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플라스돈 S-630과 함께 분무건조된 모델 난용성 약물로서 프란루카스트의 pH 용해도 특성 및 용출률 개선
pH Solubility Properties and Improved Dissolution of Pranlukast as an Poorly Water-soluble Model Drug Prepared by Spray-drying with Plasdone S-630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5 no.4, 2011년, pp.277 - 283  

조원형 (전북대학교 BIN 융합공학과 & 고분자.나노공학과) ,  이영현 (전북대학교 BIN 융합공학과 & 고분자.나노공학과) ,  송병주 (전북대학교 BIN 융합공학과 & 고분자.나노공학과) ,  유석철 (전북대학교 BIN 융합공학과 & 고분자.나노공학과) ,  임동균 (전북대학교 BIN 융합공학과 & 고분자.나노공학과) ,  강길선 (전북대학교 BIN 융합공학과 & 고분자.나노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체분산체는 난용성 약물의 용출률 개선을 위한 방법으로 주로 사용된다. 난용성 약물인 프란루카스트를 플라스돈 S-630과 함께 분무건조하여 고체분산체를 제조하였다. pH에 따른 프란루카스트 용해도 실험을 실시하여 높은 pH에서 약물의 용해도가 높게 나왔다. 입도 분석으로 고체분산체 내의 약물의 크기가 나노 크기로 작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표면전위를 측정하여 고체분산체가 음전하를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고체분산체의 표면이 구형임을 확인하였고, 시차주사열량계와 X-선 회절 분석법을 통해 고체분산체가 무정형임을 확인하였다. 고체분산체의 용출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인공장액(pH 6.8)에서 용출거동을 확인하였고, 대조실험을 위해 시판제인 오논$^{(R)}$캡슐을 사용하였다. 이 결과로 분무건조를 통한 고체분산제의 제조를 통해 난용성 약물의 용출특성을 확인하였고, 경구용 약제학적 형태를 가질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lid dispersion is mainly used for improved dissolution of poorly water-soluble drugs. Solid dispersion of pranlukast was prepared by spray-drying with plasdone S-630. When pH of water was high, pranlukast was highly soluble in the solubility experiment of solid dispersions with varying pH. The p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45 pm PTFE 필터를 이용하여 오차를 줄이기 위해 2회 여과한 후 입자 크기를 분석하였다.25 표면전위 분석을 위해 과량의 프란루카스트와 고체분산체를 증류수에 분산시킨 후 표면전위를 분석하였다.
  • Co, Tokyo, 일본)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SEM 분석을 위한 준비과정은 시료를 탄소테이프 위에 고정시키고 아르곤가스 하에서 백금-팔라듐 코팅을 200초간 실시하였다 시료는 10.0 kV에서 관찰하였다.
  • pH농도에 따라 프란루카스트와 고체분산체의 용해도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여러 pH에서 용해도를 측정하였다(TaWe 3). pH별로 프란루카스트와 고체분산체의 용해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pH 1.
  • 측정하였다(TaWe 3). pH별로 프란루카스트와 고체분산체의 용해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pH 1.2, 3.0, 5.0, 6.8, 7.4 및 3차 증류수 50 mL에 5 mg의 프란루카스트 분말과 고체분산체를 첨가한 뒤 37 +0.5 ℃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한 인큐베이터에서 100 rpm으로 48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프란루카스트 및 고체분산체 현탁액에서 상등액을 취한 후 PTFE 필터 (0.
  • pH에 따른 고체분산체 용해도 측정 및 표면전위 분석

  • 고체분산체 내에 프란루카스트의 입자크기 및 표면전위를 분석하기 위하여 표면전위 및 입도분석기(ELS- 6000)를 이용하였다. 입도분석을 위해 프란루카스트 및 고체분산체를 정제수에 0.
  • 고체분산체의 제조 및 약물함량 측정.

