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의 말, 언어장애 선별에 대한 검사자간 신뢰도 및 훈련효과
Inter-rater Reliability and Training Effect of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Speech and Language Disorder for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9, 2011년, pp.407 - 413  

김정완 (부산가톨릭대학교 언어청각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뇌졸중 환자의 실어증 유무를 정확히 판별하고 환자의 미세한 언어적 변화를 적절히 관찰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신뢰로운 검사도구를 사용하여야 하고, 또한 검사자가 해당 도구의 사용에 있어 충분히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실어증 및 말장애 유무의 진단에서 검사자의 전공영역에 따른 관찰자간 신뢰도를 살펴보고 훈련 전과 후의 차이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침상에 있는 뇌졸중 환자 46명을 대상으로 언어치료사, 신경과 전공의, 그리고 간호사 각각 4명씩 총 12명이 동시에 실어증 및 말장애 유무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서로 다른 전공 영역의 전문가들 간에 말명료도 과제와/아/모음연장발성 과제의 '음질' 영역에서만 'acceptable'로 나타났고, 나머지 하부검사 영역에서는 'good-excellent'로 나타났다. 관찰자간 신뢰도가 'acceptable'로 나타난 과제들에 대해 3주간의 비디오 훈련 전후의 점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훈련 후 말명료도 과제에서 검사자들 간의 평정 점수의 차이는 유의하게 줄어들었으며, '음질' 평정의 정확성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임상 경험 정도와 각 하부검사에 대한 평정 정확성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언어치료사들은 임상 경험 정도가 증가할수록 그림설명하기 과제와 말명료도 과제에서, 그리고 의사 및 간호사들은 그림설명하기 과제에서 판정 정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 결과는 뇌졸중 환자의 의사소통장애 진단에 있어 신경언어장애 환자 중, 특히 말장애환자에 대한 꾸준한 경험과 훈련이 반드시 필요하며, 훈련을 통해 평정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stinguishing aphasia in stroke patients and observing the subtle linguistic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it primarily requires the use of instruments that provide reliable assessment results. Additionally, examiners should be fully aware of how to use those instruments. This study examined 46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전공영역의 검사자들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언어장애에 해당하는 실어증 및 말장애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그 일치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낮은 일치도를 보인 하부검사영역에 대해 비디오 훈련 전후의 검사자 간의 평정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실어증 유무 선별에 있어 검사자간 신뢰도가 가장 낮은 하부검사 영역을 발견하고, 훈련을 통해 검사 자간 신뢰도가 증가하는지, 그리고 각 영역별 전문가별로 임상 경험 정도가 실어증 유무와 말장애 동반 유무 판별의 정확성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그러나 뇌졸중 환자의 실어증 유무를 판별하고, 말장애 동반 여부를 정확히 확인하는 것은 환자의 예후를 판단하고 조기 언어치료 중재를 가능하게 해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전공영역의 검사자들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언어장애에 해당하는 실어증 및 말장애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그 일치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낮은 일치도를 보인 하부검사영역에 대해 비디오 훈련 전후의 검사자 간의 평정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그것은 신뢰도 및 타당도가 확보된 검사도구라 할지라도 검사 시 평가 환경, 검사자의 전문적 지식 및 숙련도, 그리고 평가 과정에 관여하는 다양한 요소들이 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신경학적 결함 중 의사소통장애 진단 시 사용되는 실어증 선별검사 도구의 검사자간 신뢰도를 살펴봄으로써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 간에 그리고 검사의 하부영역별로 신뢰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 그리고 낮은 일치도를 보인 하부검사영역에 대해 비디오 훈련 전후의 검사자 간의 평정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실어증 유무 선별에 있어 검사자간 신뢰도가 가장 낮은 하부검사 영역을 발견하고, 훈련을 통해 검사 자간 신뢰도가 증가하는지, 그리고 각 영역별 전문가별로 임상 경험 정도가 실어증 유무와 말장애 동반 유무 판별의 정확성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립보건 뇌졸중수치 검사는 주로 누구에 의해 이루어지며 실어증 유무에 대한 판단은 어떻게 이루어지기도 하는가? 임상에서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언어장애 유무를 진단하기 위해 미국립보건 뇌졸중수치(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이하 NIHSS)[8]를 일상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 검사는 주로 신경과 의사나 간호사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 때 실어증 유무에 대한 판단은 NIHSS의 언어(best language) 검사와 마비말장애(dysarthria) 검사뿐만 아니라, 비공식적인 듣고 이해하기 검사(예: 단어이해, 명령이행)나 대화하기 등을 실시하여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것은 NIHSS의 언어 검사 및 마비말장애 검사만으로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언어 및 말장애 유무를 정확히 판별해내는데 제한적인 정보를 얻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급성기 뇌졸중 환자 임상에서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언어장애 유무를 진단하기 위해 무엇을 실시하는가? 임상에서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언어장애 유무를 진단하기 위해 미국립보건 뇌졸중수치(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이하 NIHSS)[8]를 일상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 검사는 주로 신경과 의사나 간호사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 때 실어증 유무에 대한 판단은 NIHSS의 언어(best language) 검사와 마비말장애(dysarthria) 검사뿐만 아니라, 비공식적인 듣고 이해하기 검사(예: 단어이해, 명령이행)나 대화하기 등을 실시하여 이루어지기도 한다.
실어증은 무엇인가? 실어증은 후천적인 뇌손상으로 인해 생기는 언어장애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뇌졸중 환자가 이미 신경학적인 손상을 동반하고 있기 때문에 실어증 환자의 일부는 말장애를 수반하게 된다. 이러한 말장애가 심한 경우, 실어증 진단에 있어 혼동 요소로 작용하기도 하므로, 실어증 환자가 보이는 반응 중 언어장애와 말장애의 유형과 정도를 잘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P. T. Lyden, B. Brott, K. M. Tilley, E. J. Welch, S. Mascha, E. C. Levine, EC. Haley, J. Grotta, and J. Marler, NINDS TPA Stroke Study Group, "Improved reliability of the NIH Stroke Scale using video training," Stroke, Vol.25, No.11, pp.2220-2226, 1994. 

