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도체/디스플레이 공정 플라즈마 기초와 응용 원문보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 Information display, v.12 no.5, 2011년, pp.2 - 15  

장홍영 (한국과학기술원 물리학과)

초록이 없습니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정한 의미의 플라즈마란 무엇인가? 이때의 플라즈마는 저온에 있는 고체물질에 열을 가하면 녹아 액체로 변하고, 증발하여 가스로 변화되며, 열을 더 증가하면 각 원자들은 전자들과 양이온들로 깨져 물질의 제 4상태가 된다고 보았다. 그러나 진정한 의미의 플라즈마란 자유 하전입자인 전자, 이온 및 중성입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기적으로는 중성인 성질을 가지고 있는 상태라는 개념이 1928년 Langmuir에 의해 처음 도입되었다.[1] 이와 같이 가스 플라즈마는 백년 넘게 하나의 연구주제가 되어 왔으며, 플라즈마 물리의 기초는 19세기 말 원자물리의 발전에 크게 힘을 입었다고 Raizer[2]는 지적하고 있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공정에 응용되는 플라즈마의 세 부류는?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공정에 응용되는 플라즈마는 크게 세 가지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이 세가지 부류에는 플라즈마 에싱(ashing), 플라즈마 CVD, 플라즈마 식각이 있다.
환경적인 측면에서 플라즈마 식각이나 증착들이 요구되는 이유는? 플라즈마 식각이나 플라즈마 증착들이 요구되어지는 또 다른 이유는 플라즈마는 가스 상태이고 효율성이 뛰어나므로 습식 식각에 비하여 공정 중 발생되는 폐기물량이 매우 적어 환경오염을 상당히 억제시킬 수 있는 장점과 웨이퍼를 진공 속에 두고 반송 자동화를 시킬 수 있어 외부로부터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공정용 플라즈마는 여러 가지 박막 증착기술(Sputtering, PECVD, Anodization과 Planarization)과 플라즈마 식각에 활발히 응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J. R. Roth, IndustrialPlasmaEngineering (IOP.,Bristol, 1995), Vol.1. 

  2. Y. P. Razier, Gas Discharge Physics(Springer-Verlag, Berlin,1991). 

  3. J. W. Coburn and H. F. Winters, Ann. Rev. Mater. Sci. 13,91(1983). 

  4. D. L. Tolliver, The History of Plasma Processing in VLSI Electronics Microstructure Science (Academic Press, Florida,1984), Vol.8. 

  5. S. M. Irving, Kodak Photoresist Sem. Proc., Vol.2, May, (1968) 

  6. S. Fang, S. Murakawa and J. P. Mcvittie, IEEE Trans. Electron Devices 41,1848(1994). 

  7. S. Ma, J. P. Mcvittie, and K. C. Sarawat, IEEE Trans. Electron Device Lett. 16,534(1995). 

  8. C. H. Chien, C. Y. Chang, H. C. Lin and T. Y. Huang, IEEE Trans. Electron Device Lett. 18,33(1997). 

  9. W. Kern and V. S. Ban, Thin Film Processes (Academic, NewYork,1978). 

  10. W. Kern and G. L. Schnable, IEEE Trans. Electron Devices ED-26,647(1979). 

  11. E. C. Douglas, Solid State Technol. 24,65(1981). 

  12. H. F. Sterling and R. C. G. Swann, Solid State Electron 8,653(1965) 

  13. A. R. Reinberg, Electrochemical Soc. 91 (1976). 

  14. H. Dun, P. Pan, F. R. White and R. W. Douse, J. Electrochem. Soc. 128,1556(1981). 

  15. V. S. Nguyen, Electrochem. Soc. Ext. Abs. 83-1, 216(1983). 

  16. W. Kern and R. S. Rosier, J. Vac. Sci. Technol. 14,1082 (1977). 

  17. G. M. Samuelson and K. M. Mar, J. Electrochem. Soc. 129,1773(1982). 

  18. K. Koyama, K. Takasaki, M. Maeda and M. Takagi 3rd. Symp. Plasma Processing, Vol. 82-6, Electrochem. Soc. 479 (1982). 

  19. W. A. Bryant, J. Electrochem. Soc. 125,1534(1978). 

  20. J. K. Chu, M. 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82). 

  21. K. Akimoto and K. Watanabe, Appl. Phys, Lett. 39,445(1981). 

  22. M. Sugawara, Practical Dry Etching Process, Realize, Tokyo, (1992). 

  23. J. Proud and R. A. Gottscho, Plasma Processing of Materials, Scientific Opportunities and Technological Challenges(NationalAcademy,Washington,1991). 

