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 연안역 일차생산량 추정을 위한 GOCI 자료 적용
Application of GOCI to the Estimates of Primary Productivity in the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6 no.2 pt.2, 2020년, pp.237 - 247  

최종국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위성센터) ,  안재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위성센터) ,  손영백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제주특성연구센터) ,  황득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위성센터) ,  이순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위성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GOCI 자료로부터 산출된 엽록소농도(CHL), 광합성유효광량(PAR), 진광층 깊이 및 국외 위성 기반의 해수면온도자료(SST)를 이용하여 동해 연안의 일차생산량 지도를 작성하고, 각 인자들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광범위한 냉수대가 발현한 2013년 7월 25일과 대규모 적조가 발생한 2013년 8월 13일에는 평균 1,012 mg C m-2 d-1 및 1,945 mg C m-2 d-1의 높은 일차생산량을 보였다. 냉수대와 적조가 물러난 2013년 8월 25일에는 평균 778 mg C m-2 d-1의 일차생산량을 보여 기존 연구의 분석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민감도 분석결과, 광합성유효광량은 일차생산량 계산 결과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진광층 깊이와 엽록소 농도는 평균 민감도인 0.5 이상의 값을 보였다. 특히 해수면 온도는 결과값에 매우 큰 변화를 가져와 해수면 온도 자료에 오류가 있을 경우 일차생산량 계산 결과에 큰 오류를 가져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일차 생산량 연구에 GOCI 자료가 활용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하루 8회 영상획득이 가능한 GOCI를 적용함으로써 일차생산량 추정을 위한 입력변수들의 정확도가 향상되어, 국외의 극궤도 위성에 비해 정밀도가 높은 일차생산량 추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ere, we generated maps of primary production in the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using sea surface chlorophyll-a concentrations (CHL), photosynthetically available radiation (PAR), euphotic depth induced by GOCI along with sea surface temperature (SST) from satellites of foreign countries as inpu...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동해안 지역을 대상으로 GOCI 자료로부터 취득된 CHL, PAR, Kd(490) 자료와 국외위성으로부터 얻어진 SST를 이용하여 해양의 일차생산량 지도를 작성한다. 또한, 각 인자들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여 어떤 인자가 일차생산량 추정에 중요한 인자인지 밝히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 일차생산량 계산에 사용된 각 입력변수인 CHL, PAR, Kd(490) 및 SST 값이 각각 일차생산량 계산 결과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 지 알아보기 위하여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민감도 분석은 모델의 결과가 각 입력자료에 얼마나 의존하는가를 평가하기 위해 활용되며, 이를 통해 모델 결과에 영향을 주는 주 요인을 알아내고 각 요인의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다(Gupta and Razavi, 2017; Park and Lek, 2016).
  •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동해 남서부 연안해역을 대상으로 GOCI 자료를 이용하여 작성된 CHL, PAR, Kd(490) 및 국외위성 기반의 SST를 이용하여 해양의 일차생산량 지도를 작성하고, 각 인자들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여 어떤 인자가 연구지역 일차생산량 추정에 중요한 인자인지 검토하였다. GOCI 자료를 이용한 일차생산량 추정 결과, 광범위한 냉수대가 발현한 2013년 7월 25일과 대규모 적조가 발생한 2013년 8월 13일에는 평균 1,012 mg C m-2 d-1 및 1,945 mg C m-2 d-1로 높게 분석되었으며, 적조가 물러나고 냉수대가 잦아든 2013년 8월 25일에는 평균 778 mg C m-2 d-1의 일차생산량을 보여 앞선 연구의 결과와 높은 일치성을 보였다.
  • , 2013). 특히, 이 지역에서는 2013년 여름 대규모 적조가 발생한 바 있으며(Choi et al.,2014), 그 시기를 대상으로 GOCI 자료를 적용하여 일차생산량 지도를 작성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hn, J.-H., Y.-J. Park, W. Kim, and B. Lee, 2016. Simple aerosol correction technique based on the spectral relationships of the aerosol multiple-scattering reflectances for atmospheric correction over the oceans, Optics Express, 24(26): 29659. 

  2. Ahn, J.-H., Y.-J. Park, W. Kim, B. Lee, and I. S. Oh, 2015. Vicarious calibration of the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Optics Express, 23(18): 23236. 

