc., U.S.A.)를 각각 사용하여 산소투과량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Fig.
  • 공급 측(fled side) 에서의 주입가스는 대기 중 공기를 사용하였고, 투과 측(permeate side)에서는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산소 분압차를 유지하였다. 산소 투과량 분석은 700~950。<2에서 실시하였고, 투과된 산소는 1.8 m의 5 A 분자체 (moleculai- sieve)가 장착된 GC-TCD (Agilent 6890, Hewlett-Packard, U.S.A.)로 분석하였다. 기공 또는 crack을 통한 산소와 질소의 누출은 Knudsen 확산 메커니 즘에 의해 #: # = (32/28)1/2 x 0.
  • 관형 분리막의 특성은 산소투과 실험 전에 XRD 및 SEM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Fig. 4는 l, 08(TC에서 2 h 동안 소결한 BSCF 관형 분리막의 XRD 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XRD 분석결과 단일상의 페롭스카이트구조를 보였고, 이것은 BSCF 분말합성 시 배출되는 CO?와 반응하여 생성되기 쉬운 BaCO3, SrCO3 등의 탄산염이 생성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 BSCF 관형 분리막의 산소투과 분석은 운전조건에 따라 공급 측(feed side)에서 모사공기의 유량 조절이 가능한 수평형 장치와 대기 중 공기의 이용이 가능한 수직형 장치를 각각 사용하여 투과 즉(permeate side)에서의 산소 분압 유지방법에 따른 산소투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Table 2는 각 장치의 형태, 실험조건 및 유효단면적을 나타낸 것이며, 분리막의 외경 및 내경은 각각 4.
  • 0 mm)이다. BSCF 관형 분리막을 이용한 산소투과량 분석은 700~950℃에서 측정하였으며, 각 온도에서 약 60 min 이상 측정하였다. Fig.
  • Bao.5Sro.5Coo.8Feo.2O3., (BSCF) 조성을 갖는 치밀한관형 분리막은 압출 성형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XRD 및 SEM 분석결과 제조된 관형 분리막은 단일상의 페롭스카이트 구조를 갖는 치밀한 형태로 나타났고 상대 밀도는 94.
  • BSCF 관형 분리막의 산소투과량 분석은 수평형 장치와 수직형 장치를 각각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산소투과 실험을 위한 BSCF 관형 분리막은 가스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재료로 에폭시(epoxy)를 사용하여 금속 피팅에 연결되며, 가스 누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온에서 헬륨(순도 99.

대상 데이터

  • 1과 같다. 분리막 제조를 위해 BSCF 분말은 76.90 wt% 혼합되었으며, 첨가제로는 7.71 wt% YD- 13 ID (Yuken Industry Co., LTD., Japan), 5.78 wt% PEG 용액(1:10 = PEG 400 : water, PEG 400 : polyethylene glycol 400, SAMCHUN, Korea), 1.93 wt% AMP 95 (2-Amino-2-Methyl-1 -Propanol, Dow Chemical, U.S.A.)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YD-131D, PEG 400, AMP 95는 각각 바인더, 윤활제, 가소제이다.

이론/모형

  • BSCF 관형 분리막은 고상 반응법으로 제조된 상용 분말(Grand Chemical & Material Co., LTD., Korea)을이용하여 압출 성형법으로 제조 되었으며, 실험공정도는 Fig. 1과 같다. 분리막 제조를 위해 BSCF 분말은 76.
  • Table 1은 l, 080℃에서 2 h 동안 소결한 BSCF 관형 분리막의 밀도값을 나타낸 것이다. BSCF 관형 분리막의 겉보기 밀도는 Archimedes 원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이론밀도는 격자상수(3.9917 A)와 원자량(# = 0)으로부터계산되었다. BSCF 관형 분리막의 겉보기 밀도와 이론 밀도는 각각 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S. J. Lee, S. I. Jeon, and J. H. Park, "Fabrication and stability of Pd coated Ta/YSZ cermet membrane for hydrogen separation", Membrane Journal, 20, 69 (2010). 

  2. K. H. Lee, "Membrane separation of carbon dioxide", Membrane Journal, 4, 78 (1994). 

  3. J. Luyten, A. Buekenhoudt, W. Adriansens, J. Cooymans, H. Weyten, F. Servaes, and R. Leysen, "Preparation of $LaSrCoFeO_{3-x}$ membranes", Solid State Ion., 135, 637 (2000). 

  4. J. P. Kim, J. H. Park, and Y. Yoon, "Effect of sealant materials on oxygen permeation in perovskite oxide membrane", J. Korean Ind. Eng. Chem., 19, 382 (2008). 

  5. J. P. Kim, J. H. Park, and K. Y. Kim, "Comparison of oxygen permeability and stability of $La_{0.6}Sr_{0.4}-B_{0.2}Fe_{0.8}O_{3-{\delta}}$ (B Co, Ti) Membrane", Journal of Energy & Climate Change, 2, 75 (2007). 