  • 이용하였다. 과량의 KBr에 시료를 100:1로 혼합하여 투명한 디스크 형태로 준비하였으며 400~4000 cmT의 범위에서 분석하였다.
  • 측정하였다. 또한 프란루카스트와 고체분산체의 특성을 살피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SEM), 입도 분석(PSAJ, 표면전위 측정(Zeta—potential), 시차주사열량4KDSC), X-선 화절 분석법(XRD), 적외선 분광 광도계(FTIR)를 이용하였으며 체외 비교용출실험에서 시판제형인 오논 캡슐 112.5 mg (동아제약) 과의 비교용출실험을 통하여 생체이용률의 간접적인 지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결정성 약물인 프란루카스트를 플라스돈 S-630 및 메글루민과 분무건조시켜 고분자담체 내에 약물의 입도를 나노크기로 감소시킴으로써 용출률의 증진을 도모하였 디 : 프란루카스트와 고체 분산체의 H*에 따른 용해도를 분석하기 위해 pH별 용해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프란루카스트와 고체분산체의 특성을 살피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SEM), 입도 분석(PSAJ, 표면전위 측정(Zeta—potential), 시차주사열량4KDSC), X-선 화절 분석법(XRD), 적외선 분광 광도계(FTIR)를 이용하였으며 체외 비교용출실험에서 시판제형인 오논 캡슐 112.
  • 본 연구는 난용성 약물인 프란루카스트의 용출률 개선을 위해 수용성 고분자 담체인 플라스돈 S-630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난용성 약물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고체분산체를 제조하여 프란루카스트의 표면적을 증가시켰다. H*에 따른 약물과 고체분산체의 용해도를 측정한 결과 높은 pH에서 용해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고 고채분산체의 표면전위를 측정한 결과 고분자의 비율이 낮은 고체분산체일수록 높은 음전하를 가지고 있어 용해도가 더 크게 나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 분무건조기를 통해 제조된 고체분산체의 입자상태 및 표면은 주사전자현미경 (LV-SEM, S-3000 N, Hitachi Co, Tokyo, 일본)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SEM 분석을 위한 준비과정은 시료를 탄소테이프 위에 고정시키고 아르곤가스 하에서 백금-팔라듐 코팅을 200초간 실시하였다 시료는 10.
  • 분무건조된 고체분산체는 40 mL의 디클로로메탄에 넣어 녹인 후 10 mL의 메탄올과 혼합하여 약물을 추출하였다 이를 0.45 nm PTFE 필터로 여과하여 HPLC로 약물함량을 측정하였다. 이후 총 사용된 고분자의 양과 사용된 약물의 비를 검출된 약물의 양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공식을 이용하여 포접률을 계산하였다.
  • Rigaku, 일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차주사 열량계는 알루미늄팬에 약 2 mg의 시료를 충전하여 제조한 후 10 ℃/min 의 승온속도로 30-210 ℃의 범위에서 온도를 증가시키면서 결정성을 확인하였다.26 X선 회절은 0.
  • 용출기는 DST-610(Fine Sci, Instr, 한국)을 사용하였으며 패들 속도는 75 rpm, 용출 온도는 37±05C로 설정하였다. 용출액은 각각 900 mL로 설정하였으며, 시료는 5, 10, 15, 30, 45, 60, 90, 120, 240 및 360분에 걸쳐 1 mL씩 취하고 다시 제 2액을 1 mL씩 용출기에 보충하였다. 취한 시료는 0.
  • 05 w/v%의 농도로 현탁시킨 후 37 ℃ 에서 3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것을 상온에서 냉각시킨 후 0.45 pm PTFE 필터를 이용하여 오차를 줄이기 위해 2회 여과한 후 입자 크기를 분석하였다.25 표면전위 분석을 위해 과량의 프란루카스트와 고체분산체를 증류수에 분산시킨 후 표면전위를 분석하였다.
  • 45 nm PTFE 필터로 여과하여 HPLC로 약물함량을 측정하였다. 이후 총 사용된 고분자의 양과 사용된 약물의 비를 검출된 약물의 양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공식을 이용하여 포접률을 계산하였다.2324
  • 실시하였다. 제조된 고체분산체는 각각 112.5 mg씩 경질의 0호 젤라틘 캡슐에 충전하였다 용출액은 대한약전 제 9개정에 따라 제 1 액(인공위액, pH 1.2)과제 2액(인공장액, pH 6.8)을 제조하였다. 용출기는 DST-610(Fine Sci, Instr, 한국)을 사용하였으며 패들 속도는 75 rpm, 용출 온도는 37±05C로 설정하였다.
  • 5 ℃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한 인큐베이터에서 100 rpm으로 48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프란루카스트 및 고체분산체 현탁액에서 상등액을 취한 후 PTFE 필터 (0.45 #, Whatman, UK)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분석에 사용되는 이동상(20 rnM KH2PS아세토니트릴:메탄올=5:5:l(v/v/v%))을 이용하여 적당한 농도(1000배)로 희석한 후 HPLC로 분석하여 각 기제들에 대한 프란루카스트 및 고 체분산체의 용해도를 측정하였다.22
  • 프란루카스트의 약물방출거동과 포접률을 측정하기 위한 HPLC 분석기는 tsp-P1000펌프(Futecs, 한국) , tsp-UV1000 UV검출기 (Futecs, 한국) 및 tsp-AS1000오토샘플러 (Futecs, 한국)로 구성되었다. UV 검출 파장은 260 nm이고 시료는 한 번 주입에 20 # 주입하였으며 이동상과 샘플의 유속은 1.
  • 위해 제형을 설계해야 한다. 프란루카스트의 주요 흡수 부위인 십이지장 공장 그리고 회장에서의34 생채흡수율을 증가하기 위해 플라스돈 S-630을 이용하여 고체분산체 제제를 설계하였으며, 용출실험은 대한 약전에서 명시한 용출시험 제 2패들법으로 실시하였다. Figure 7 을 보면 인공장액에서의 용출시험결과이다.

