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평위산 전탕액의 보관온도 및 기간에 따른 주요성분 및 미생물 군집 변화
Changes of Principal Components and Microbial Population in Pyungwi-san Decoction according to the Preservation Temperature and Period 원문보기

大韓韓醫學會誌 =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ine, v.32 no.5, 2011년, pp.41 - 49  

서창섭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EBM연구센터) ,  신현규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EBM연구센터) ,  김정훈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EBM연구센터) ,  신광수 (대전대학교 미생물생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o optimize the preservation method of herbal decoction, we investigated the content of principle components of Pyungwi-san, liquiritin, glycyrrhizin, and hesperidin according to preservation temperature and period. We also investigated the changing patterns of pH and microbial popul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한약 전탕액의 약효 및 성분의 변화를 줄 수 있는 또 다른 인자인 자체 미생물의 변화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대표적인 소화기 질환 처방으로, 구성 한약재 수가 적고, 한의원 사용 빈도 8위인 평위산10) 전탕액을 대상으로 보관 온도 및 보관 기간에 따른 평위산 탕액의 주요 지표성분, 산도 및 미생물 군집의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탕액의 보관 방법 및 유통기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는 전탕액의 안정성과 유효성을 검정하는 것이 기본이나 전탕액이 한방 의료기관 내에서 전탕되고, 이러한 전탕시설과 공간이 무균상태도 아니므로 미생물에 대한 오염 또한 중요한 인자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약의 최적 보관 방법과 기간을 알아보고자 평위산을 선정하여 8개월 동안 보관에 따른 주요성분 및 미생물 군집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약 전탕액의 약효 및 성분의 변화를 줄 수 있는 또 다른 인자인 자체 미생물의 변화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대표적인 소화기 질환 처방으로, 구성 한약재 수가 적고, 한의원 사용 빈도 8위인 평위산10) 전탕액을 대상으로 보관 온도 및 보관 기간에 따른 평위산 탕액의 주요 지표성분, 산도 및 미생물 군집의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탕액의 보관 방법 및 유통기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등의 감초, 지실, 인진 탕전액에 대한 보관 조건과 기간에 대한 안정성 연구가 있다. 이들 연구들은 한약의 약효에 영향을 주는 유효성과 안정성을 목적으로, 전탕액의 항균, 항염, 진통, 항부종 효과 실험과 지표성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 한약의 최적 보관 방법과 기간을 알아보고자 평위산 탕액의 보관에 따른 지표 성분 및 미생물 군집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8개월 동안 평위산 탕액의 주요성분의 변화에서는 감초의 주요성분인 liquiritin 과 glycyrrhizin의 성분 함량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진피의 주요성분인 hesperidin은 냉장 보관에서는 함량이 약 18%, 상온 보관에서는 약 3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약 파우치가 가지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한방의료기관에서 환자에게 10첩 혹은 20첩을 건조 한약재로 제공하든 시대에서, 1980년 대 후반에 개발되어 출시된 한약추출기는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방법이었다1). 탕전기를 통해 전탕한 한약 파우치는 복용의 편리성을 높여 한방 의료를 확산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였지만, 한약을 한꺼번에 달여 장기간에 걸쳐 복용할 경우 한약의 역가가 떨어지고 산도가 높아지는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전탕 파우치는 치료 효과와 복용의 편리성 때문에 현재 널리 사용하고 있는 방법이다2).
한약 전탕액의 보관 유통에 대한 사전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그 동안 한약 전탕액의 보관 유통에 대한 사전 연구를 살펴보면, 한약 처방 전탕액의 경시적 변화에 대한 활성 효과를 관찰한 유효성 연구3-8)와 손9) 등의 감초, 지실, 인진 탕전액에 대한 보관 조건과 기간에 대한 안정성 연구가 있다. 이들 연구들은 한약의 약효에 영향을 주는 유효성과 안정성을 목적으로, 전탕액의 항균, 항염, 진통, 항부종 효과 실험과 지표성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한약 전탕액의 보관 유통에 대한 사전 연구는 무엇을 관찰하였는가? 그 동안 한약 전탕액의 보관 유통에 대한 사전 연구를 살펴보면, 한약 처방 전탕액의 경시적 변화에 대한 활성 효과를 관찰한 유효성 연구3-8)와 손9) 등의 감초, 지실, 인진 탕전액에 대한 보관 조건과 기간에 대한 안정성 연구가 있다. 이들 연구들은 한약의 약효에 영향을 주는 유효성과 안정성을 목적으로, 전탕액의 항균, 항염, 진통, 항부종 효과 실험과 지표성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김호철. "한약파우치는 오래 보관하면 효과가 감소한다." 한의신문. 2010.08.27. 

  2. 이재민. 창간19주년 기념특집-한의원 한약문화 (1). 민족의학신문. 2008.07.18. 

  3. Keum HK, Lee SI. A study on the effect changes of Dae Hwang Mo Nan Pi Tang due to the time elapse. Kor. J. Herbology 1991;5(1):83-98 

  4. Han KS, Chio YB, Lee YJ. A study on the degraded effect of decocted Sosihotang over a period. Kor. J. Herbology 1998;13(2):7-12. 

  5. Kil GJ, Lim DB, Lee YJ. A study on the degraded effect of decocted Yeonkyopaedogsan over a period. Kor. J. Herbology 1998;13(1):173-86. 

  6. Choi YB, Lim DB, Lee YJ. A study on the degraded effect of decocted Youngsunjetongeum over a period. Korean J. Orient. Med. 1998; 19 (1):410-8. 

  7. Kim WG, Choi YB, Lee YJ. A study on the degraded effect of decocted Injinhotang over a period. Kor. J. Herbology 1998;13(2):14-8. 

  8. Yun SJ, Lee SI. Study of Jagyakgamchotang's effect change by time. Kor. J. Herbology 1992; 6(1):29-34. 

  9. Son JY, Shin JW, Son CG. Stability study for herbal drug according to storage conditions and periods. J Korean Oriental Med. 2009;30(2): 127-32. 

  10. Lee JT. Research on intake of Chinese medicine by Korean. Seoul: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6:1-244. 

  11. Lee JH, Jeon WK, Ko BS, Chun JM, Lee AY, Kim HK. A montoring for the establishment of microbial limit of herbal medicine (I). Korean J. Orient. Med. 2006;12: 49-57. 

  12. Yu YB, Ma JY, Ha HK, Huang DS, Kim BK, Shin KS, et al. Observation of microorganism in herbal decoction manufactured by Korean medical clinic. The Kor. J. Oriental Medical Pres. 2007; 15:119-26. 

  13. Choi SM, Chung HJ, Yoon YS, Lee MY, Choi HS, Sung HJ. Studies on the administration of the quality of herbal medicine. J. Korean Oriental Med. 2000;21:99-112. 

  14.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 notice from 2009-101. Seoul: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9. 

  15. Salkinoja-Salonen MS, Vuorio R, Andersson MA, Kampfer P, Andersson MC, Gonkanen-Buzalski T, et al. Toxigenic strains of Bacillus licheniformis related to food poisoning. Appl. Environ. Microbiol. 1999;65:4637-45. 

  16. Seo CS, Kim JH, Lim SH, Shin HK. Estimation of shelf-life by long-term storage test of Pyungwisan. Korean J Orintal Medical Prescription. 2011; 19(1):183-9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