  2. J. Kreiman, B. R. Gerratt, G. B. Kempster, A. Erman, and G. S. Berke, "Perceptual Evaluation of Voice Quality: Review, Tutorial, and a Framework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Vol.36, pp.21-40, 1993. 

  3. P. M. Pedersen, H. S. Jorgensen, H. Nakayama, O. H. Raaschou, and T. S. Olsen, "Aphasia in acute stroke: incidence, determinants and recovery," Annals of Neurology, Vol.38, No.4, pp.659-666, 1995. 

  4. S. T. Engelter, M. Gostynski, S. Papa, M. Frei, C. Born, V. Ajdacic-Gross, F. Gutzwiller, and P. A. Lyrer, "Epidemiology of aphasia attributable to first ischemic stroke: incidence, severity, fluency, etiology, and thrombolysis," Stroke, Vol.37, No.6, pp.1379-1384, 2006. 

  5. R. D. Kent, Intelligibility in speech disorders. Philadelphia, PA: John Benjarmins, 1992. 

  6. 김향희, 이미숙, 김선우, 이원용, "파킨슨증으로 인한 마비말장애의 청지각적 평가에 대한 신뢰도 연구", 음성과학, 제11권, 제4호, pp.129-141, 2004. 

  7. K. M. K. Chan, and E. ML. Yiu, "The Effect of Anchors and Training on the Reliability of Perceptual Voice Evaluation," J.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Vol.45, pp.111-126, 2002. 

  8. L. B .Goldstein, C. Bartels, and J. N. Davis,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NIH stroke scale," Archives of Neurology, Vol.46, pp.660-662, 1999. 

  9. K. E. Lewis, T. L. Watterson, and S. M. Houghton, "The influence of listener experience and academic training on ratings of nasality," J. of Communication Disorders, Vol,36, No.1, pp.49-58, 2003. 

  10. E. Laczi, J. E. Sussman, E. T. Stathopoulos, and J. Huber, "Perceptual evaluation of hypernasality compared to HONC measures: the role of experience," Cleft Palate-Craniofacial Journal, Vol.42, pp.202-211, 2005. 

  11. 김향희, 허지회, 김덕용, 김정완, 실어증-신경언어장애 선별검사(Screening test for aphasia & neurologic-communication disorders), 서울: 학지사, 2009. 

  12. C. F. Waltz, O. L. Strickland, and E. R. Lenz, Measurement in nursing research. F. A. Davis, Philadelphia, 1991. 

  13. H. Kim, and D. L. Na, "Normative Data on the Korean Version of the Western Aphasia Battery", J.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Vol.26, No.8, pp.1011-1020, 2004. 

  14. 김향희, 김정완, 허지회, 김덕용, 성수진, "실어증 선별검사 개발을 위한 내용타당도 검증", 언어청각장애연구, 제13권, 제3호, pp.353-380, 2008. 

  15. C. F. Waltz, O. L. Strickland, and E. R. Lenz, Measurement in nursing research. F. A. Davis, Philadelphia, 1991. 

  16. K. M. Yorskston, and D. R. Beukelman, Intelligibility measurement as a tool in the clinical management of dysarthric speakers, In R. D. Kent (Ed.), Intelligibility in speech disorders pp.265-286, Amsterdam: JohnBenjamins, 1992. 

  17. J. Fricke, Reliability of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with Occupational Therapists, 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Vol.40, No.1, pp.7-15, 19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