  6. J. H. Park, J. P. Kim, and I. H. Baek, "Preparation and oxygen permeation properties of $La_{0.7}Sr_{0.3}CO_{0.2}-Fe_{0.8}O_{3-{\delta}}$ Membrane", J. Korean Ind. Eng. Chem., 19, 477 (2008). 

  7. K. T. Lim, T. L. Cho, K. S. Lee, I. S. Han, D. W. Seo, K. S. Hong, K. Bai, and S. K. Woo, "Fabrication and oxygen permeation properties of $La_{1-x}Sr_xB_{1-y}Fe_yO_{3-{\delta}}$ (BCo, Ga) perovskite-type ceramic membrane", Membrane Journal, 11, 143 (2001). 

  8. K. Y. Kim, J. H. Park, J. P. Kim, S. H. Son, and S. D. Park, "Oxygen permeation properties and phase stability of Co-free $La_{0.6}Sr_{0.4}Ti_{0.2}Fe_{0.8}O_{3-{\delta}}$ oxygen membrane", Membrane Journal, 9, 34 (2007). 

  9. V. V. Kharton, A. A. Yaremchenko, A. V. Kovalevsky, A. P. Viskup, E. N. Naumovich, and P. F. Kerko, "Perovskite-type oxides for high-temperature oxygen separation membranes", J. Membr. Sci., 163, 307 (1999). 

  10. H. Wang, R. Wang, D. T. Liang, and W. Yang, "Experimental and modeling studies on $Ba_{0.5}Sr_{0.5}-Co_{0.8}Fe_{0.2}O_{3-{\delta}}$ (BSCF) tubular membranes for air separation", J. Membr. Sci., 243, 405 (2004). 

  11. P. N. Dyer, R. E. Richards, S. L. Russek, and D. M. Taylor, "Ion transport membrane technology for oxygen separation and syngas production", Solid State Ion., 134, 21 (2000). 

  12. X. Tan, Z. Pang, and K. Li, "Oxygen production using $La_{0.6}Sr_{0.4}Co_{0.2}Fe_{0.8}O_{3-{\delta}}$ (LSCF) perovskite hollow fibre membrane modules", J. Membr. Sci., 310, 550 (2008). 

  13. C. H. Chen, H. Kruidhof, H. J. M. Bouwmeester, and A. J. Burggraaf, "Preparation of gas-tight strontium-doped lanthanum cobaltate by an aqueous sol-gel process", Mater. Sci. Eng. B, 39, 129 (1996). 

  14. C. H. Chen, H. J. M. Bouwmeester, R. H. E. van Doom, H. Kruidhof, and A. J. Burggraaf, "Oxygen permeation of $La_{0.3}Sr_{0.7}CoO_{3-{\delta}}$ ", Solid State, Ion., 98, 7 (1997). 

  15. S. Kim, Y. L. Yang, A. J. Jacobson, and B. Abeles, "Diffusion and surface exchange coefficients in mixed ionic electronic conducting oxides from the pressure dependence of oxygen permeation", Solid State Ion., 106, 189 (1998). 

  16. Z. Shao, G. Xiong, J. Tong, H. Dong, and W. Yang, "Ba effect in doped $Sr(Co_{0.8}Fe_{0.2})O_{3-{\delta}}$ on the phase structure and oxygen permeation properties of the dense ceramic membranes", Sep. Purif. Technol., 25, 419 (2001). 

  17. V. V. Kharton, A. P. Viskup, A. A. Yaremchenko, P. F. Kerko, E. N. Naumovich, and A. V. Kovalevsky, "Ionic transport in $SrCo_{0.85}Ti_{0.15}O_{3-{\delta}}$ ceramics at high oxygen pressures", Mater. Res. Bull., 34, 1921 (1999). 

  18. H. Lu, Y. Cong, and W. S. Yang, "Oxygen permeability and stability of $Ba_{0.5}Sr_{0.5}Co_{0.8}Fe_{0.2}O_{3-{\delta}}$ as an oxygen-permeable membrane at high pressures", Solid State Ion., 177, 595 (2006). 

  19. Z. Shao, W. Yang, Y. Cong, H. Dong, J. Tong, and G. Xiong, "Investigation of the permeation behavior and stability of a $Ba_{0.5}Sr_{0.5}Co_{0.8}Fe_{0.2}O_{3-{\delta}}$ oxygen membrane", J. Membr. Sci., 172, 177 (2000). 

  20. H. Wang, C. Tablet, A. Feldhoff, and J. Caro, "Investigation of phase structure, sintering, and permeability of perovskite-type $Ba_{0.5}Sr_{0.5}Co_{0.8}Fe_{0.2}O_{3-{\delta}}$ membranes", J. Membr. Sci., 262, 20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