대상 데이터

  • Fine Chemical (중국)에서 구입하였다. 고체분산체의 제조에서 수용성 담체로 사용된 플리스돈 S-630(이하" S-63O) 은 ISP Technologies, Inc (미국)에서 구입하였다. 계면활성제인 메글루민은 Sigma(미국)에서 구입하여 이용하였다.
  • 고체분산체의 제조에서 수용성 담체로 사용된 플리스돈 S-630(이하" S-63O) 은 ISP Technologies, Inc (미국)에서 구입하였다. 계면활성제인 메글루민은 Sigma(미국)에서 구입하여 이용하였다. 제조된 고체분산체와 방출 거동을 비교하기 위한 대조군으로 시판제형인 오논 캡슐 112.
  • 수용성 전달체로서 S-63Oe 1670 cnf4 에서 C=O 피크와 1740 cme1 에서 C-0 에스터기의 피크가 나타났다(Figure 1
  • 실험에 사용한 프란루카스트 반수화물은 Suzhou Longsheng Fine Chemical (중국)에서 구입하였다. 고체분산체의 제조에서 수용성 담체로 사용된 플리스돈 S-630(이하" S-63O) 은 ISP Technologies, Inc (미국)에서 구입하였다.
  • 계면활성제인 메글루민은 Sigma(미국)에서 구입하여 이용하였다. 제조된 고체분산체와 방출 거동을 비교하기 위한 대조군으로 시판제형인 오논 캡슐 112.5 kg (Onon)동아제악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 기타 시악은 HPLC 등급을 사용하였다
  • 5 ml;#으로 분석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은 10 pm #컬럼 (250X4.6 mm, Grom, 독일)을 사용하였고 표준 용액은 디클로로메탄/메탄올=4/1 (v/v) 공용 매에 프란루카스트를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분석에 사용되는 이동상은 20 mM KH2PO4/아세토니트리메탄올을 각각 5:5:l(v/v/v)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후 사'용하였다
  • 프란루카스트와 고분자와의 화학적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적외선 분광 광도계(FTIR, GX, Perkin Elmer, 미구를 이용하였다. 과량의 KBr에 시료를 100:1로 혼합하여 투명한 디스크 형태로 준비하였으며 400~4000 cmT의 범위에서 분석하였다.
  • 프란루카스트의 고체분산체 제조를 위해 사용된 용매는 50 mM NaHCQj/에탄을=11 비율로 제조된 공용매에 프란루카스트 고분자 및 계면활성제를 Table 1에 표기된 배치별로 용해 시킨 후 분무건조하여 제조하였다. 고체분산체 제조에 있어 S-630는 PCVP/VA) 공중합체로 대표적인 수용성 고분자인 PVP 계열의 고분자와 함께 용출률을 높이는데 같은 성질의 고분자로서 사용된다.