  3. Behrenfeld, M. J. and P. G. Falkowski, 1997. Photosynthetic rates derived from satellite-based chlorophyll concentration, Limnology and Oceanography, 42(1): 1-20. 

  4. Behrenfeld, M. J., J. T. Randerson, C. R. McClain, G. C. Feldman, S. O. Los, C. J. Tucker, P. G. Falkowski, C. B. Field, R. Frouin, W. E. Esaias, D. D. Kolber, and N. H. Pollack, 2001. Biospheric Primary Production During an ENSO Transition, Science, 291(5513): 2594-2597. 

  5. Campbell, J., D. Antoine, R. Armstrong, K. Arrigo, W. Balch, R. Barber, M. Behrenfeld, R. Bidigare, J. Bishop, M.-E. Carr, W. Esaias, P. Falkowski, N. Hoepffner, R. Iverson, D. Kiefer, S. Lohrenz, J. Marra, A. Morel, J. Ryan, V. Vedernikov, K. Waters, C. Yentsch, and J. Yoder, 2002. Comparison of algorithms for estimating ocean primary production from surface chlorophyll, temperature, and irradiance, Global Biogeochemical Cycles, 16(3): 9-1-9-15. 

  6. Carr, M.-E., M. A. M. Friedrichs, M. Schmeltz, M. Noguchi Aita, D. Antoine, K. R. Arrigo, I. Asanuma, O. Aumont, R. Barber, M. Behrenfeld, R. Bidigare, E. T. Buitenhuis, J. Campbell, A. Ciotti, H. Dierssen, M. Dowell, J. Dunne, W. Esaias, B. Gentili, W. Gregg, S. Groom, N. Hoepffner, J. Ishizaka, T. Kameda, C. Le Quere, S. Lohrenz, J. Marra, F. Melin, K. Moore, A. Morel, T. E. Reddy, J. Ryan, M. Scardi, T. Smyth, K. Turpie, G. Tilstone, K. Waters, and Y. Yamanaka, 2006. A comparison of global estimates of marine primary production from ocean color, Deep Sea Research Part II: Topical Studies in Oceanography, 53(5-7): 741-770. 

  7. Choi, J. K., J. E. Min, J. H. Noh, T. H. Han, S. Yoon, Y. J. Park, J. E. Moon, J. H. Ahn, S. M. Ahn, and J. H. Park, 2014. Harmful algal bloom (HAB) in the East Sea identified by the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Harmful Algae, 39: 295-302. 

  8. Choi, J. K., Y. J. Park, J. H. Ahn, H. S. Lim, J. Eom, and J. H. Ryu, 2012. GOCI, the world's first geostationary ocean color observation satellite, for the monitoring of temporal variability in coastal water turbidity,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117(9): 1-10. 

  9. Dash, P., A. Ignatov, M. Martin, C. Donlon, B. Brasnett, R. W. Reynolds, V. Banzon, H. Beggs, J.-F. Cayula, Y. Chao, R. Grumbine, E. Maturi, A. Harris, J. Mittaz, J. Sapper, T. M. Chin, J. Vazquez-Cuervo, E. M. Armstrong, C. Gentemann, J. Cummings, J.-F. Piolle , E. Autret, J. Robert-Jones, S. Ishizaki, J. L. Hoyer, and D. Poulter, 2012. Group for High Resolution Sea Surface Temperature (GHRSST) analysis fields intercomparisons-Part 2: Near real time web-based level 4 SST Quality Monitor (L4-SQUAM), Deep Sea Research Part II: Topical Studies in Oceanography, 77-80: 31-43. 

  10. Field, C. B., 1998. Primary Production of the Biosphere: Integrating Terrestrial and Oceanic Components, Science, 281(5374): 237-240. 

  11. Forget, M., C. Fuentes-Yaco, S. Sathyendranath, T. Platt, J. Pommier, and E. Devred, 2007. Computation of primary production from remote sensing of ocean colour at the northwestern Atlantic CSOLAS Lagrangian site,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352: 27-38. 

  12. Frouin, R. and J. McPherson, 2012. Estimating photosynthetically available radiation at the ocean surface from GOCI data, Ocean Science Journal, 47(3): 313-321. 

  13. Gupta, H. and S. Razavi, 2017. Chapter 20 - Challenges and Future Outlook of Sensitivity Analysis, In: Petropoulos, G.P., Srivastava, P.K. (Ed.), Sensitivity Analysis in Earth Observation Modelling, Elsevier, Amsterdam, Netherlands, pp. 397-415. 

