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근대소설의 여성복식에 나타난 문화현상 분석
Analysis on the Cultural Phenomena related to the Depiction of Women's Costume in Korean Modern Novels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1 no.6, 2011년, pp.38 - 59  

전현실 (가톨릭대학교 의류학과) ,  홍나영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based on the periodical discourse of women and their costumes, described in modern novels that were published from late 1890s to the 1930s. New cultural phenomena emerged among Korean women in the period of modernization. In particular, rapid increase of jobs for women and preference f...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트로피즘이란 무엇인가? 트로피즘(trophysm)은 복식을 통해 자신의 경제적, 사회적, 지적인 우월성을 과시하려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옷을 통해 착용자의 경제적인 부유함, 유행에 대한 관심, 지성미를 표현하고 있었다.
근대화 초기, 여성의 직업은 어떠한 경향을 보였는가? 여성의 직업은 근대화 초기, 소수 지식인층에 의한 교사, 의사 등의 전문직에서 점차 서비스직으로 그 영역이 확대되었는데, 이러한 경향은 1920년대 이 후 뚜렷해졌고 개인주의적이고 세속적35)인 속성을 띠었다. 또한 직업여성들은 ‘중심부 여성’과 ‘주변부 여성’36)으로 분리되었는데, 중심부 여성은 도시의 상류층을, 주변부 여성은 도시의 하류층을 각각 상징하였고, 이는 또 다른 사회계급을 형성시켜 여성 간의 서열화를 야기시켰다.
1930년대에 서비스 업종 여성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소설로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이처럼 1930년대에 서비스 업종 여성이 증가한 것은 쉽게 돈을 벌려는 사회풍조나 경제공황에 의한 일자리 축소에 따른 것으로, 특히 불황은 남성 실업자 비율 증가로 이어짐으로써 인텔리지만 경제적으로 불안정한 룸펜을 대량 양산시켰고, 사회부적응․경제적으로 무능한 남편을 대신하여 사회로 내몰린 여성들은 직업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그 예는 <지주회시 (1936)>, <날개(1936)>, <어떤 夫妻(1938)>, <치정 (1938)>, <나비(1939)> 등에서 확인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3)

  1. 최기숙 (2004), 교육주체로서의 여성과 서구유학의 문제, 여성문학연구, 12, p. 96. 

  2. 柳喜卿(1975), 한국복식사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pp. 612-660. 

  3. 兪水敬(1990), 韓國女性洋裝變遷史, 서울: 一志社. 

  4. 문화관광부, 한국복식문화2000년조직위원회 (2001), 우리옷 이천년, 서울: 미술문화, pp. 119-134. 

  5. 현대패션100년편찬위원회 (2002). 현대패션100년, 서울: 교문사, pp. 1-140. 

  6. 김미지 (2005), 누가 하이카라 여성을 데리고 사누: 여학생과 연애, 서울: 살림. 

  7. 김주리 (2005), 모던걸, 여우 목도리를 버려라: 근대적 패션의 풍경, 서울: 살림. 

  8. 李明姬(1981), 近代韓國服飾의 變化要因. 복식, 5 

  9. 이송희 (1988), 開化期服飾의 變遷과 그 要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金美子(1989), 개화기의 여자복식과 사상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논문집, 18 

  11. 손명임 (1989), 東亞日報에 나타난 服飾의 硏究,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남윤숙 (1990), 韓國現代女性服飾制度의 變遷過程硏究, 복식, 14 

  13. 홍나영 (1990), 한복개량운동에 관한 고찰-여성복을 중심으로-, 복식, 15 

  14. 黃義淑(1995), 전통복식의 양식 변화에 대한 연구-근대 여성복을 중심으로-, 培花論叢, 14 

  15. 김윤희 (1996), 복식의 근대성에 관한 연구, 복식, 30 

  16. 김경희, 조효순 (1997), 韓國開化期女性服飾의 變遷要因, 복식, 32 

  17. 이노우에 가즈에 (2005), 한국 '신여성'과 '근대'의 만남,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5 

  18. 유정이 (2007), 한국과 일본의 신여성복식 비교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맹문재 (2003), 일제강점기의 여성지에 나타난 여성미용 고찰, 한국여성학, 19(3). 

  20. 김희정 (2004), 을 중심으로 본 신여성 복장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2(2). 

  21. 이미영, 김관옥 (2007), 1930년대 신여성의 머리양식 고찰, 한국미용예술학회지, 3(1). 

  22. 안선경, 양숙희 (2001), 한국근대복식문화에 나타난 아메리카나이제이션에 관한 연구-192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의 잡지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5(1). 

  23. 박성실 (2003), 개화기의 전통문화와 예술: 개화기 복식의 변천, 동양학, 34. 

  24. 이지혜 (2007), 한국근대여성속옷의 변천: 하의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하세가와 리사 (2007), 근대전기 한.일 여성속옷의 변천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홍지연, 홍나영 (2007), 1876-1945년 인쇄매체로 분석한 한국근대여성 장신구의 수용과 전개, 한국공예논총, 10(1). 

  27. 김경일 (2002), 서울의 소비문화와 신여성: 1920-1930년대를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XIX. 

  28. 김미선 (2005), 1930년대 신식화장담론이 구성한 소비주체로서의 신여성, 여성학논집, 22(2). 

  29. 조희진 (2009), 근대적 복식 유행의 출현과 사회적 수용,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홍성범 (1992), 文學作品에 나타난 女性像과 服飾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조진숙 (1996), 1930년대 복식의 기호학적 분석, 복식문화연구, 4(3), pp. 407-426. 