이론/모형

  • 제조된 고체분산체와 대조군인 시판제제 오논 캡슐의 용출실험은 대한약전 9개정에서 명시된 용출실험 제 2 법인 패들법으로 실시하였다. 제조된 고체분산체는 각각 112.
  • 프란루카스트 고분자 및 제조된 고체분산체의 결정학적 구조는 시차주사 열량계 (DSC, TA Instrument DSC Q10, Dupont, 미국)와 X-선 회절 분석법 (XRD, MAX 2500 X-ray diffractometer, Rigaku, 일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차주사 열량계는 알루미늄팬에 약 2 mg의 시료를 충전하여 제조한 후 10 ℃/min 의 승온속도로 30-210 ℃의 범위에서 온도를 증가시키면서 결정성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S. Chono, E. Takeda, T. Seki, and K. Morimoto, Int. J. Pharm., 347, 71 (2008). 

  2. H. Takeuchi, S. Nagira, H. Yamamoto, and Y. Kawashima, Int. J. Pharm., 293, 155 (2005). 

  3. S. Janssens, M. Anne, P. Rombaut, and G. Mooter, Eur. J. Pharm. Sci., 37, 241 (2009). 

  4. H. Hamidi, A. A. Edwards, M. A. Mohammad, and A. Nokhodchi, Colloid Surface B: Biointerfaces, 76, 170 (2010). 

  5. S. H. Yalkowsky, Techniques of Solubilization of Drugs, Marcel Dekker, Inc., p 15-157 (1981). 

  6. W. L. Chiou and J. L. Riegelman, J. Pharm. Sci., 60, 1281 (1971). 

  7. Y. H. Lee, D. S. Kim, W. Kim, Y. K. Kim, S. Eom, H. J. Park, E. Y. Lee, O. Y. Kim, D. Lee, and G. Khang, Tissue Eng. Regen. Med., 6, 723 (2009). 

  8. T. Mizoe, S. Beppu, T. Ozeki, and H. Okada, J. Control. Release, 120, 205 (2007). 

  9. J. H. Lee, D. S. Kim, W. Kim, J. H Park, S. I. Ahn, Y. T. Kim, J. M. Rhee, and G. Khang, J. Kor. Pharm. Sci., 38, 249 (2008). 

  10. M. Otsuka, M. Onoe, and Y. Matsuda, J. Pharm. Sci., 82, 32 (2006). 

  11. J. S. Park, J. Ku, J. H. Lee, Y. T. Kim, J. H. Park, S. I. Ahn, J. H. Mo, H. B. Lee, and G. Khang, J. Kor. Pharm. Sci., 38, 119 (2008). 

