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전성 비만 마우스에 대한 아프리칸 망고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s of African Mango (Irvingia gabonesis, IGOB 131TM) Extract in Leptin-deficient Obese Mi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10, 2014년, pp.1477 - 1483  

이민희 (경희대학교 의학영양학과) ,  남다은 (경희대학교 의학영양학과) ,  김옥경 (경희대학교 의학영양학과) ,  심태진 ((주)진용) ,  김지훈 ((주)진용) ,  이정민 (경희대학교 의학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유전성 비만 마우스를 이용하여 아프리칸 망고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 내용을 아프리칸 망고 추출물의 섭취 농도를 식이의 1%와 2%로 정하고, AIN93G diet에 아프리칸 망고 추출물 분말을 1%와 2% 섞어 diet를 제작하였다. 실험 식이를 8주간 제공한 후 실험 종료 시 실험군들의 체중 변화는 ob/ob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실험동물의 간 및 지방조직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간의 무게와 지방조직의 무게가 ob/ob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실험동물의 혈청 지질 함량은 TG, TC, LDL-콜레스테롤이 ob/ob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고, HDL-콜레스테롤은 고농도 섭취 시 ob/ob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Adiponectin 유전자의 발현은 ob/ob군이 가장 낮았고, 실험식이 섭취군들은 ob/ob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Adipogenic enzyme과 transcription factor인 FAS, LPL, PPAR-${\gamma}$, C/EBP, SREBP 유전자의 발현은 ob/ob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실험식이 섭취군들은 ob/ob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전반적으로 본 실험에서는 아프리칸 망고 추출물이 leptin 유전자가 결핍된 비만 동물 모델에서 체중 감소 및 혈청 지질 함량을 개선시켜 주는 효과가 있고, adipogenic enzyme과 transcription factor 조절에 유익한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아프리칸 망고 추출물이 항비만 효과를 가진 천연 기능성 식품의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besity effects of African mango (Irvingia gabonesis, IGOB $131^{TM}$) extract in leptin-deficient obese mice. Experimental groups were treated with two different doses of IGOB $131^{TM}$ (1% and 2% in each AIN93G supplement) for 8 weeks. Treat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유전성 비만 마우스를 이용하여 아프리칸 망고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내용을 아프리칸 망고 추출물의 섭취 농도를 식이의 1%와 2%로 정하고, AIN93G diet에 아프리칸 망고 추출물 분말을 1%와 2% 섞어 diet를 제작하였다.
  • 이처럼 아프리칸 망고 추출물은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나 아직 이에 대한 효능적 실험연구 및 기전적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아프리칸 망고 추출물이 항비만 효과에 미치는 효능을 실험적으로 검증하고 기능성 식품 소재의 개발을 위한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leptin 유전자가 결함인 ob/ob mice에서 아프리칸 망고 추출물 섭취 효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은 어떤 질병의 원인인가? 최근 급속한 경제 성장과 생활수준 향상으로 식생활 패턴이 서구화되고, 과잉섭취 형태로 변화되면서 비만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비만은 고혈압, 당뇨, 뇌졸중, 고지혈증, 심혈관계질환 등을 포함한 만성질병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1-3). 비만은 에너지 섭취와 소비의 불균형, 운동 부족, 정신적 문제, 부적절한 식습관, 유전적인 원인 및 내분비계 장애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지방조직이 과잉 축적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4).
비만 치료를 위한 약물요법의 부작용은 무엇인가? 필요시에는 흡수 저해제(orlistat)나 식욕 억제제(phentermine, diethylpropion, mazindol, phendimetrazine)인 약물요법을 병행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들은 비타민 K의 흡수를 방해하며 이에 따라 와파린의 항응고 작용을 항진시킬 가능성, 입마름, 수면장애, 이상감각, 우울감, 기억장애 등의 부작용을 일으킨다(8-11).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비만 예방 및 개선 효과가 있으나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천연성분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12).
비만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비만은 고혈압, 당뇨, 뇌졸중, 고지혈증, 심혈관계질환 등을 포함한 만성질병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1-3). 비만은 에너지 섭취와 소비의 불균형, 운동 부족, 정신적 문제, 부적절한 식습관, 유전적인 원인 및 내분비계 장애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지방조직이 과잉 축적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4).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비만의 발생원인과 운동, 식이요법, 행동요법 등의 치료 및 예방법에 관한 많은 보고들이 제시되고 있다(5-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opelman PG. 2000. Obesity as a medical problem. Nature 404: 635-643. 

  2. Visscher TL, Seidell JC. 2001. The public health impact of obesity. Annu Rev Publ Health 22: 355-375. 

  3. Kim DJ, Kwon CK, Choi DJ, Ka KH, Kim TM, Kim BT, Lee BK, Hwang JH, Ann ES, Kim DY. 2009. Effects of nutritional education and exercise intervention on improvement of diet intakes and metabolic risk factors in obese middle aged women. J Exerc Nutr Biochem 13: 179-184. 

  4. Chua SC, Leibel RL. 1996. Obesity genes: Molecular and metabolic mechanism. Diabetes Reviews 5: 2-7. 

  5. Diehl AK. 1991. Epidemiology and natural history of gallstone disease. Gastorenterol Clin North Am 20: 1-19. 

  6. Freedman DS, Serdula MK, Percy CA, Ballew C, White L. 1997. Obesity, levels of lipids and glucose, and smoking among Navajo adolescents. J Nutr 127: 2120S-2127S. 

