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검은콩 청국장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마우스의 항비만효과에 미치는 영향
Anti-obesity Effects of Black Bean Chungkugjang Extract in 3T3-L1 Adipocytes and Obese Mice Induced by High Fat Die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9, 2011년, pp.1235 - 1243  

장영선 ((주)벤스랩 중앙연구소) ,  정종문 (수원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청국장에 사용하는 대두보다 많은 양의 isoflavone과 같은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검은콩을 이용하여 청국장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추출 농축 하여 청국장이 갖는 생리활성 효과를 극대화 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검은콩 청국장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여 확인한 결과 DPPH free radical 소거효과와 superoxide radical 소거효과를 $SC_{50}$값으로 나타내었을 때 각각 $162.7{\pm}2.8$ ppm와 $205.62{\pm}3.6$ ppm으로 나타났다.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검은콩 청국장 추출물을 3T3-L1 지방세포에 처리하였다. 검은콩 청국장 추출물 처리에 의하여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고 Oil Red O 염색을 통해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의 양을 측정한 결과 검은콩 청국장 추출물 4,000 ppm 처리 시 최대 17.1%의 지방 감소를 보여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된 비만 마우스의 몸무게, 지방조직 무게(부고환, 복막 후, 장간막 지방) 및 혈청 지질 농도와 렙틴 농도에 검은콩 청국장 추출물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기 위하여 ICR 마우스에 일반식이를 급여한 일반식이군(ND), 고지방 식이를 급여한 고지방식이군(HFD)과 고지방식이에 검은콩 청국장 추출물 분말 5%를 급여한 군(HFC-BBCE군)으로 나누어 7주간 실험하였다. 고지방식이군은 일반식이군과 비교하여 혈청 지질 수준, 몸무게, 지방조직 무게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검은콩 청국장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는 식이에 의해 몸무게, 지방조직 무게 및 혈중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그리고 중성지방이 고지방 식이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검은콩 청국장 추출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시키며, 고지방식이 급여로 증가된 체중 및 지방조직 무게를 감소시키고, 혈청지질 조성을 개선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냄을 볼 수 있다. 앞으로 검은콩 청국장 추출물이 항비만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새로운 기능성식품 신소재로서 개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activity (scavenging activity of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and superoxide anion radical) and anti-obesity effects of black bean chungkugjang extract (BBCE). DPPH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and superoxide anion radical-s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 대두에 비하여 기능성이 우수한 검은콩을 청국장 대표 균주인 Bacillus subtilis를 접종하여 발효시켜 청국장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추출하여 그 효과를 극대화 하였다. 이에 따라 생산된 검은콩 청국장 추출물을 3T3-L1 지방세포에 처리하여 지방축적저해 작용을 통해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고지방 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흰쥐에 일정농도로 급여하여 체중, 혈중 지질 분석과 함께 복부 및 기타 지방 조직 측정 등을 통해 비만에 관련된 몇 가지 생화학적 지표를 조사하여 체중 조절 및 체지방 개선효과를 갖는 건강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유용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differ significantly (p<0.05), mean±SE (n=3).
  • 3)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differ significantly (p<0.05), mean±SE (n=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국장이란? 청국장은 된장, 간장과 함께 우리나라 전통장류 중의 하나로 담금 시간과 방법이 짧고 간단한 속성 콩 발효식품이며 특별한 부작용이 없는 식품으로 알려져 있고, 미생물, 효소, 다양한 생리활성물질 등이 풍부하며(3), 인체의 균형을 잡아 주어 건강을 유지, 증진시켜 준다(4). 전통 청국장은 건조한 볏짚이나 콩의 종피에 많이 서식하고 있는 고초균(Bacillus subtilis)을 포함한 Bacillus속 세균들이 원료 콩의 단백질과 당질을 주도적으로 발효시켜 소화흡수율을 증진시키고, 독특한 풍미와 점질물을 형성하며 각종 효소와 박테리오신을 포함한 기능성 물질을 생산한다.
고도비만이 수명 단축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75%에 해당되며, 이러한 열량의 초과 때문에 비만, 뇌졸중, 동맥경화증, 고혈압, 당뇨 등의 각종 퇴행성 질병이 증가되고 있다(1). 특히 고도비만은 당뇨, 심혈관질환, 고혈압, 고지혈증 등 심각한 성인병을 유발하기도 하고, 각종 암의 발생빈도를 증가시키므로 비만은 수명단축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2). 이러한 추세로 보아 지방질의 과잉섭취로 인한 비만 및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이나 질환에 대한 개선 효과가 있는 식품개발이 필요해짐에 따른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폴리글루탐산을 생산하는 균주는 무엇인가? 청국장의 발효과정에서 생성된 끈적끈적한 점질물은 글루탐산의 γ-카르복시기와 α-아미노기가 아마이드 결합된γ-폴리펩타이드로 미생물에 의해서 생산되는 아미노산계 폴리머인 폴리글루탐산(γ-polyglutamic acid, γ-PGA)이다. 지금까지 Natrialba aegyptiaca, Bacillus acthracis, Bacillus magaterium, Bacillus licheniformis 등의 균주가 생산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대두 발효 미생물인 Bacillus subtilis에 의해서 생성되는 γ-PGA가 가장 일반적이다(10). γ-PGA의 보고된 효능으로는 면역 기능 증강, 세포내 세균 및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억제효능 및 암세포 사멸 효과, 세포벽보호 및 항산화 효과, 칼슘 흡수 촉진 등이 있으며 보습성이 뛰어나 식품뿐만 아니라 화장품 소재로도 각광받고 있는 기능성 소재이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Choi JW, Lee CK, Lee YC, Moon YI, Park HJ, Han YN. 2002.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fruit and stem of prickly pear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II. Kor J Pharmacogn 33: 230-237. 

