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학교육에서 학생 생성 질문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한 수업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Student Generation Questioning Strategy on Engineering Education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14 no.6, 2011년, pp.24 - 30  

홍경선 (군산대학교 교양교직과) ,  김동익 (군산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scribe the case of student generation questioning strategy on engineering education and to find advantages of applying this strategy and any suggestions of this strategy for the improvement. First of all, Questioning Sheet, the methods of applying the sheet and e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학생들이 수업 중에 질문을 할 수 있도록 촉진하고 있는 수업 사례를 통해 학생들이 질문하는 실태를 살피고, 학생들이 생성하는 질문이 학생의 성취도와 학습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둘째, 학생들이 생성하는 질문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 셋째, 학생들이 생성하는 질문이 학습태도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질문은 학습의 시작이 된다라고 할 수 있는 이유는? 학생들이 하는 질문은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것과 아직 이해하지 못한 것을 정리하게 하고 그 공백을 깨닫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해하지 못한 공백 즉 지식의 공백을 인지하고 이를 채우고자 하는데서 배움이 일어나므로(칩 히스, 댄 히스 , 2009) 질문은 학습의 시작이 된다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학생이 자신의 학습에 적극성을 띄려면 지식의 공백을 파악하고 이를 채우기 위해 질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수업이란? 수업은 교수자와 학생이 만나는 활동의 장이며 수업 중 일어나는 활발한 상호작용이 학습효과를 증진시킨다는데 대해 이견을 제시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학습이 정보 전달과 흡수라는 일방적 상호작용 과정에서 보다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양방적 상호작용 과정 속에서 더욱 활발하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2010년 한국교육개발원(KEDI)의 연구에 따르면 대학생 10명 중 2명은 수업 중 질문한 경험이 없는것으로 나타났으며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자발적인 질문과 같은 적극적인 수업 참여 행위를 하지 않는다’고 밝혔는데 이러한 결과가 생긴 까닭은 무엇인가? 이러한 원인에 대하여 어떤 학자들은 우리나라의 주입식 교육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하기도 하며, 또 어떤 학자들은 대학 사회의 다양성을 무시한 채 획일화를 강요하는 한국사회의 고질적 병폐가 ‘강의실의 침묵’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하기도 하였다(한국일보, 2011년 4월 15일 10면). 여기에 웃어른에게 쉽게 질문하지 못하는 유교적 문화 전통과 질문이 교수의 권위에 대한 도전으로 비칠까하는 보수적 교수사회 분위기도 한 몫을 한다고 하는 학자도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박인식(편역)(1988). 탈무드. 마빈 토케이어(저). 서울: 육문사. 

  2. 한국교육개발원(2010).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 연구. RR 2010-17 연구보고. 

  3. 한국일보 2011년 4월 15일자. 

  4. 칩 히스, 댄 히스(2007). 스틱! 뇌리에 착 달라붙는 메시지의 힘. 안진화, 박슬라(공역). 서울: 웅진윙스. 

  5. 정영란, 배재희(2002). 질문 강화 수업이 중학생들의 질문 수준과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872-881. 

  6. 전숙경(2010). 수업언어로서의 '질문'에 대한 이해. 교육철학, 50: 165-187. 

  7. Sadker, M. & Sadker, D.(1986). Sexism in the Classroom: From Grade School to Graduate School. The Phi Delta Kappan, 67(7): 512-520. 

  8. Chin, C., Brown, D., & Brouce, B.(2002). Student-generated Questions: A Meaningful Aspect of Learning in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5): 521-549. 

  9. King, A.(1994). Guiding knowledge construction in the classroom: Effect of teaching children how to question and how to explai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1: 338-368. 

  10. Baird, J. & Mitchell, I.(1986). Improving th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An Austrailian case study-The PEEL project. Melbourne: Monash University. 

  11. Maskill, R., & de Jesus, P.(1997). Pupils' questions, alternative frameworks and the design of science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9(7): 781-799. 

  12. Gardner, P.(1985). Cognitive approaches in instructional task analysis. Review of Research in Education. 12: 157-195. 

  13. 전동진(1998). 질문생성 학습유형이 초등학교 야동의 고등사고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Redfield, D. & Rousseau, E.(1981). A Meta-Analysis of Experimental Research on Teacher Questioning Behavior.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1(2): 237-245. 

  15. Hunkins, F.(1989). Teaching Thinking Through Effective Questioning. Boston, MA.; Christopher-Grordon Publishers. 

  16. 변홍규(1994). 질문제시의 기법: 능률의 질문기법 훈련프로그램. 서울: 교육과학사. 

  17. 고민녀(2003). 질문생성전략을 활용한 STAD 학습방법이 독해력에 미치는 효과. 제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김경순.김소연.이정민.노태희(2007). 물질의 세 가지 상태 및 분자의 운동에 대한 개념 학습에서 상호동료 질문생성 전략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5): 394-403. 

  19. King, A.(1990). Enhancing Peer Interaction and Learning in the Classroom Through Reciprocal Questioning.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27(4): 664-687. 

  20. 유현희(2009). 질문을 통한 학습 성과 개선. 전북: 군산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21. 김정아(2006). 고차적 질문생성 방략이 초등과학수업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