  7. Larsson B, Bjorntorp P, Tibblin G. 1981. The health consequences of moderate obesity. Int J Obes 5: 97-116. 

  8. Zhi J, Moore R, Kanitra L, Mulligan TE. 2003. Effects of orlistat, a lipase inhibitor, on the pharmacokinetics of three highly lipophilic drugs (amiodarone, fluoxetine, and simvastatin) in healthy volunteers. J Clin Pharmacol 43: 428-435. 

  9. Cercato C, Roizenblatt VA, Leanca CC, Segal A, Lopes Filho AP, Mancini MC, Halpern A. 2009.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of the long-term efficacy and safety of diethylpropion in the treatment of obese subjects. Int J Obes (Lond) 33: 857-865. 

  10. Bray GA, Hollander P, Klein S, Kushner R, Levy B, Fitchet M, Perry BH. 2003. A 6-month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dose-ranging trial of topiramate for weight loss in obesity. Obes Res 11: 722-733. 

  11. Wilding J, Van Gaal L, Rissanen A, Vercruysse F, Fitchet M; OBES-002 Study Group. 2004. A randomized double- 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of the long-term efficacy and safety of topiramate in the treatment of obese subjects.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8: 1399-1410. 

  12. Cho YS, Jang EM, Jang SM, Chun MS, Shon MY, Kim MJ, Lee MK. 2007. Effect of grape seed water extract on lipid metabolism and erythrocyte antioxidant defense system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C57BL/6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537-1543. 

  13. Ngondi JL, Oben JE, Minka SR. 2005. The effect of Irvingia gabonesis seeds on body weight and blood lipids of obese subjects in Cameroon. Lipids Health Dis 4: 12. 

  14. Omoruyi F, Adamson I. 1993. Digestive and hepatic enzyme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fed supplements of dikanut (Irvingia gabonensis) and cellulose. Ann Nutr Metab 37: 14-23. 

  15. Omoruyi F, Adamson I. 1994. Effect of supplements of dikanut (Irvingia gabonensis) and cellulose on plasma lipids and composition of hepatic phospholipid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 Nutr Res 14: 537-544. 

  16. Ingalls AM, Dickie MM, Snell GD. 1950. Obese a new mutation in the house mouse. J Hered 41: 317-318. 

  17. Park ST, Jeong JC. 2008. Effects of Cheonghyul-san on blood glucose, hyperlipidemia, polyol pathway and reactive oxygen species in ob/ob mice.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2: 350-356. 

  18. Green A, Rumberger JM, Stuart CA, Ruhoff MS. 2004. Stimulation of lipolysis by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 3T3-L1 adipocytes is glucose dependent: implications for long-term regulation of lipolysis. Diabetes 53: 74-81. 

  19. Park SH, Jang MJ, Hong JH, Rhee SJ, Choi KH, Park MR. 2007. Effects of mulberry leaf extract feeding on lipid status of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43-50. 

  20. Goldfine AB, Kahn CR. 2003. Adiponectin: linking the fat cell to insulin sensitivity. Lancet 362: 1431-1432. 

  21. Gil JH, Lee JA, Kim JY, Hong YM. 2008. Leptin, adiponectin, interleukin-6 and tumor necrosis factor- $\alpha$ in obese adolescents. Korea J Pediatrics 51: 597-603. 

  22. Oben JE, Ngondi JL, Blum K. 2008. Inhibition of Irvingia gabonensis seed extract (OB131) on adipogenesis as mediated via down regulation of the PPARgamma and leptin genes and up-regulation of the adiponectin gene. Lipids Health Dis 7: 44-49. 

  23. Auwerx J, Leroy P, Schoonjans K. 1992. Lipoprotein lipase: recent contributions from molecular biology. Crit Rev Clin Lab Sci 29: 243-268. 

  24. Lee JJ, Chung CS, Kim JG, Choi BD. 2000. Effects of fasting- refeeding on rat adipose tissue lipoprotein lipase activity and lipogenesis: Influence of food restriction during refeed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471-478. 

  25. O'Brien KD, Gordon D, Deeb S, Ferguson M, Chait A. 1992. Lipoprotein lipase is synthesized by macrophage-derived foam cells in human coronary atherosclerotic plaques. J Clin Invest 89: 1544-1550. 

  26. Berger J, Moller DE. 2002. The mechanisms of action of PPARs. Annu Rev Med 53: 409-435. 

  27. Tyagi S, Gupta P, Saini AS, Kaushal C, Sharma S. 2011. The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A family of nuclear receptors role in various diseases. J Adv Pharm Technol Res 2: 236-240. 

  28. Darlington GJ, Ross SE, MacDougald OA. 1998. The role of C/EBP gene in adipocyte differentiation. J Biol Chem 273: 30057-30060. 

  29. Dipak PR, Pelagia F. 2002. CCAT/enhancer-binding protein: structure, function and regulation. Biochem J 365: 561-575. 

  30. Horton JD, Goldstein JL, Brown MS. 2002. SREBPs: activators of the complete program of cholesterol and fatty acid synthesis in the liver. J Clin Invest 109: 1125-1131. 

  31. Brown MS, Goldstein JL. 1997. The SREBP pathway: regulation of cholesterol metabolism by proteolysis of a membrane- bound transcription factor. Cell 89: 331-3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