  2. Kopelman PG. 1994. Causes and consequences of obesity. Med Int 22: 385-388. 

  3. Lee JJ, Lee DS, Kim HB. 1999. Fermentation patterns of chungkookjang and kanjang by Bacillus licheniformis B1. Kor J Microbiol 35: 269-301. 

  4. Hwang JS, Kim SJ, Kim HB. 2009. Antioxidant and bloodpressure reduction effects of fermented soybean, chungkookjang. Kor J Microbiol 45: 54-57. 

  5. Choi UK, Ji WD, Chung YG. 1998. Characteristics of Chunggugjang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DC-2.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846-851. 

  6. Sumi H, Hamada H, Nakanishi K, Hiratani H. 1990. Enhancement of the fibrinolytic activity in plasma by oral administration of nattokinase. Acta Haematol 84: 139-143. 

  7. Okamoto A, Hanagata H, Kawamura Y, Yanagida F. 1995. Anti-hypertensive substances in fermented soybean, natto. Plant Foods Hum Nutr 47: 39-47. 

  8. Kim SH, Yang JL, Song YS. 1999. Physiological functions of Chungkukjang. Food Ind Nutr 4: 40-46. 

  9. Lee JO, Ha SD, Kim AJ, Yuh CS, Bang IS, Park SH. 2005. Industrial application and physiological function of Chungkukjang. Food Sci Ind 38: 69-78. 

  10. Seo JH, Kim SC, Lee SP. 200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ly- $\gamma$ -glutamic acid produced by a novel Bacillus subtilis HA isolated from Cheonggukjang. J Food Sci Nutr 13: 354-361. 

  11. Kim JE, Lee SP. 2010. Evaluation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physical properties of textured vegetable protein fermented by solid culture with Bacillus subtilis HA according to fermentation ti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872-879. 

  12. Record IR, Dreosit IE, Mclnerney JK. 1995.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enistein in vitro. J Nutr Biochem 6: 481-485. 

  13. Wei H, Cai Q, Rahn R. 1996. Inhibition of UV light and fenton reaction-induced oxidative DNA damage by the soybean isoflacone genistein. Carcinogenesis 17: 73-78. 

  14. Shon MY, Kwon SH, Sung CK, Lee SW, Park SK. 2001. Isolation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Bacillus megaterium SMY-212 for preparation of black bean Chungkugjang. J Life Sci 11: 304-310. 

  15. Yasushi S, Tsukase N, Keiko S, Hiroe Y, Hisashi Y. 1999. Stopped-flow and spectrophotometric study on radical scavenging by tea catechins and model compound. Chem Pharm Bull 47: 1369-1374. 

  16. Okamura H, Mimura A, Yakou Y, Niwano M, Takahara Y. 1993. Antioxidant activity of tannins and flavonoids in Eucalptus rostarata. Phytochemistry 33: 557-561. 

  17. Mac Dougald OA, Hwang CS, Fan H, Lane MD. 1995. Regulated expression of the obese gene product (leptin) in white adipose tissue and 3T3-L1 adipocytes. Proc Natl Acad Sci USA 20: 9034-9037. 