  24. E. S. G. Shaqfeh and C. W. Jurgensen, J. Appl. Phys. 66,4664(1989). 

  25. S. M. Rosnagel, J. J. Cuomo and W. D. Westwood, Handbook of Plasma Processing Technology (NoyesPublication, NewJersey,1990). 

  26. Y. Hikosaka, M. Nakamura and H. Sugai, Jpn. J. Appl. Phys. 33,2157(1994). 

  27. I. Alexeff and W. D. Jones, Appl. Phys. Lett. 9,77(1966) 

  28. K.R.Mackenzie, R. J. Taylor, D. Cohn, E. Ault and H. Ikezi, Appl. Phys. Lett. 18,529(1971) 

  29. N. Herschkowitz, M. H. Cho and J. Pruski, Plasma Source Sci. Technol. 1,87(1992) 

  30. N. Sato, S. Lizuka, T. Kozumi and T. Takada, Appl. Phys. Lett. 62,567(1993) 

  31. K. Kato, S. Lizuka and N. Sato, Appl. Phys. Lett. 65,816 (1994). 

  32. S. Ashida, C. Lee and M. A. Liberman, J. Vac. Sci. Technol. A13,2498(1995). 

  33. A. J. T. Holmes, Rev. Sci. Instrum. 53(10),1523(1982). 

  34. T. H. Ahn, Ph.D. -Thesis, University of Nagoya, Nagoya, Japan, March (1997). 

  35. T. Tajima, Computational Plasma Physics: Applications to Fusion and Astrophysics (Addison-Wesley,CA,1989). 

  36. C. K. Birdsall and A. B. Langdon, Plasma physicsvia Computer Simulation (McGraw-Hill, NewYork, 1985). 

  37. R. W. Hockney and J. W. Eastwood, Computer Simulation Using Particles(IOP., Bristol,1988). 

  38. A. D. Richards, B. E. Thompson and H. H. Sawin, Appl. Phys. Lett. 50,492(1987) 

  39. C. K. Birdsall, IEEE Trans. Plasma Sci. 19,65(1991). 

  40. R. K. Porteous, H. M. Wu and D. B. Graves, Plasma Sources Sci. and Technol. 3,25(1994). 

  41. M. A. Lieberman and A. J. Lichtenberg, Principles of Plasma Discharges and Materials Processing (JohnWiley and Sons, NewYork,1994). 

  42. C. T. Gabriel and J. P. MoVittie, Solid State Technol. 81 (1992). 

  43. J. E. Stevens, Y. C. Huang, R. L. Jarecki and J. L. Cecchi, J. Vac. Sci. Technol. A10,1270(1992). 

  44. R. W. Boswell, Phys. Lett. A33,457(1970). 

  45. F. F. Chen, Plasma Phys. and Control. Fusion 33,339(1991). 

  46. K. P. Shamrai, V. P. Pavlenko and V. B. Taranov, Plasma Phys. Control. Fusion 39,505(1997). 

  47. J. Hopwood, Plasma Sources Sci. Techmol. 1,109 (1992) 

  48. V. A. Godyak, R. B. Piejak and B. M. Alexandrovich, Plasma Sources Sci. Technol. 1, 36 (1992). 

  49. G. R. Branner, E. M. Friar and G. Medicus, Rev. Sci. Instrument 34,231(1962). 

  50. F. M. Ma and S. Taylor, IEE Proc.-Sci. Meas. Technol. 143,71(1996). 

  51. G. Bruno, P. Capezzuto and G. Cicala, J. Appl. Phys. 69,7256(1991). 

  52. R. A. Gottscho and T. A. Miller, Pure Appl. Chem. 56,189(1984). 

  53. A. A. Howling, J. L. Dorier and C. Hollenstein, Appl. Phys. Lett. 62,1341(1993). 

  54. J. S. Logan and J. J. McGill, J. Vac. Sci. Technol. A10,1875(1992). 

  55. G. H. Bai, S. H. Seo and H. Y. Chang, J. Korean Vac. Soc. 7,273(1998). 

  56. S. Samukawa and T. Nakano, J. Vac. Sci. Technol. A14,1002(199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