  14. Hu, C., K. L. Carder, and F. E. Muller-Karger, 2000. Atmospheric Correction of SeaWiFS Imagery over Turbid Coastal Water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74(2): 195-206. 

  15. Joo, H., J. W. Park, S. Son, J.-H. Noh, J.-Y. Jeong, J. H. Kwak, S. Saux-Picart, J. H. Choi, C.-K. Kang, and S. H. Lee, 2014. Long-term annual primary production in the Ulleung Basin as a biological hot spot in the East/Japan Se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119(5): 3002-3011. 

  16. Jorgensen, S.E., 2011. Fundamentals of Ecological Modelling, Elsevier, Amsterdam, Netherlands. 

  17. Kameda, T., 2003. Studies on oceanic primary production using ocean color remote sensing data, Bulletin of Fisheries Research Agency, 9: 118-148. 

  18. Kameda, T. and J. Ishizaka, 2005. Size-fractionated primary production estimated by a two-phytoplankton community model applicable to ocean color remote sensing, Journal of Oceanography, 61(4): 663-672. 

  19. Kim, D. W., Y. H. Jo, J. K. Choi, J. G. Choi, and H. Bi, 2016. Physical processes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an anomalously large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 in the East sea/Japan sea, Harmful Algae, 55: 250-258. 

  20. Kim, J., H. Yang, J.-K. Choi, J.-E. Moon, and R. Frouin, 2016. Estimating Photosynthetically Available Radiation from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2(3): 253-2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Kim, W., J.-E. Moon, Y.-J. Park, and J. Ishizaka, 2016. Evaluation of chlorophyll retrievals from Geosta - 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for the North-East Asian region,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84: 482-495. 

  22. Kirk, J.T.O., 1994. Light and Photosynthesis in Aquatic Ecosystems: 2n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23. Kwak, J. H., S. H. Lee, H. J. Park, E. J. Choy, H. D. Jeong, K. R. Kim, and C. K. Kang, 2013. Monthly measured primary and new productivities in the Ulleung Basin as a biological "hot spot" in the East/Japan Sea, Biogeosciences Discussions, 10(2): 2127-2158. 

  24. Moon, J.-E., Y.-J. Park, J.-H. Ryu, J.-K. Choi, J.-H. Ahn, J.-E. Min, Y.-B. Son, S.-J. Lee, H.-J. Han, and Y.-H. Ahn, 2012. Initial validation of GOCI water products against in situ data collected around Korean peninsula for 2010-2011, Ocean Science Journal, 47(3): 261-277. 

  25. Morel, A., Y. Huot, B. Gentili, P. J. Werdell, S. B. Hooker, and B. A. Franz, 2007. Examining the consistency of products derived from various ocean color sensors in open ocean (Case 1) waters in the perspective of a multi-sensor approach,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1(1): 69-88. 

  26. Noh, J. H., W. Kim, S. H. Son, J.-H. Ahn, and Y.-J. Park, 2018. Remote quantification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occurring in the East Sea using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Harmful Algae, 73: 129-137. 

  27. O'Reilly, J. E., S. Maritorena, B. G. Mitchell, D. A. Siegel, K. L. Carder, S. A. Garver, M. Kahru, and C. McClain, 1998. Ocean color chlorophyll algorithms for SeaWiF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103(C11): 24937-24953. 

  28. Park, Y.S. and S. Lek, 2016. Chapter 7 - Artificial Neural Networks: Multilayer Perceptron for Ecological Modeling, In: S.E. Jorgensen (Ed.), Developments in Environmental Modelling, Elsevier, Amsterdam, Netherlands, pp. 123-140. 

  29. Siswanto, E., J. Ishizaka, and K. Yokouchi, 2006. Optimal primary production model and parameteri - zation in the eastern East China Sea, Journal of Oceanography, 62(3): 361-372. 

  30. Yamada, K., J. Ishizaka, and H. Nagata, 2005.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Satellite Primary Production in the Japan Sea from 1998 to 2002, Journal of Oceanography, 61(5): 857-869. 

  31. Yoon, S. and H. Yang, 2016. Study on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in cold water zone in the East Sea using satellite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2(6): 703-7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