  12. G. Khang, J. K. Jeong, J. M. Rhee, J. S. Lee, and H. B. Lee, Macromol. Chem. Symp., 14, 123 (2001). 

  13. J. K. Jeong, J. H. Kim, G. Khang, J. M. Rhee, and H. B. Lee, J. Kor. Pharm. Sci., 32, 179 (2002). 

  14. Y. S. Ahn, H. Y. Lee, K. D. Hong, S. B. Jung, S. H. Cho, J. M. Rhee, H. B. Lee, and G. Khang, J. Kor. Pharm. Sci., 34, 169 (2004). 

  15. Y. S. Ahn, H. Y. Lee, K. D. Hong, S. B. Jung, S. H. Cho, J. M. Rhee, H. B. Lee, and G. Khang, J. Kor. Pharm. Sci., 34, 289 (2004). 

  16. Y. H. Kim, J. W. Lee, M. S. Kim, S. Y. Yang, and G. Khang, Tissue Eng. Regen. Med., 3, 96 (2006). 

  17. J. S. Park, J. H. Lee, H. S. Shin, T. W. Lee, M. S. Kim, G. Khang, J. M. Rhee, H. K. Lee, and H. B. Lee, Tissue Eng. Regen. Med., 4, 347 (2007). 

  18. J. H. Lee, J. Y. Lim, S. I. Ahn, J. H. Park, Y. T. Kim, J. M. Rhee, and G. Khang, Tissue Eng. Regen. Med., 5, 451 (2008). 

  19. N. Nakagawa, T. Obata, T. Kobayashi, Y. Okada, F. Nambu, T. Terawaki, and H. Aishita, Jpn. J. Pharmacol., 60, 217 (1992). 

  20. Y. Taniguchi, G. Tamura, M. Honma, T. Aizawa, N. Maruyama, K. Shirato, and T. Takishima, J. Allergy Clin. Immunol., 92, 507 (1993). 

  21. J. H. Park, S. Kim, J. M. Oh, S. I. Ahn, Y. T. Kim, S. H. Jung, J. H. Choi, D. Lee, I. Yoo, J. M. Rhee, and G. Khang, Tissue Eng. Regen. Med., 6, 995 (2009). 

  22. J. H. Lee, M. K. Choi, Y. T. Kim, M. J. Kim, J. M. Oh, J. S. Park, J. H. Mo, M. S. Kim, G. Khang, and H. B. Lee, J. Kor. Pharm. Sci., 37, 339 (2007). 

  23. H. B. Lee, G. Khang, J. C. Cho, J. M. Rhee, and J. S. Lee, Polymer Preprints, 40, 288 (1999). 

  24. G. Khang, J. H. Lee, J. W. Lee, J. C. Cho, and H. B. Lee, Polymer(Korea), 8, 80 (2000). 

  25. T. Mizoe, T. Ozeki, and H. Okada, J. Control. Release, 122, 10 (2007). 

  26. P. D. Martino, R. Censi, C. Barthelemy, R. Gobetto, E. Joiris, A. Masic, P. Odou, and S. Martelli, Int. J. Pharm., 342, 137 (2007). 

  27. E. J. Henderson, C. M. Hessel, and J. G. C. Veinot, J. Am. Chem. Soc., 130, 3624 (2008). 

  28. J. S. Park, J. S. Oh, J. M. Oh, Y. T. Kim, J. H. Lee, J. H. Mo, H. B. Lee, and G. Khang, Polymer(Korea), 32, 193 (2008). 

  29. T. S. Chung, C. M. Tun, K. P. Pramoda, and R. Wang, J. Membr. Sci., 193, 123 (2001). 

  30. R. Welz and S. Muller, Tetrahedron. Lett., 43, 795 (2002). 

  31. J. H. Lee, J. Ku, J. S. Park, J. H. Park, S. I. Ahn, J. H. Mo, Y. T. Kim, J. M. Rhee, H. B. Lee, and G. Khang, J. Kor. Pharm. Sci., 38, 111 (2008). 

  32. H. Nishio, Y. Hayashi, S. Terashima, and K. Takeuchi, Inflammopharmacology, 15, 266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