  32. 정경임 (1999), 효석작품에 나타난 한국적 복식미, 복식, 43, pp. 235-240. 

  33. 안선경, 양숙희 (2001), 한국근대복식문화에 나타난 아메리카나이제이션에 관한 연구-192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의 잡지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5(1), pp. 50-51. 

  34. 김경일 (2002), 서울의 소비문화와 신여성: 1920-1930년대를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XIX, pp. 258-259. 

  35. 한국문학전집 1권.2권.4권 (1967), 서울: 文豪社 

  36. 한국문학전집30 단편집(상) (1968), 서울: 민중서관 

  37. 乙酉文庫: 5권(이인직), 14권(이해조), 30권(안국선) (1969.2), 서울: 乙酉文化社 

  38. 한국단편문학대계 2권-5권 (1969.8), 서울: 삼성출판사 

  39. 한국대표문학전집(12) -대표단편 13인집- (1970), 서울: 삼중당 

  40. 한국중편소설문학전집 1권-3권 (1974), 서울: 을유문화사 

  41. 한국단편문학전집 1권-3권 (1975), 서울: 백수사 

  42. 한국문학전집38(단편) (1989), 서울: 삼성이데아 

  43. 한국현대문학대계 3권.4권 (1994), 서울: 민음사 

  44. 한국문학총서 5권 (1997), 서울: 해냄. 

  45. 이수자 (2006), 문화 연구와 페미니스트 문화이론: 몸, 섹슈얼리티, 주체 논의의 계보학적 이해, 문화와 사회, 1, p. 57. 

  46. 이성화 (2004), 또 다른 근대의 사회학과 문화이론: 생활세계의 문화적 전환과 일상에서의 초월, 정치사상연구, 10(2), p. 219. 

  47. 김민 (2005), 서평: 문화연구와 문화이론,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논문집, 3(1), p. 72. 

  48. 楊慶淑(1997), 헤게모니이론에 대한 연구, 경북외국어전문대학 논문집, 3, p. 136. 

  49. 문종대 (1993), 문화적 헤게모니에 대한 연구, 언론문화연구, 11, p. 225. 

  50. 현남숙, op. cit., p. 161. 

  51. 김용규 (2007), 스튜어트 홀과 영국 문화연구의 형성, 새한영어영문학, 49(1), pp. 2-3, p. 24. 

  52. 원용진 (2000), 문화연구와 스튜어트 홀, 문화과학, 23, p. 318. 

  53. 문종대 (1993), 문화적 헤게모니에 대한 연구, 언론문화연구, 11, p. 226. 

  54. 申東順(2007), 영화 과 1930년대 상해 문화헤게모니 小考, 中國小說論叢, 26, p. 342. 

  55. 최기숙 (2004), 교육주체로서의 여성과 서구유학의 문제, 여성문학연구, 12, p. 102. 

  56. 홍성범 (1992), 文學作品에 나타난 女性像과 服飾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8-9. 

  57. 윤영옥 (2005), 1920-30년대 여성잡지에 나타난 신여성 개념의 의미변화와 사회문화적 의의, 국어문학, 40, p. 204. 

  58. 권희영 (1998), 1920-1930년대 '신여성'과 모더니티의 문제, 사회와 역사, 54, p. 55. 

  59. 김동규, 임선애 (1996), 한국 근대소설과 신여성의 의미, 경동전문대학 논문집, 5, p. 374. 

  60. 엄미옥 (2006), 近代小說에 나타난 女學生연구-1920-30년대 중반 敎育을 통한 女性主體形成過程을 중심으로-, 語文硏究, 34(3), p. 388. 

  61. 우정미 (2007), 韓日新女性의 職業觀硏究, 日語敎育, 39, p. 165. 

  62. 엄미옥 (2008), 근대소설에 나타난 직업여성 연구, 한민족문화연구, 24, p. 174. 

  63. 엄미옥 (2008), 근대소설에 나타난 직업여성 연구, 한민족문화연구, 24, p. 175. 

  64. 김원 (2004), 근대화 시기 주변부 여성노동에 대한 담론, 아시아여성연구, 43(1), p. 182, p. 197, p. 198. 

  65. 김경일 (2001), 1920-1930년대 신여성의 신체와 근대성, 정신문화연구, 24(3), p. 187. 

  66. 안미영 (2006), 근대소설연구에서 몸 담론의 전개과정과 쟁점, 여성문학연구, 15, p. 129. 

  67. 김미선 (2005), 1930년대 신식화장담론이 구성한 소비주체로서의 신여성, 여성학논집, 22(2), pp. 160-162. 

  68. 김경일 (2001), 1920-1930년대 신여성의 신체와 근대성, 정신문화연구, 24(3), pp. 190-191 

  69. 맹문재 (2003), 일제강점기의 여성지에 나타난 여성미용 고찰, 한국여성학, 19(3), p. 11. 

  70. 김미정 (2007), 섹슈얼리티, 한국 근대문학사를 보는 또하나의 시선, 여성문학연구, 18, p. 391, p. 394. 

  71. 김경일 (2002), 서울의 소비문화와 신여성: 1920-1930년대를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XIX.p. 230. 

  72. 장병호 (1993), 근대소설에 나타난 신여성상 고찰, 청람어문학, 9(1), p. 312. 

  73. 자료검색일 2010. 10. 2, http://ja.wikipedia.org/wiki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