  18. Sladowski D, Steer SJ, Clothier RH, Balls M. 1993. An improved MTT assay. J Immunol Methods 157: 203-207. 

  19. Green H, Kehinde O. 1975. An established preadipose cell line and its differentiation in culture. II. Factors affecting the adipose conversion. Cell 5: 19-27. 

  20. Friedewald W, Levy R, Fredrickson D. 1972.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21. Ramarathnam N, Osawa T, Ochi H, Kawakishi S. 1995. The contribution of plant food antioxidants to human health trends. Food Sci Technol 6: 75-82. 

  22. Kim JE, Lee SP. 2009. Production of bioactive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soybean grit fermented with Bacillus subtilis HA according to fermentation time.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179-185. 

  23. Park JW, Lee YJ, Yoon S. 2007. Total flavonoids and phenolics in fermented soy products and their effects on antioxidant activities determined by different assays. Korean J Food Culture 22: 353-358. 

  24. Kim KB, Yoo KH, Park HY, Jeong JM. 2006.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ommercial edible plant extracts distributed in Korea.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328-333. 

  25. Lee JJ, Cho CH, Kim JY, Kee DS, Kim HB. 2001. Antioxidant activity of substances extracted by alcohol from chungkukjang powder. Korean J Microbiol 37: 177-181. 

  26. Kim DH, An BJ, Kim SG, P TS, Park GH, Son JH. 2011. Anti-inflammatory effect of Ligularia fischeri , Solidago virga-aurea and Aruncus dioicus complex extracts in Raw 264.7 cells. J Life Science 21: 678-683. 

  27. Lee SY, Kim HJ, Choi SW. 2011.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eranium nepalense subsp. thunbergii extract.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7: 61-66. 

  28. Chen HC, Farese J. 2000. DGAT and triglyceride synthesis: a new target for obesity treatment? Trends Cardiovasc Med 10: 188-192. 

  29. Duane WC. 1997. Cholesterol metabolism in familial hypertriglyceridemia: effects of obesity versus triglyceride level. J Lab Clin Med 130: 635-642. 

  30. Kim JY, Jeong JE, Moon SH, Park KY. 2010. Antiobesity effect of the Bacillus subtilis KC-3 fermented soymilk in 3T3-L1 adipocyt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126-1131. 

  31. Park SH, Ko SK, Chung SH. 2005. Euonymus alatus prevents the hyperglycemia and hyperlipidemia induced by high-fat in ICR mice. J Ethnopharmacol 102: 326-335. 

  32. Wat E, Tandy S, Kapera E, Kamili A, Chung RWS, Brown A, Brown A, Rowney M, Cohn JS. 2009. Dietary phospholipid- rich dairy milk extract reduces hepatomegaly, hepatic steatosis and hyperlipidemia in mice fed a high fat diet. Atherosclerosis 205: 144-150. 

  33. Gotto AM Jr, Farmer JA. 2006. Drug insight: The role of statins in combination with ezetimibe to lower LDLcholesterol. Nat Clin Pract Cardiovasc Med 3: 664-672. 

  34. Lee KS, Kim JB. 2009. Effects of the Sarcodon aspralus on the high level of blood lipid and obesity induced by high fat-diet in rat. J Life Science 19: 1265-1270. 

  35. Campfield LA, Smith FJ, Guisez Y, Devos R, Burn P. 1995. Recombinant mouse OB protein: evidence for a peripheral signal linking adiposity and central neural networks. Science 269: 546-549. 

  36. Palous A, Serra F, Bonet ML, Pico C. 2000. Obesity: molecular bases of a multifactorial problem. Eur J Nutr 3: 127-144. 

  37. Miller WC, Lindeman AK, Wallace J, Niedeerpruem M. 1990. Diet composition, energy intake, and exercise in relation to body fat in men and women. Am J Clin Nutr 52: 426-430. 

  38. Kim JH, Hahm DH, Yang DC, Kim JH, Lee HJ, Shim I. 2005. Effect of crude saponin of Korean red ginseng on high-fat diet-induced obesity in the rat. J Pharmacol Sci 97: 124-131. 

  39. Bjorntorp P. 1988. The associations between obesity, adipose tissue distribution and disease. Acta Med Scand 723: 121-134. 

  40. Bjorntorp P. 1990. "Portal" adipose tissue as a generator of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and diabetes. Atherosclerosis 10: 493-496. 

  41. Despres JP. 1993. Abdominal obesity as important component of insulin-resistant syndrome. Nurtition 19: 452-4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